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0 likes | 2.51k Views
수용성비타민. 1. 티아민 2. 리보플라빈 3. 니아신 4. 비타민 B 6 5. 엽산. 6. 비타민 B 12 7. 판토텐산 8. 비오틴 9. 비타민 C 10. 유사비타민. 수용성비타민의 작용방식. 신체 대사과정에서 조효소 로 작용 ( 예 )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B 복합체의 기능별 분류. 1) 에너지 발생 조효소 : 티아민 , 리보플라빈 , 나이아신 , 비오틴 , 판토텐산 2) 조 혈 조효소 : 엽산 , 비타민 B 12
E N D
수용성비타민 1. 티아민 2. 리보플라빈 3. 니아신 4. 비타민 B6 5. 엽산 6. 비타민 B12 7. 판토텐산 8. 비오틴 9. 비타민 C 10. 유사비타민
수용성비타민의 작용방식 신체 대사과정에서 조효소로 작용 (예)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B 복합체의 기능별 분류 1) 에너지 발생 조효소: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오틴, 판토텐산 2) 조혈 조효소: 엽산, 비타민 B12 3) 기타 조효소: 비타민 B6
1. 티아민(thiamin, 비타민 B1) • 조효소 형태와 기능: 티아민의 조효소 형태 : 티아민 피로인산 (thiaminpyrophosphate : TPP) = 티아민+ 2개의 인산 기능 • TPP형태로 에너지 대사에 관여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대사에 관여 2. 신경전달물질(뇌에서 신경세포간의 정보전달)의 합성 및 조절
2) 영양섭취기준 및 급원 식품 • 권장섭취량: 남: 1.2mg, 여: 1.1mg • 가장 좋은 급원: 돼지고기, 두류, 맥주효모 • 좋은 급원: 해바라기 씨앗, 전곡, 강화곡류, 깍지콩, 내장육, 땅콩, 종실류 • 좋지 않은 급원: 우유 및 우유가공품, 채소 및 과일류, 유지류
표 6-2. 한국인의 1일 티아민 영양섭취기준 (mg/일)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
3) 티아민 결핍증과 독성 • 일반적 증세: 식욕부진, 체중감소, 허약, 초조, 두통, 우울증 • 대표적 증세: 각기병(beriberi 습성 또는 건성) 건성각기: 근육마비, 심장비대, 부정맥 습성각기: 하반신부종을 동반 • 티아민의 독성은 없음
2. 리보플라빈 (Riboflavin, 비타민 B2) 조효소형태 • FMN( flavinmono nucleotide) = 리보플라빈 + 인산 • FAD(flavinadeninedinucleotide) = 리보플라빈 + 아데닌 + 2개 인산 1) 기능 • 포도당, 지방산, 아미노산으로 부터 에너지 생성에 조효소로 산화, 환원반응에 관여 •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 작용에 관여, 항산화작용
2) 영양섭취기준 및 급원식품 • 권장섭취량: 남: 1.5mg, 여: 1.2mg • 가장 좋은 급원: 우유, 요구르트, 치즈 • 좋은 급원: 육류, 생선, 달걀, 강화곡류, 간, 버섯, 시금치 및 엽채류, 브로콜리, 아스파라거스
표 6-4. 한국인의 1일 리보플라빈 영양섭취기준 (mg/일)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
3) 리보플라빈 결핍증과 독성 결핍증: 비타민 B6 결핍증과 같이 발생 구각염, 구순염, 설염, 지루성 피부염, 광선공포증, 신경계의 질병, 정신착란 독성은 없음
3. 나이아신(niacin, 비타민 B3) 조효소 형태 NAD (nicotinamideadeninedinucleotide) : 니코틴아미드 + 아데닌 + 2개의 리보스 + 2개의 인산기 NADP (nicotinamideadeninedinucleotide phosphate) : 니코틴아미드 + 아데닌 + 2개의 리보스 + 3개의 인산기
1) 니아신의 기능 • 조효소 형태:NAD와 NADP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의 조효소로서 수소와 전자를 운반한다. • NAD : 세포내호흡, 탄수화물대사, 지방산 대사, 알코올 대사에 관여 • NADP: 지방산합성, 스테로이드 합성, 오탄당인산회로 등에 관여
2) 나이아신 영양섭취기준 및 급원 식품 • 권장섭취량 남: 16 mgNE, 여: 14 mgNE 상한섭취량남녀: 35 mgNE • 버섯, 참치, 닭고기, 칠면조, 아스파라거스, 땅콩, 밀기울 • 동물성 단백질(우유류, 난류): 나이아신 함량은 낮으나트립토판을 풍부하게 함유 ↓ 체내에서 나이아신 제공
트립토판(아미노산)과 나이아신과의 관계 • 트립토판은 체내에서 나이아신으로 전환됨 • 트립토판 60mg→ 나이아신 1mg 이 과정에서 리보플라빈, 비타민 B6, 철이 필요 나이아신 당량(niacinequivalent; NE) 1mg의 나이아신 = 60mg의 트립토판
한국인의 1일 나이아신 영양섭취기준 (mgNE/일)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
3) 나이아신 결핍증과 독성 • 결핍증: 펠라그라 (Pellagra) 4D증세: 피부염(Dermatitis), 설사 (Diarrhea), 천치(Dementia), 죽음(Death) 기타 식욕부진, 입과 혀의 염증, 정신적 무력증, 우울증 20C 초 남미에서 유행, 원인은 옥수수 위주의 빈곤한 식생활
니아신의 다량 투여 효과 • HDL-콜레스테롤 수준을 높이고 LDL-콜레스테롤 수준은 낮출 수 있다고 인식되어옴 : 그러나 부작용 초래 * 과잉섭취의 부작용 : 혈관 확장, 가려움증, 메스꺼움, 두통, 식욕부진, 간 손상, 황달, 심장성 부정맥
4. 비타민 B6 (피리독신) 종류와 구조 • 피리독신 (pyridoxine: 일차 알코올형) = 피리독솔(pyridoxol) → 주로 식물성 식품에 존재, 흰색의 결정체 • 피리독살(pyridoxal: 알데히드형) • 피리독사민(pyridoxamine: 아민형) → 주로 동물성 식품에 존재, 흰색의 결정체
비타민 B6의 조효소 형태 피리독살 인산(pyridoxalphosphate; PLP) 피리독사민 인산(pyridoxaminephosphate) 아미노산과 단백질 대사에 관여(PLP) 1) 아미노기 전달반응(transamination)에 관여--> 불필수 아미노산 합성 2) 탈카르복실 반응(decarboxylation)에 관여--> 세로토닌, 노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물질 합성
1) 비타민 B6의 체내 기능 • 100여가지 이상의 효소작용에 조효소 PLP로서 작용. • 주로 단백질과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 체내에서 불필수아미노산 합성 • 탄수화물대사에 관여: - 아미노산으로부터 포도당을 합성하는 포도당신생합성반응 - 글리코겐 분해시 글리코겐 분해효소(glycogen phosphorylase) 의 구성성분 • 적혈구 합성: 헤모글로빈의 헴(heme)합성 시 관여 (∴) 결핍시 철분결핍과 유사한 소구성, 저색소성 빈혈 발생 • 백혈구합성 및 면역체계에 관여 • 심혈관계 질병 예방: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저하시킴(그림7-17)
2). 비타민 B6의 영양섭취기준 및 급원 식품 권장섭취량 남: 1.5mg, 여: 1.4mg 상한섭취량남여 100mg 급원식품 육류, 생선류, 가금류, 감자, 전곡, 바나나, 해바라기씨등
한국인의 1일 비타민 B6영양섭취기준 (mg/일)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
3) 비타민 B6의 결핍증과 독성 결핍증 알콜중독자의 경우 피부염(눈 주위, 코와 입의 가장자리), 빈혈(소구성 저색소성 빈혈), 신경계손상(정신불안, 우울증, 두통, 경련성 발작 등), 심혈관질환의 위험 증가( 혈중 호모시스테인 증가) 독성 고용량의 피리독신 섭취시: 신경손상, 감각이상, 보행장애
제일 먼저 시금치로부터 분리 , 녹색잎을 가진 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 라틴어 ‘folium(잎)’으로부터 유래 • 조효소 형태 : • 테트라히드로엽산(tetrahydrofolicacid : THFA) 5.엽산(folic acid)
1). 엽산의 체내 기능 조효소 THFA를 형성하여 단일 탄소단위(single carbon units) 운반 (예) 메틸(-CH3), 메틸렌(-CH2-), 하이드록시메틸 (-CH2OH)기를 떼어내어 다른 화합물로 운반; 생체내 여러 중요 화합물 합성
THFA조효소를 요구하는 반응 1) DNA합성 과 세포분열 임신초기 태아발달에 필수 결핍시 신경관 손상 2) 여러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 페닐알라닌 → 타이로신, 글라이신 → 세린 3) 적혈구 합성과 성숙에 중요한 역할 헤모글로빈의 구성성분이 되는 포르피린(porphyrin) 형성 4) 비타민 B6, B12와 함께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 수준저하 심혈관계 질환 위험 감소 5) 대장암, 유방암 감소시킴
2). 엽산의 영양섭취기준 및 급원식품 • 엽산의 흡수 보충제, 강화식품:100%, 자연식품: 50-75% 흡수됨 • 단위: Dietary folate equivalent(DFE,식이엽산당량) • 영양섭취기준: 권장섭취량: 성인 남녀 400 ㎍DFE 상한섭취량 : 1,000 ㎍DFE • 급원식품: 녹색 채소(시금치, 근대, 브로컬리), 오렌지주스, 간, 해바라기씨, 시리얼
한국인의 1일 엽산 영양섭취기준(µgDFE/일)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05
3) 엽산의 결핍증과 독성 1. 빈혈과 설사 * 거대적아구성 빈혈(megaloblasticanemia): 세포분화가 되지 못하므로 비정상적 크기, 미성숙한 적혈구가 형성됨 * 백혈구 합성 손상 면역기능 저하 * 장세포 DNA합성 손상, 세포분화가 안되어 영양소 흡수 불량 설사유발 2. 기형아출산: 태아의 신경관 결함, 조산, 사산, 이분척추증(bifida), 저체중아 출산 3. 심장질환: 혈중 호모시스테인 상승으로 인하여
6. 비타민 B12 • 비타민 B12는 동물성 식품에만 존재 • 체내 저장가능 • 분자구조내에 Cobalt를 함유 코발라민이라함 • 조효소 형태 • 메틸코발라민, 5-디옥시아데노실 코발아민 • 시아노 코발라민의 시아노기(-CN)가 메틸기나 • 아데노실기로 치환된 형태 • 인체에 들어있는 대부분의 비타민 B12형태로서 • 조효소로 작용한다.
1) 비타민 B12의 체내 기능 1. 메틸기 운반을 통해서 메틸코발라민이 하는 기능 - 호모시스테인으로부터 메티오닌 합성 - 엽산 대사에 관여 - 퓨린과 피리미딘의 중간물질 합성(엽산조효소와함께 작용) (∴) 엽산과 비타민 B12중 한 가지라도 결핍시 DNA합성 장애 --> 거대적아구성 빈혈 (megaloblastic anemia) 초래 2. 신경섬유의 수초 유지 결핍되면 수초 파괴--> 사망
2) 비타민 B12의 영양섭취기준 및 급원식품 권장섭취량: 성인 남녀 2.4μg 급원식품: 육류, 가금류, 어패류, 난류, 우유 및 유제품 등 동물성식품에만 함유 비타민 B12는 장내 박테리아, 진균류(fungi), 조류(algae) 등 미생물이 합성 박테리아가 비타민 B12 합성 동물이 식품섭취, 또는 장내박테리아에 의해 합성 동물의 간에 저장
한국인의 1일 비타민 B12영양섭취기준 (㎍/일)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
비타민 B12의 흡수율 • IF(intrinsic factor) 존재시 --> 30-70% 과량 투여시 IF 도움없으면 --> 1-3% *IF : 위의 벽세포에서 생성되는 당단백질
3) 비타민 B12결핍증과 독성 결핍증(악성빈혈): 대부분 흡수장애로 나타남 · 유전적 결함으로 IF가 체내에서 합성되지 못 할 때 ·수년에 걸쳐 철저한 채식을 할 때 비정상적인 면역반응 위장벽세포 파괴(치유불가) IF합성이 저지 결핍증 초래 독성은 없음
7. 판토텐산(Pantothenicacid) Pantos(Greek; 모든 곳으로부터를 의미) 판토텐산의 조효소형태: CoA(Coenzyme A)
CoA (coenzyme A)와 ACP (acylcarrier protein)의 구성성분 CoA: 아세틸 CoA생성, 에너지 대사에 폭넓게 관여 TCA회로의 시작물질, 지방산합성의 기본물질 ACP: 지방산 합성에 관여 1) 판토텐산의 기능
아세틸CoA 의 기능 전자전달단계 에너지생성
한국인의 1일 판토텐산 영양섭취기준(mg/일)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
2) 판토텐산의 영양섭취기준 및 급원식품 • 충분섭취량: 남녀 5mg • 급원: 모든 식품 속에 널리 분포 좋은급원: 버섯, 간, 땅콩, 달걀, 닭고기, 전곡 보통 급원: 우유, 채소, 과일 3) 결핍증과 독성 • 정상식사를 하는경우 결핍증은 없음 • 다량섭취시에도 부작용 없음
8. 비오틴(biotin) • 기능 • 체내 많은 대사반응에서 조효소로 작용 •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 DNA 합성을 정상으로 유지시키는데 매우 중요
비오틴 조효소를 요구하는 카르복실화 반응의 예 1) 피루브산으로부터 옥살아세트산(oxaloacetate) 생성 옥살아세트산은 TCA회로를 돌리기 위해 필요한 물질 2) 아세틸 CoA의 카르복실화 과정에 참여말로닐 CoA 생성 지방산 합성의 첫 번째 단계 3) 몇개 아미노산의 분해에 관여
2) 비오틴 영양섭취기준 및 급원식품 충분섭취량: 성인남여: 30μg 좋은 급원 난황, 간, 땅콩, 대두밀, 이스트, 치즈 좋지 않은 급원 채소류, 과일류, 육류 달걀: 노른자에 비오틴이 풍부, 흰자에 아비딘(단백질)과 결합하여 흡수방해. 그러나 가열하면 단백질이 변성되어 비오틴과 결합하지 못함.
한국인의 1일 비오틴 영양섭취기준(㎍/일)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
3) 비오틴 결핍증과 독성 * 결핍증 초기증세: 탈모, 피부발진 이어서 경련, 신경증세 어린이들은 성장발달 지연 * 독성반응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