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0 likes | 900 Views
4. 최신 인터넷 기술. 학습목표 초고속 유선 인터넷 의 개념과 기술을 알아본다 . 초고속 무선 인터넷 의 개념과 종류 , 기술을 살펴본다 . 최신 인터넷 기술 을 살펴보고 특징을 알아본다 . 목차 초고속 네트워크 최신 인터넷 기술 . 01_ 초고속 네트워크. 초고속 네트워크 초고속 전송 속도를 갖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대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의 고속도로 초고속 네트워크의 신속성과 정확성은 한 국가 사회를 정보 지식 사회로 변화시키는 중요한 구성 요소
E N D
4 최신 인터넷 기술
학습목표 • 초고속 유선 인터넷의 개념과 기술을 알아본다. • 초고속 무선 인터넷의 개념과 종류, 기술을 살펴본다. • 최신 인터넷 기술을 살펴보고 특징을 알아본다. • 목차 • 초고속 네트워크 • 최신 인터넷 기술
01_초고속 네트워크 • 초고속 네트워크 • 초고속 전송 속도를 갖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대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의 고속도로 • 초고속 네트워크의 신속성과 정확성은 한 국가 사회를 정보 지식 사회로 변화시키는 중요한 구성 요소 •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기술을 초고속 인터넷 기술이라고 하며,크게 유선 인터넷 기술과 무선 인터넷 기술로 구분
01_초고속 네트워크 • 초고속 유선 인터넷 • 기존에 설치된 구리 전화선,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을 기반으로 가입자가 초고속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 일반 공중 전화망(PSTN)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Mbps급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네트워크인 xDSL이 등장하고, • 케이블 모뎀과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CATV가 서비스 되었으며, • 광케이블을 이용한 FTTx기술, 동축 케이블과 광케이블을 혼합한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기술이 있음
01_초고속 네트워크 •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 ADSL, SDSL, HDSL, VDSL • 공중전화망(PSTN)에서 사용치않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Mbps급 데이터를 전송하는 초고속 네트워크 •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비대칭형디지털 가입자 회선의 약자로, 1989년 미국 벨 코어 사에서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의 상용화를 위해 선보였던 기술 • 업로드 속도는 16~640Kbps, 다운로드 속도는 1.5~8Mbps임 따라서 비대칭임 • SDSL(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대칭형 디지털 가입자 회선의 약자로, ADSL과 대응되는 개념 •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가 160Kbps~2.3Mbps로 동일 • HDSL(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 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의 약자로, 미국의 벨 코어 사가 개발 • T1(1.5Mbps) 혹은 E1(2.048Mbps)급의 대칭형 속도를 제공 •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 기존 전화선을 이용한 xDSL기술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 양방향 최소 10Mbps 속도 제공 VOD, 화상회의 등 고화질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
01_초고속 네트워크 • xDSL기술 비교
01_초고속 네트워크 • CATV(CAble TV)망 • 종합 유선 방송(CATV) 사업자가 제공하는 망과 케이블 모뎀을 이용하여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 •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며, 케이블 모뎀의 경우 최고 10Mbps의 전송 속도로 통신할 수 있음 케이블 방송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으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
01_초고속 네트워크 • FTTx(Fiber To The x) • 기존의 전화선을 광케이블로 대체하는 네트워크 구조 • x가 무엇인가에 따라 H(Home), O(Office), N(Neighborhood), C(Curb) 등으로 구분
01_초고속 네트워크 • FTTH(Fiber-To-The Home) • 광섬유를 집 안까지 연결한다는 뜻으로 트위스티트페어로 되어 있는 현재의 전화 가입자선 대신 각 가정에 개별적으로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통신망 • 기존 ADSL에 비해 100배 이상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함 • 단점: 경제적, 기술적(광 케이블의 휘어짐)으로 개별 설치가 어려움 • FTTO(Fiber-To-The Office) • 광케이블이 전화국에서 대형 건물의 통신실까지 설치되어 있는 상태 • FTTH의 막대한 투자의 단점을 피해, 수요가 많은 업무지구에 고속 서비스를 목표로 함 • FTTC(Fiber-To-The Curb) • FTTC 방식의 Curb는‘도로의 연석’이라는 뜻 • 주택 앞 도로의 연석과 같이 작은 박스를 설치하고 거기서부터 주택까지는 기존의 동선을 이용하는 방법 그림은 아파트 등에 설치된 Curb 박스임
01_초고속 네트워크 •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 CATV망을 이용하는 기술로 광케이블과 동축 케이블이 혼합된 네트워크 • 방송국에서 광망 종단 장치까지는 광케이블을 이용하고 광망 종단 장치부터 가입자까지는 기존의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방식 • 높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최고10Mbps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빠른 속도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 • CATV 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xDSL방식처럼 거리에 따른 품질 저하 없이 원거리 전송이 가능 • 방송 신호를 전송하고 남은 채널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방송과 인터넷을 동시에 이용 가능 • 업로드(가입자에서 중계소로)와 다운로드(중계소에서 가입자로)를 동시에 수행가능
01_초고속 네트워크 • 초고속 무선 인터넷 • 말 그대로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를 말함 • 이동성을 제공하지 않는 고정 무선 랜이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전화 인터넷 서비스도 모두 무선 인터넷의 범주에 포함됨 • 무선 가입자 네트워크는 크게 무선 랜, 휴대 인터넷(이동 통신망)으로 구분
01_초고속 네트워크 • 무선 랜 • 유선으로 연결되기 어려운 곳에 대한 서비스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기술 • 한정된 공간 내에서 유선 케이블 대신 무선 주파수 또는 빛을 사용하여 허브에서 각 단말기까지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 • 따라서 무선 랜은 유연성과 이동성을 갖춘 네트워크를 단시간 내에 구축할 수 있으며, 특히 자유로운 단말기 설치 및 사용으로 기존 네트워크의 확장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음
01_초고속 네트워크 • 휴대 인터넷 • 휴대 전화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중에 고속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게 한 서비스 • 휴대 인터넷 기술은 이동 통신망의 발달과 함께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동 통신망의 세대별 분류에 따라 구분
초고속네트워크 - 이동통신 망 (1/5) • 이동통신 망 • 현재의 3세대 IMT-2000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진화(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 증가 (IMT Advanced) • 1세대 이동통신 • 아날로그 방식 (1982년 상용서비스 시작) • 우리나라에는 1984년 도입되어, 2000년 서비스 중지
초고속네트워크 - 이동통신 망 (2/5) • 2세대 이동통신 – 디지털로 변환 • 유럽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방식과 미국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 세계적으로는 GSM 방식이 대세, 우리나라는 CDMA 방식 채택(대성공) • Qualcomm의 로열티 정책으로 인해 CDMA 방식이 줄어드는 추세임 • 2.5세대: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킨 버전
초고속네트워크 - 이동통신 망 (3/5) • 3세대 이동통신 – IMT-2000 • 무선이라는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등장한 규격 • 동기식: CDMA2000,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EVDV(evolution data voice) • 비동기식: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SKT, KT(F)는 비동기식 채택(당첨), LGT는 동기식 채택
초고속네트워크 - 이동통신 망 (4/5) • 3.9세대 이동통신 – LTE(long term evolution) • 3세대 이동통신을 ‘장기적으로 진화’시킨 기술 • 3세대 이동통신의 HSDPA보다 12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 • 이론적으로 하향 100Mbps, 상향 50Mbps의 속도 지원 • 2008년 12월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단말기용 LTE칩을 개발 • 2009년 12월 북유럽 최대의 통신사 텔리아소네라(TeliaSonera)가 삼성전자에서 제작한 LTE 단말기를 통하여 세계최초로 서비스 시작 • 4세대 이동통신 LTE-Advanced • 개선된 LTE기술로, 정지 시 하향 1Gbps, 상향 500Mbps의 속도 지원
초고속네트워크 - 이동통신 망 (5/5) •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본디 유럽의 GSM에서는 SIM 카드를 사용하여 가입자를 식별(CDMA는 핸드폰 자체(의 ESN)로 가입자를 식별) • WCDMA가 되면서, GSM의 SIM을 USIM으로 확장하여 도입 • 해외에 나갔을 때, 글로벌 로밍(global roaming)이 가능함 (해외 사업자가 USIM 카드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 • 가입자 정보가 USIM 카드 안에 내장되며, 최근에는 전화번호부, 뱅킹 정보 등도 USIM 카드 안에 내장되는 추세임
초고속 네트워크 - WPAN (1/5)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개인 장치간 무선 구성된 네트워크 짧은 거리 내에서 비교적 적은 사용자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데 목적 기반 시설이 필요 없으므로 다양한 장치에서 이용 가능 WAN: 0~10km, LAN: 0~100m, WPAN: 0~10m WPAN 종류와 기술
초고속 네트워크 - WPAN (2/5)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리모콘과 같이, 적외선 통신링크에 사용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국제표준을 만들기 위해 산업계가 후원하는 조직 • 특징 • 쌍방의 장치에 모두 송수신기가 있어야 함 (통신 시 방향이 서로 일치해야 함) • 통신을 동기화시켜 주는 특별한 소프트웨어가 하나 또는 모든 장치들에 필요 • 어느 정도 먼 거리 상호연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근거리 네트워크내의 상호연결 가능
초고속 네트워크 - WPAN (3/5) • Bluetooth • 무선 데이터 통신 규격의 개발 코드명 • 에릭슨, IBM, 인텔, 노키아 등이 참여하여 개발한 산업체 표준 • 특징 • 정보통신기기 및 각종 디지털 가전 제품을 물리적인 케이블접속 없이 무선으로 연결해 주는 근거리 무선접속 기술 • 저렴한 가격 (5달러) • 적은 전력소모 (100Mw) • 좁은 구역(10m~100m)내 무선연결 지원
초고속 네트워크 - WPAN (4/5) • NFC(near field communication) •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 • 특징 • 기존의 RFID와 달리 읽기와 쓰기 모두 지원 • 0.1초 내외의 단말기 인식 시간 • 최대 424Kbps의 전송속도 • 10cm 이내의 짧은 통신 거리로 인한 높은 보안성
초고속 네트워크 - WPAN (5/5) 기타 기술: Ultra Wide Band, HomeRF WPAN의 응용:고속의 WPAN을 이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과 상호 통신하는 예제 캠코더 TV 노트북 MP3 스피커 프로젝트 프린터
학습목표 • 초고속 유선 인터넷의 개념과 기술을 알아본다. • 초고속 무선 인터넷의 개념과 종류, 기술을 살펴본다. • 최신 인터넷 기술을 살펴보고 특징을 알아본다. • 목차 • 초고속 네트워크 • 최신 인터넷 기술
02_최신 인터넷 기술 • X-INTERNET, X-INTERNET-II • X-INTERNET은 빠른 속도, 화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의 장점을 살린,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차세대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의미함 • INTERNET-II는 초고속 정보 고속도로를 구축해서 극심한 체증을 빚고 있는 인터넷 회선 문제를 해결하려는 프로젝트 그러나, X-INTERNET 개념은 실제로 학계나 대중에 확산되지 못함 자세한 내용은 생략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개요 • 사용자들의 ‘참여’와 ‘개방성’을 통해 사용자들이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 블로그, 검색 등을 활용해 스스로 정보 및 네트워크를 창조하고 공유하는 것이다. • Web 2.0의 특징 • 집단지성을 적극 활용한다. 대중의 지혜는 전문가보다 낫다는 “대중의 지혜”이론의 출발점 (네이버 지식인) • 롱테일(long tail)의 경제학 개념을 지니고 있다. (20:80에 어긋나는 개념) 하위 80%가 매출의 50%를 차지한다. (전문가, 매니아 집단의 출현 때문) • 수없이 많은 매쉬업(mashup)이 이루어진다. 서로다른 성질의다른 서비스/프로그램이 묶여서 전혀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 (Google에서는 구글맵을 공개, 수 백개 사이트에서 구글맵을 활용)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사용 예(1/9) • Social Networks 서비스 • 사람들간의 관계를 촉진시키는 서비스 •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링크드인(Linkedin), 페이스북(facebook), 오컷(orkut), 마이스페이스(myspace) 등이 있음 • 국내의 경우,싸이월드가 대표적 서비스이며, 사이월드 이후 성공한 Social Networks 서비스는 등장하지 못한 상태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사용 예(2/9) • RSS 서비스 (Rich Site Summary, Really Simple Syndication) • 웹 상에서의 문서(정보)의 발행과 구독을 위한 규격 • 블로그, 뉴스, 기업정보, 사이트 공지사항 등 주기적으로 자주 업데이트 되는 콘텐츠들에서RSS제공이 가능 • 여러 기사와 포스트들이 주기적으로 자주 업데이트 되는 많은 사이트들과 블로그들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도와줌 •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블로그라인스(Bloglines), 피드버너(FeedBurner), 뉴스게이터(Newsgator) 등이있음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사용 예(3/9) 인터넷 응용 및 서비스 기술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OSS: Open Source Software) •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를 인터넷 등을 통하여 무상으로 공개하여 누구나 그 소프트웨어를 개량하고, 이것을 다시 재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예) LAMP: 리눅스, 아파치, 마이 SQL, PHP(or Perl) 등 • 블로그 서비스 • 1인 미디어의 실현 • 최근 팀블로그, 기업블로그가 점차 늘어가는 추세임 • 대표 서비스로는 구글의 블로거(Blogger), 타입패드(TypePad), 웹로그(Weblogs) 등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사용 예(4/9) • 검색 엔진 • 사용자가 정의한 조건에 따라 웹 콘텐츠를 찾아주는 서비스 • 대표적인 서비스로 구글(Google), 야후(Yahoo), MSN, 애스크(Ask), 그리고 블로그 전문 검색 엔진인 네크노라티(Technorati) 등이 있음 • 국내의 경우 네이버가 독점적이나, 다음, 네이트 등도 선전하고 있음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사용 예(5/9) • 사용자 리뷰 서비스 (상품평 서비스) •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를 제공하는 서비스 • 예제: http://www.betterbidding.com 호텔 예약에 대한 사용자 평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사용 예(6/9) • P2P 파일 공유 서비스 •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들 간에 파일을 공유하게 해주는 서비스 • 개인들의 PC가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구성하는 형태로 동작 • C2C 전자상거래 서비스 • 사용자들 간에 상거래를 제공하는 서비스 •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이베이(eBay), 크레이그리스트(craigslist), 유비드(uBid) 등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사용 예(7/9) • 가격비교 서비스 •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전에 여러 상거래 사이트들의 가격을 쉽게 비교해 볼 수 있는 서비스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사용 예(8/9) • 팟캐스트 서비스 • PMP 등의 디바이스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오디오, 비디오 파일을 제공하는 서비스 • 애플의 아이팟이 엄청난 인기가 있기 때문에 팟캐스트라는 명칭이 붙었음.
최신 인터넷 기술 - Web 2.0 사용 예(9/9) • 위키/협업 서비스 • 콘텐츠를 함께 편집하고 업무상 협업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 위키피디아 = 위키(하와이어 빨리) + 엔크로피디어(백과사전) 1200여명의 상주 직원이 정확도와 전문성을 판단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3배 이상 정보 수록 • 구글이 인수한 존슨팟, 베이스캠프(Basecamp), 소셜텍스트(Socialtext) 등 • 태깅 서비스 • 사진, 웹 컨텐츠에 메타데이터를 붙여서 검색 혹은 분류를 하는데 도움을 주는 서비스 • 딜리셔스(del.icio.us), 플리커(Flickr), 디그(Digg) 등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Ubiquitous) 라틴어 어원: “신은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존재한다.” 물리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컴퓨터와 장치들을 심어 네트워크로 연결한 후 기능적, 공간적으로 사람, 컴퓨터, 사물이 하나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개념을 말한다. 사람이 컴퓨터를 다루는 환경이 아니라, 컴퓨터가 사람의 생활을 돕는(support)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애플 아이워치, 갤럭시 기어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구글글래스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영상을 클릭하면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어디에서든지 컴퓨터에 접근이 가능한 세계 유비쿼터스 컴퓨팅 (1/2)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 수많은 환경과 대상물에 컴퓨터가 심어지고, 이들이 전자공간으로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유비쿼터스 공간을 창조하는 기술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5A • Any-where • Any-time • Any-network • Any-device • Any-service
유비쿼터스 컴퓨팅 (2/2)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 Mark Weiser(미국 Xerox사, Palo Alto 연구소)가 1993년에 제창 • The father of ubiquitous computing •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Mark_Weiser • Mark Weiser의 유비쿼터스 정의 •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어디에서든지 컴퓨터에 접근이 가능한 세계(computing access will be everywhere)"라고 정의 • ”인간이 이동하는 장소에서 그곳의 컴퓨터를 자신의 컴퓨터로 삼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의 실현“을 목표 •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인간이 어디에 있든지(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를 자신의 컴퓨터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환경“이라고 정의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특징 (1/2)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아니다. • 여러 장소로 이동하는 사람에게 컴퓨터가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접속이 필수 불가결하다. • 전자계산기는 컴퓨터이긴 하나, 네트워크 접속이 없으므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아니다. • 인간화된 인터페이스(calm technology)로서 눈에 보이지 않아야 한다. • “내가 지금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다”는 인식이 있어서는 안된다. • 컴퓨터가 종이와 같은 존재가 되어야 한다. 신문에서 정보를 읽고, 종이에 정보를 프린트하는데 있어서, 주된 관점은 “정보” 그 자체이지 “종이”가 아니다. • 음성으로 내린 명령을 어딘가에 있는 컴퓨터가 반응하여 동작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특징 (2/2)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 상황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가 변한다. •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혹은 사용 장소에 따라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달라진다. • 여기서 상황이란 현재 위치, 이용자의 ID, 디바이스 ID, 물리적 환경(온도, 시간, 밝기, 날씨) 등 컴퓨터(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모든 환경을 통칭한다. • 가상 공간이 아닌 현실세계의 어디서나 컴퓨팅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 컴퓨터가 만들어낸 가상공간에서 “언제 어디서든 컴퓨팅을 한다”는 것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아니다. •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현실 세계의 어디서든, 언제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Smart Dust Project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 UC Berkeley에서 연구 중인 프로젝트 • 1mm3크기의 실리콘 모트(mote)에 자율적 센싱 및 통신 능력 부여 • 벽면 도포 혹은 살포를 통해 에너지 관리, 품질 관리, 환경 오염 방지 등에 응용
Wearable Computing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u-Work (1/3)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 언제, 언디서나(ubiquitous) 일한다(work).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근로자가 시간과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근로 형태 • u-Work의 목적 • 근로자가 죽도록 일하는 것? • 근로자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협업을 통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킴
u-Work (2/3)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 u-Work의 특징 •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생산성을 높임 • 기업, 근로자 및 사회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긍정적 효과를 기대 • 기업 측면의 기대 효과 • 물리적 사무 공간 축소 (mobile office 실현) • 분산된 근로자의 협업 증대를 통한 업무 효율성 증대 • 우수인재 확보 및 조직의 전문성 향상 • 개인 측면의 기대 효과 • 근로 시간 및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 업무 수행 가능 • 여가 시간의 극대화(?)
u-Work (3/3)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 국가사회적 측면의 기대 효과 • 서비스/지식 산업의 활성화 • 출퇴근 필요성 감소 (에너지 절약, 환경 보호) • 동료/협력사/고객과의 원격협업 • 지방 취업기회 증대 등을 통한 교통량 감소 • 여성/고령자/장애인 등의 취업 촉진 • 대도시 집중화 현상 완화
u-Learning (1/2) 최신 인터넷 기술 - 유비쿼터스 학교중심의 수업환경을 넘어서,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전 생애에 걸쳐서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구성하며 창출할 수 있다. 사회 변화에 따른 학습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