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likes | 1.16k Views
광 우 병 - 공장식 축산의 산물. 소 (cattle) 에 대한 진실. 12 억 8,000 만마리 약 500Kg 체중 -> 270kg 의 지육 사육면적 : 전세계 토지의 24% 가축의 사료소비량 : 전세계 곡식의 1/3 소 한마리당 하루 21.3kg 분뇨 배출 ( 소 1 만마리 =11 만 인구의 도시 ) 지구 온난화 원인 가스 ( 메탄 , 이산화탄소 , 아산화질소 , 염화불화탄소 ) 중 메탄의 12% 발생. 소의 소화기관. 광우병 (BSE).
E N D
소(cattle)에 대한 진실 • 12억 8,000만마리 • 약 500Kg 체중 -> 270kg의 지육 • 사육면적: 전세계 토지의 24% • 가축의 사료소비량: 전세계 곡식의 1/3 • 소 한마리당 하루 21.3kg 분뇨 배출 (소 1만마리=11만 인구의 도시) • 지구 온난화 원인 가스(메탄,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염화불화탄소)중 메탄의 12% 발생
광우병(BSE) • 전염성 해면상 뇌증 (TSE) • 프리온(prion) • 감염경로, 전파방법 • 감염동물 • 인간광우병(vCJD) - 광우병 동물 - 수혈 - 수술도구
광우병-인간 광우병 발생 역학 • 스크래피에걸린 양 - 도축 후 뼈, 고기 ,내장 분쇄 사료로 만듬 - 소에게 먹이고 이로 인해 스크래피 유발인자 소에게 옮아감 - 광우병 발생 - 광우병에 걸린 소를 갈아서 육골분 사료로 만듬 - 다시 소에게 먹임 (소 한 마리 분량이 40,000마리로) –그 소고기를 먹은 사람에게 전이 • 환자가 헌혈한 혈액을 수혈받은 사람이 광우병 걸림 • 채식만 한 사람도 광우병에 걸림
탐욕에 눈이 어두운 공장식 축산업: 시체와 쓰레기까지 돈으로
사진교체, 설명된 사진으로 광우병을 일으키는 '프리온(prions)'이 파괴한 뇌의 사진. 뇌조직에 스폰지 같은 구멍(흰부분)이 뚫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변형 프리온 증폭과정 정상적인 세포 내에는 지킬 형태(녹색)의 단백질만 존재하지만, 외부에서 하이드 형태(붉은색)의 단백질이 들어오면 지킬 단백질이 모두 하이드 형태로 변하면서 번형 프리온 증폭
광우병 -뇌에 구멍이 뚫리는 병 • 인수공통 전염병(소, 양, 사슴, 밍크, 다람쥐, 사람에게 발병) • 실험실 실험 결과 모든 포유류 발병 가능 확인 • 병증이 없다(면역반응없음- 염증과 열이 없음). • 원인물질 변형 프리온 , 다른 전염병은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등)
인간 광우병(vCJD)에 걸리면 • 예방약도 치료약도 없다. • 잠복기가 길다(10년~40년) • 어릴수록 치명적이다.(더 잘 걸리고 빨리 발병한다) • 증상 - 성격 장애(우울증, 과격….) - 신체 장애(운동장애 =>마비) - 인지 장애 => 치매증상 => 지각마비 ==> 결국 죽음만이…
광우병의 진단방법 - 현재까지는 도살하여 뇌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검사 - 사람은 사망후 부검에 의해 확진 • 병리조직검사법(공포변성 확인) • 면역조직화학염색법(변형프리온 항원검색) • 면역블로팅 검색법 (변형프리온 항원검색) • 전자현미경 검사법(SAF 확인)
공장식 축산업이 낳은 재앙 • 공장식 축산업의 Goal • 더 빠르게 • 더 싸게 • 더 살찌게 세계 어디서도 값싸도 맛난 햄버거 사막화 온난화 식량위기
광우병소 광우병이 발생한 영국에서 강제로 폐사되고 있는 소
인간 광우병 희생자 • 전세계 인간광우병 확진 환자 : 총 207명(2008년4월) • 사망자 : 200명 (수혈 사망자 3명) • 생존자 : 7명 • †미국의 세번째 감염자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출생 및 양육된 후 2005년 말부터 미국에서 거주함. US 사례 보고서에 의하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지낸 유아기 때 vCJD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함. • *일본인 감염자는 1980년~1996년 사이에 영국에서 24일간 체류한 적 있음.
미국의 우육산업의 개요('06년 기준) □ 사육두수 : 95백만두(육용우 65, 젖소 13, 송아지 기타 17) ○ 성우 : 42백만두(육용우 33백만두, 젖소 9백만두) □ 도축두수 : 33.6백만두(육용우 29.8, 젖소 2.4, 송아지 기타 1.4) □ 육용우 사육관리 개요 방목 방목․사료급이Feed lot (약 6개월간) (약 6-8개월) (약 4-6개월) □ 육우번식 농가 ○ 번식은 자연교배 및 자연분만, 4~8개월(평균 6개월)간 방목․육성, 송아지는 이유직후 또는 생후 약 6~8개월에 가축시장에서 경매 □ 육우 육성농가 ○ Background yard라고 불리며, 6-8개월간 사육. 대부분 방목 □ 비육장 (Feed lot) ○ 곡물사료를 주로 급여하며, 4~6개월(평균 5개월)간 비육 ○ 생후 14~23개월령(평균 18개월)에 도축장 출하 ⇒ 거세우와 미경산우에 한정할 경우, 도축 소의 90%는 20개월령 이내 □ 미국 쇠고기 수출 : 일본, EU 등 116개 국가에 수출
Scientific Principles of BSE Prevention CattleFeed Cattle Beef Processing Exclude potentially infectious tissues (SRM’s) & minimize cross- contamination Block recycling of rendered mammalian proteins into cattle feed 공장식축산업 Consumer Rendering Facility 캘리포니아 리콜사태 불량한 작업장 위생상태 이력추적제미비 0.1%만 검사 사료정책-3단계중1단계
Role of U.S. Government in Controlling BSE Animal &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APHIS) Food Safety & Inspection Service (FSIS) Food & Drug Administration (FDA) BSE Surveillance to Determine Prevalence & Verify Effectiveness of BSE Firewalls in U.S. Monitor & Enforce Feed Ban Monitor & enforce the Removal of SRM’s & Other New BSE-Related Regulations Protecting the health of the U.S. cattle herd Protecting the human food supply Provide auditing service to certify marketing programs (e.g., BEV) Agriculture Marketing Service (AMS)
1. 미국 사료정책 광우병 유발 • Ruminant to Ruminant Feed Ban (1997) • 교차오염(cross-over), 이월효과(carry-out) • 1988~1990년 영국에서 2만7천마리 광우병 발생하여 실패한 정책 • 미국과 동시에 사료정책 시행한 캐나다에서 실패 • 미국 축산기업의 반대로 새로운 법 시행조차 못해
Mammalian Protein Ban(2007) • The FDA (1997) has formulated rules and regulations that deal with the feeding of mammalian-derived products. • No “prohibited” mammalian-derived protein sources can be fed in the BQA program. • Proteins that are exempt • Blood and blood by-products • Milk products • Pure porcine protein products • Pure equine protein products • Gelatin • Always refer to label directions to determine if products are or are not approved for use in cattle. 강화된 사료 정책(2008년 4월25일 고시, 2009년 4월27일 시행) ① BSE감염축의 사체 ② 30 개월령 이상 소의 뇌 및 척수 ③ 미검사 또는 불합격된 뇌와 척수가 제거되지 않은 30개월 이상 소의 사체 ④ 상기 금지 물품이 0.15% 이상 함유된 우지 ⑤ 기계적 회수육
2. 못 믿을 미국 광우병 검사체계 • 미국 내 전체 소의 0.1%만 광우병 검사 (2006.9 검사축소) • 퍼블릭 시티즌, USDA, 미 소비자연맹의 지적 • 광우병 양성 : 일본 28, 미국 3, 캐나다 8
Surveillance goals(2004,FSIS) • Surveillance at a level sufficient to find 1 case per 1 million adult cattle, 95% confidence • Based on estimates of targeted high risk population • Non-ambulatory – 195,000 • Broader estimate, including deads and other condemns – 600,000 • Adult cattle population – 45 million
주저 앉은 소 검사하지 않아 광우병 통제시스템의 명백한 실패-수입위생조건 21조 가항 위반으로 수입금지해야할 사항임에도 수입위생조건 재개정 요구- 검역주권침해
Surveillance: NVSL Bovine Brain Submissions FY 93-04 (through 12/31/03)
Scientific Principles of BSE Prevention CattleFeed Cattle Beef Processing Exclude potentially infectious tissues (SRM’s) & minimize cross- contamination Block recycling of rendered mammalian proteins into cattle feed 공장식축산업 Consumer Rendering Facility 캘리포니아 리콜사태 불량한 작업장 위생상태 이력추적제미비 0.1%만 검사 사료정책-3단계중1단계
3. SRM만 제거하면 안전하다?- 근육에도 프리온 존재 • 수혈, 수술도구, 조직이식 수술, 작업도구 • 아드리아노 노구치 (스위스, 2003) • 프루시너 (미국, 2002) •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in UCLA (프리온에 의한 쥐의 심장 질환 보고) • 미, 스폐인 공동연구(사이언스, 2006) (햄스터의 혈액에서 프리온 검출법 보고) 쇠고기 부족하면 광우병 청정국에서 수입하라! 미국은 No!!
30개월 이하라도 안전하지 않다- 모든 연령 SRM 제거 필요 • 30개월 이하에서도 광우병 발생: 영국 19건, 일본 2건 • 출생증명 없이 치아조사만으로 나이 불확실 • 농림부 자료에도 미국 소의 15~20%만 월령식별 가능하다고 명시
Specified Risk Materials9 CFR §310.22 January 12, 2004http://www.fsis.usda.gov/OPPDE/rdad/FRPubs/03-025IF.pdf • Spinal Cord • Vertebral Column • Dorsal Root Ganglia • Brain • Skull Eyes Trigeminal ganglia Tonsils Tonsils Distal Ileum (Small Intestine) Distal Ileum (Small Intestine) < 30 Months of Age > 30 Months of Age
Relative BSE Infectivity Associated With Cattle Tissues Tissue % Total Infectivity Cumulative Brain 64.1% 64.1% Spinal Cord 25.6% 89.7% Distal Ileum 3.3% 93.0% Dorsal Root Ganglia 3.8% 96.8% Trigeminal Ganglia 2.6% 99.4% Spleen 0.3% 99.7% Eyes 0.3% 100.0% Adapted from EU Scientific Steering Committee, 2001. % Infectivity from an Animal with Clinical Disease
▲ 미 FDA의 SRM 부위(빨간 색으로 표시된 부분)와 한미 쇠고기 의정서를 통해 결정된 SRM 부위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4.개체추적씨스템(이력추적제) 미비 ○ 미국은 모든 소에 대한 개체추적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 못해 BSE 발생시 추적조사가 미흡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어 연령 제한이 필요함 ○ 미국내에서 발생한 3건의 BSE 사례 중 1건은 캐나다에서 수입되었다고 조사되었으나, 나머지 2건에 대해서는 출생농장조차 확인하지 못함 - 아울러 캐나다에서 발견된 BSE 감염소의 출생초기에 동일한 사료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feed cohort중 15마리가 미국으로 수출되었다고 통보를 받았음에도 이를 추적하는데 실패함 - 15마리중 1마리만 확인하여 BSE검사결과 음성으로 판정되고 나머지는 추적에 실패하였음. 이러한 점들이 미국의 BSE 정책을 완전히 신뢰할 수 없도록 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