100 likes | 287 Views
제 7 장 국민소득의 결정 및 변화. 제 1 절 국민소득결정 1. 기본가정 2.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제 2 절 균형국민소득의 변화 1. 균형국민소득의 변화 2. 단순모형의 응용. 제 1 절 국민소득결정. 1. 기본가정 A1) 총수요가 국민경제의 생산량 및 고용량을 결정한다 A2) 물가수준은 단기적으로 불변이다 A3) 소비와 저축은 소득과 비례관계에 있다 C=a+bY A4) 투자는 이자율이나 소득수준과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2.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 민간경제 - 국내경제
E N D
제7장 국민소득의 결정 및 변화 제1절 국민소득결정 1.기본가정 2.균형국민소득의 결정 제2절 균형국민소득의 변화 1.균형국민소득의 변화 2.단순모형의 응용
제1절 국민소득결정 1.기본가정 A1)총수요가 국민경제의 생산량 및 고용량을 결정한다 A2)물가수준은 단기적으로 불변이다 A3)소비와 저축은 소득과 비례관계에 있다 C=a+bY A4)투자는 이자율이나 소득수준과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2.균형국민소득의 결정 -민간경제 -국내경제 -개방경제
□ 민간경제 □ 국내경제
□ 균형국민소득의 계산 실례(국내경제) -C=100+0.75(Y-T)=100+0.75Yd -T=100, I=100, G=100 계산: Y = C + I + G = 100+0.75(Y-T)+100+100 = 100+0.75Y-75+100+100 0.25Y = 225 ∴ Y=900 ∴ C=100+0.75(900-100)=700 ∴ S=Y-T-C=900-100-700=100=I
□ 균형국민소득의 흐름 소비=700 금융시장 투자=100 저축=100 가계 기업 정부 세금=100 정부지출=100 소득=900
3.균형국민소득의 변화 ①한계소비성향의 변화 ②정부지출의 변화
□ 균형국민소득의 변화 -C=100+0.75(Y-T)=100+0.75Yd -T=100, I=150(즉, ∆I=50), G=100 계산: Y = C + I + G = 100+0.75(Y-T)+150+100 = 100+0.75Y-75+150+100 0.25Y = 275 ∴ Y=1,100 ∴ C=100+0.75(1,100-100)=850 ∴ S=Y-T-C=1,100-100-850=150=I
4.단순모형의 응용 ①절약의 역설 (평가) •S→I로 바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성립• I>S여서 S→I로 바로 연결되는 경우 성립 안함
②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투자승수=균형국민소득증가분/투자증가분=1/(1-b)-정부지출승수= 균형국민소득증가분/정부지출증가분=1/(1-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