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 likes | 1.3k Views
태국과 태국문화의 이해. 한국연구재단 개도국 과학기술지원단. 동남아 속의 태국. 기본정보. 국 호 : 영어 (Kingdom of Thailand) 태국어 ( 쁘라텟 타이 / 므엉타이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1932 년 ) 현 태국국왕 : 푸미폰 아둔야뎃 ( 즉위 : 1927-)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 수상 : 탁신 칫나왓 )/ 국회 : 270/393 명 국 기 : 삼색기 ( 국가 / 종교 / 국왕 ) 화 폐 : 바트. 기본지식.
E N D
태국과 태국문화의 이해 한국연구재단 개도국 과학기술지원단
기본정보 • 국 호: 영어(Kingdom of Thailand) 태국어(쁘라텟 타이/므엉타이) • 정치체제: 입헌군주제(1932년) 현 태국국왕: 푸미폰 아둔야뎃(즉위: 1927-) • 정부형태: 내각책임제(수상: 탁신 칫나왓)/국회: 270/393명 • 국 기: 삼색기(국가/종교/국왕) • 화 폐: 바트
기본지식 • 지역: 중부(동부), 북부, 동북부, 남부 짱왓(76)-암퍼(670) • 면적: 51.4만 km2(남한 5배) 순수경작지 30% • 인구: 6,200만명 정도(방콕 10%) 도시 20%/시골(80%) • 종족: 타이족: 81%/화교13% 기타 • 기후: 우기(24-32) 건기: 여름(27-35) 건기: 겨울(18-32) • 종교: 불교 95%/이슬람/기독교 • 수출: 쌀/설탕/파인애플/고무
한국과 태국의 관계 • 조선 초 1391/1393년에 교역사절단을 파견 • 1934년 사절단이 처음으로 태국 도착 • 해적으로 인해 중단 • 1950년 한국전쟁 3,650명의 유엔군 파견 • (129명 사망/1,139명 부상)-1972 주둔 • 1959년 정식 외교관계 수립 • 1981년 사증면제 협정 • 현재 한해 60만 명의 한국관광객
태국의 역사 • 타이족(중국 운남성에서 이주) • 수코타이(1238-1438) • 태국 최초의 나라 • 문자,문학,예술 등의 기초 마련 • 아유타야(1350-1767년) • 앙코르 침략(1432) • 버마(24회)침공/1569:15년간 버마 • 나레수안: 버마군 축출 • 1767년 버마에 의해 멸망 • 톤부리(1767-1782) • 딱의 성주 딱신-1대에 멸망 • 짝끄리(1782-):
태국의 왕실 • 국 왕: 푸미폰 아둔야뎃(1927-) 나이루랑/프라마아까삿 • 왕 비: 씨리킷(1932-) • 첫째공주: 우돈 랏따나(1951-) • 둘째왕자: 마하 와치라롱껀(1952-) • 셋째공주: 마하 짜끄리 시리돈(1955-) • 넷째공주: 쭐라돈(1957-) • 국민을 위한 다양한 정책 • 태국왕실은 국민의 존경을 받는다. • 주의사항 • 왕실비방행위 금지 • 왕의 찬가: 자리에서 일어선다.
기본 음식 • 카우팟(꿍/까이/무) 팟쁘리여우완 랏카우 꾸에이띠아오 • 쏨땀타이 깽쯧따오후무쌉 똥냠꿍
관광지 • 방콕 • 왕궁, 위만멕, 차이나타운, 짜뚜작, 왓아룬 • 방콕 근교 • 므엉보란, 악어농장, 수상시장, 밀랍인형박물관
관광지 • 중부 • 파타야, 아유타야, 깐자나부리, 꺼사멧, 꺼창 • 북부 • 치앙마이, 수코타이
관광지 • 동북부 • 코랏, 넝카이, 피마이 • 남부 • 피피, 푸켓, 끄라비, 사무이
불교와 스님 • 불교 • 6세기경 스리랑카 소승불교가 전래 • 13세기 수코타이 때 국교가 됨 • 현재 태국내의 사찰 수는 27,000여개(승려는 18만명) • 열반보다는 일상생활과 내세를 위함 • 불기를 사용. 현재 2547년/현재는 종교의 자유있음 • 스님 • 남자들은 일생에 한번 중이 됨으로써 큰 선을 쌓게 됨 • 일반승려/사미승/비구니로 나뉘어짐 • 사미승의 불덕은 어머니/일반승려의 불덕은 아버지 • 승려는 매일 아침 탁발(구역, 시간이 정해져 있음) • 승려는 지켜야할 규칙이 있음(일반승려 227개) • 출가 후 환속이 자유로움 • 절은 결혼, 장례, 화장,교육, 공연장 등으로 태국인과 밀착됨
태국 축제와 연휴 • 연휴 • 연말연시(12.29-1.2) 보통 5-7일간 • 쏭끄란(4.13-15) 보통 5-7일간 • 5월 초(1일 노동절, 5일 국왕대관식, 7일 완풋몽콘(권농일) • 토,일은 휴일/국경일이 토,일요일일 경우, 하루를 더 쉼 • 축제 • 태국은 각 지역 특유의 축제가 있어 일년 내내 축제가 있다. • 쏭끄란(4.13-15) • 러이끄라통(11월 중순) *휴일 아님 • 기타 축제 *휴일 아님(매달 4-5개의 축제가 열림) • 배경주대회(피찟),승려의식(부엇쌈파넨)매홍썬, 물소경주대회(촌부리), 연날리기 대회(싸남루엉), 로케트축제(우본라차타니), 치앙마이 꽃축제(치앙마이), 과일축제(라용) 등
태국인의 가치관 • 국가와 국왕에 대한 존경심 • 국왕: 불교행사 주재/국왕개발계획/국민과의 접촉 • 국가: 타국의 식민지가 된 적이 없기 때문 • 자유에 대한 의식(타이=자유) 횡단보도/육교 • 입고 싶은 대로 입고, 먹고 싶은 대로 하며 간섭을 싫어한다. • 불교에 대한 의식 • 불교는 태국인의 삶이다, 하루, 1년, 결혼의 시작은 불교 • 체면에 대한 의식 • 의복, 보석, 장신구 등에 의해 신분이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 권위에 대한 의식 • 과거 태국인은 권위가 있는 관료를 선호(부와 명예를 수반) • 토속신앙에 대한 의식 • 점치는 것을 즐기고, 귀신이나 정령을 섬긴다. • 오래된 물건은 정령이 있다고 믿고 신성히 여긴다.
태국인의 가치관 • 학연, 지연에 대한 의식 • 출신지역, 학교, 나이 등을 묶어 가족 같은 분위기를 조성한다.(피/넝) • 부에 대한 의식(현재) • 돈이 되면 무엇이든 한다=도박/일확천금 • 교육에 대한 의식 • 많은 교육을 받은 자는 존경의 대상이 된다(교사/박사)
일상생활의 예의범절 • 아는 사람을 만나면 와이를 한다.(어른의 경우 코부분까지) • 태국인의 몸을 함부로 만지지 않는다.(머리/필요한 경우 미리 양해) • 타인의 일에 깊이 참견하지 않는다.(충고의 경우는 완곡하게 한다) • 큰 소리로 이야기 하지 않는다. • 명암을 받을 때는 이름과 함께 츠렌(별명)을 적어 놓는다. • 태국문화, 성격, 사회의 비판을 삼간다(태국인은 자존심이 강함) • 어른의 경우 최대한 예의를 지킨다 • 약속시간에는 미리/머리는 낮게/ 몸은 숙여라 • 타인에게 물건을 건네거나 음식을 먹을 때는 오른손으로 한다. • 남의 집 방문할 경우, 온통 검은색으로 입지 않는다(상복) • 문지방에 앉거나 서지 않는다
종교에 관한 예의범절 • 종교 특히 불교에 관한 모든 물건은 함부로 다루지 않는다. • 성물은 ‘산다’가 아니고 ‘빌리다’는 말을 사용 • 여성은 승려와 신체적 접촉을 해서는 안 된다. • 떨어져 있다 해도 나란히 앉으면 안 된다. • 버스나 기차의 경우 자리를 비켜 주는 것이 예의 • 여성은 승려에게 물건을 직접 건네지 않는다. • 남성을 통하든지, 황색 천에 놓는다. • 일반집에 승려가 초대될 경우, 승려는 돗자리나 방석에 앉게 한다. 그리고 주인은 맨바닥에 앉는다. • 새벽에 음식을 공양할 경우에도 신발을 벗고 맨발로 공양한다.
복장에 관한 예의범절 • 사원과 같이 태국인이 신성시하는 곳은 격식 있는 복장을 한다. • 공식적인 일로 관공서를 방문할 경우 격식 있는 옷을 입는다. • 여성의 경우 점잖은 색과 모양의 스커트가 좋다. • 남성의 경우, 공식석상에서 깃이 없는 옷은 삼간다. • 파티, 모임 등에서는 같은 옷을 계속 입지 않는 것이 좋다.
식사법에 관한 예의범절 • 태국식탁에는 각각의 접시와 포크, 수저가 있다. • 음식은 있는 큰 접시나 그릇에 담아내는데, 각각 수저와 포크가 있다 • 이 수저나 포크를 이용하여 자신의 접시로 음식물을 가져온다. • 찌개의 경우 찌개그릇에 있는 숟가락을 이용해 자신의 접시로 가져와야 한다. • 국은 1인용 대접에 따로 떠서 먹는다. • 무슬림 음식이나, 동북부 음식의 경우 손을 사용해도 된다 • 찰밥, 야채, 고기 등 • 기타 알아두면 좋을 예의범절 • 기본적인 음식 예절은 한국과 비슷함(어른부터) • 어른의 음식 접시에 맛있는 반찬을 떠 드리는 것이 좋다.
이런 점, 이해해 주세요 • 태국인의 습관입니다. 이해해 주세요. • 약속에 자주 늦는다. • 차가 막히는 지역이 아닌데 차가 막혔다고 한다. • 비가 오거나 차가 막히면 지각은 당연하다 • 어렵고 힘든 일은 잘 하지 않는다. • 쉽고 단순한 일을 좋아한다. • 외국사람이라면 태국 사람이 항상 부자라고 생각한다. • 외국인에게 바가지를 씌우는 이유가 된다. • 입장료가 다른 이유가 된다. • 텔레비전에 담배 피우는 장면은 모자이크 처리하고, 죽은 사람의 시체는 자주 보여 준다.(MBC도) • 정부기관의 일 처리는 매우 느리다.
학교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 태국에서의 한국학 발전에 많은 도움을 주세요 (한국학 센터의 사물놀이기구, 사전) • 학교에서는 정장을 입어주세요(치마/구두) • 수업시간에 한국말을 사용해 주세요.(가능한 한) • 아는 사람 만날 때, 항상 미소를 지어 주세요. • 태국 사람한테 일이나 숙제를 시켜 주고 많은 것을 바라지 마세요. • 태국인과 밥을 먹을 때는 천천히 먹어주세요. • 학생 중에는 정말 가난한 학생이 있음을 알아주세요. • 오토바이를 탈 때는 반드시 천천히 운전해 달라고 한다. • 태국인의 월급은 매우 적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주의사항 • 처음부터 너무 잘 해 주지 마라. • 태국은 마약에 관한 법이 매우 엄격하다.(영화) • 밤에 빨간색의 가게에는 여자가 있다.(에이즈) • 밤에 혼자 돌아다니는 것은 아주 위험하다.(특히 여선생님) • 태국은 총을 지닌 사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