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likes | 1.06k Views
2-1.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1. 2. 손익계산서. Contents. 재무제표. 재무제표란 ?. - 기업의 활동을 측정 · 기록하여 작성되는 회계보고서. → 기업의 경영성과와 재무상태를 나타낸다. → 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 , 자본변동표 , 현금흐름표 , 주석 * 참고 - 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도입 → 연결재무제표를 기본으로 함 , 공정가액 중심 http://ifrs.fss.or.kr 참조.
E N D
재무상태표 1 2 손익계산서 Contents
재무제표 • 재무제표란? - 기업의 활동을 측정·기록하여 작성되는 회계보고서 → 기업의 경영성과와 재무상태를 나타낸다. →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 참고 -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도입 → 연결재무제표를 기본으로 함, 공정가액 중심 http://ifrs.fss.or.kr참조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B/S) - 일정시점에서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 → 차변은 자산의 구성상태를 나타내고 대변은 부채·자본의 구성상태를 나타낸다. → 자산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원 → 부채·자본은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을 나타낸다. B/S 등식(회계등식) : 자산 = 부채 + 자본 - 재무상태표상의 장부가치는 역사적 원가(IFRS에서는 공정가치)를 나타낸다.
재무상태표 ㈜시립 (단위 : 천원) ☞ 2011년 12월 31일 현재 ㈜시립의 총발행주식수는 188,000주이다.
재무상태표 • 순운전자본 (Net Working Capital: NWC) - 순운전자본은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뺀 값으로 기업의 단기적 유동성을 평가하는 지표 순운전자본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시립의 순운전자본 2010년 : 707,000-455,000=252,000(천원) 2011년 : 773,000-486,000=287,000(천원)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I/S or profit and loss statement: P/L) •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보고서 수익 – 비용 = 이익 • 대차대조표가 일정시점에서 기업의 재무상태를 보여주는 데 비해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 동안에 일어난 경영활동의 성과를 나타낸다.
손익계산서 ㈜시립 : 2011.1.1~2011.12.31 (단위 : 천원)
주당순이익과 주당배당금 • 주당순이익 (earning per share : EPS) - 주식 1주당 얻은 순이익의 크기 • 주당배당금 (dividend per share : DPS) - 주식 1주당 얻은 배당금의 크기 • ㈜시립의 주당순이익과 주당배당금 주당순이익 : 98,000(천원)/188,000㈜ = 521(원) 주당배당금 : 49,000(천원)/188,000㈜ = 260.5(원)
회계이익과 현금흐름 • 현금흐름 (cash flow) - 기업의 현금수입과 현금지출의 차이 • 회계이익 (accounting income) - 손익계산서에서 계산되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 현금흐름 ≠ 회계이익 • 현금흐름과 회계이익의 차이 • 유가증권평가손익 • 감가상각비 • 기타
재무의사결정을 위한 현금흐름 • 현금흐름표에서 얻는 현금흐름 정보는 “과거”의 기업활동에서 실현된 현금유입과 유출에 대한 정보 • 재무의사결정을 위한 현금흐름은 재무의사결정의 결과 “미래”에 발생할 현금흐름 • 추정현금흐름표의 작성이 어느 정도 도움은 되지만 완전하지는 못함 • 자본예산 파트에서 다시 다룸
Q & A • 현금흐름과 회계적 이익의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 재무의사결정에서 이용되는 정보는 현금흐름인가, 회계적 이익인가? • 회계정보는 왜 필요한가? • 현금흐름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 순운전자본은 많을수록 좋은가?
증권과 증권시장 1 2 발행시장 3 4 5 유통시장 이자율 세금 Contents
1. 재무관리환경의 구성요소 • 증권 (securities) • 실물자산 (real asset) -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유형자산과 재화와 용역의 생산에 동원되는 무형자산 등 • 금융자산 (financial asset) - 실물자산의 이용으로부터 얻어질 소득에 대한 “청구권(claims)”을 나타내는 자산 - 원금손실 가능성과 시장유통성(marketability)을 갖는 금융자산. 주식과 채권이 대표적인 예 • 증권
자본시장 (증권시장) : Capital Market - 증권이 발행·거래되고 가격이 형성되는 시장 • 직접금융 (direct financing) - 자금의 주요자가 발행한 주식과 채권 등의 증권을 자금의 공급자인 투자자가 매입함으로써 자금이 투자자로부터 수요자에게로 직접 흘러 가는 금융거래 • 자본시장은 직접금융이 일어나는 곳
증권 No Yes 금융투자상품 추가지급의무 여부 Yes 장내파생상품 금융상품 투자성 존재 여부 Yes 파생상품 거래소시장 거래 여부 장외파생상품 No 비투자 금융상품 No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ㅇ 금융투자상품의 포괄적 정의 : 이익의 획득이나 손실의 회피 또는 위험 관리를 위하여 원본 손실 또는 원본을 초과하는 손실이나 추가 지급의 가능성을 부담하면서 현재 또는 장래의 특정시점에 금전 등의 이전을 약정함으로써 갖게 되는 권리 ㅇ 금융투자상품의 경제적 실질에 따른 분류
자본시장통합법의 주요 내용 1. 기존의 자본시장 관련 7개 법을 하나로 통합 • 통합 대상법: 증권거래법, 선물거래법,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 신탁업법, 한국증권선물거래소법, 종합금융회사법, 기업구조조정투자회사법 2. 금융투자상품의 범위 확대 • 포괄주의에 입각하여 원본손실 가능성이 있는 모든 금융상품은 ‘금융투자상품’이 되어 금융투자회사가 취급 가능 • 파생상품과 파생결합증권 기초자산의 범위를 ‘계량화 가능한 모든 위험’으로 확대
3. 금융투자업 겸영 허용을 통한 금융투자회사 업무 영역 확대 • 금융투자업을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집합투자업, 투자자문업, 투자일임업, 신탁업의 6개로 구분 • 각각의 업별 진입요건을 갖추어 모두 겸영할 수 있도록 함 4. 투자자 보호 강화 • 설명의무, 적합성(suitability)원칙 도입 • 이해상충 방지체제 마련 • 발행공시의 적용범위 확대: 간접투자증권, 수익증권 등 5. 기관별 규제에서 기능별 규제로 전환 • 금융투자업 영위 주체에 관계없이 ‘동일기능 동일규제’ 원칙에 따라 통합법상 규율을 적용
간접금융시장 • 간접금융 (indirect financing) - 제 3자가 자금의 공급자로부터 자금을 예치 받아 이를 자금의 수요자에게 공급해주는 금융방식 • 금융중개기관 - 간접금융에서 중개인 역할을 하는 기관(은행) - 금융중개기관은 대량거래에 따라 정보수집비용을 절감하여 규모의 경제효과를 얻을 수 있음
직접금융 증권 증권 자금수요자 자금공급자 자금 자금 간접금융 기업 정부 . . 개인투자자 기관투자자 . . 차입증서 계좌 금융중개기관 자본시장 자금 자금 재무관리 환경
2. 증권의 발행시장 • 증권시장: 증권(주식, 채권 등)을 매매하는 장소 • 증권시장은 기능에 따라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 분류 • 발행시장(primary market) • - 기업이새로 발행한 주식이나 채권이 투자자에게 최초로 매출되는 시장 • ㅇ기업입장에서 자금 조달이 실제로 발생 (자본의 증권화) • ㅇ 구체적인 장소가 없고, 비정기적으로 발생(추상적 시장) • ㅇ 발행시장의 구성원: 투자자, 기업(정부), 증권회사
발행주체 발행기관 투자자 증권 증권 자금 자금 • 발행시장의 구조
증권발행의 형태 • 주식회사의 신규설립에 의한 주식발행 • 기업공개에 의한 주식발행 (IPO) - 소수의 대주주에게 집중된 주식을 일반 대중에게 분산시키기 위해 매출하는 것 • 증자에 의한 주식발행 - 미발행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발행하는 것으로 실질적 증자인 유상증자와 형식적 증자인 무상증자가 있다.
3. 증권의 유통시장 • 유통시장 (secondary market) - 이미 발행된 증권을 투자자들이 거래하는 시장 (증권의 현금화) ㅇ 기업의 자금조달에는 “간접적” 영향 ㅇ 가격이 높게 형성될수록 기업은 저비용 자금조달수단 제공 ㅇ 구성원: 투자자, 증권회사, 증권거래소 - 유통시장의 종류(시장형태에 따라) ㅇ거래소시장 : 조직화된 설비와 규칙을 갖는 공식적 시장 (한국거래소(KRX), NYSE, NASDAQ) ㅇ장외시장 : 거래소 이외의 비공식적 유통시장 (店頭市場/OTC), 비상장주식, 단주 * 프리보드: 비상장주의 매매를 위해 “제도화된” 장외시장
금융위 (금감원) 예탁결제원 증권회사 증권회사 유가증권시장의 구조 유가증권시장 투자자(매입) 투자자(매도) 현금흐름 유가증권흐름 감독∙통제 • 유가증권시장 (KOSPI 시장)
코스닥시장 (KOSDAQ) - 유가증권의 매매를 위해 한국거래소가 개설하는 시장으로 KOSPI 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증권의 매매 • 파생상품시장 - 선물과 옵션 거래를 위해 한국거래소가 개설하는 시장 • 장외시장 - 거래소 밖에서 증권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시장으로 비상장증권을 포함하여 거래시간의 제약 없이 매매
예 제 • A가 B에게 50,000원을 빌려주고 1년 후에 55,000원을 • 받는 경우 A의 현금흐름 시 간 T=1 T=1 T=0 T=0 +55,000 -55,000 -50,000 +50,000 현금흐름 B의 현금흐름 시 간 현금흐름 4. 이자율 • 차입·대출과 이자율
: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예상인플레이션율 •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예제에서 상호간에 약속한 10% 이자율은 명목(nominal)이자율 • 인플레이션율이 3%라고 예상한다면 화폐구매력이 감소하므로 실질적인 이자율은 7% • 예상 인플레이션율이 반영되어 결정된 이자율 7%를 실질(real)이자율이라 한다. Fisher’s equation:
시장금리와 인플레이션 (단위: %)
금융자산의 수익률과 위험프리미엄 • 특정 (위험) 금융자산의 수익률은 명목무위험이자율과 해당 금융자산의 미래수익의 불확실성을 반영해서 결정된다. 금융자산의 수익률 = 명목무위험이자율 + 위험프리미엄 -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자산들의 수익률이 서로 다른 것은 그 자산들이 갖는 미래수익의 불확실성에 따른 위험프리미엄이 다르기 때문이다.
5. 세금 • 개인소득세 • 과세소득 (taxable income) • 세금을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소득금액 • 총소득에서 소득공제 금액과 비과세소득 차감 • 한계세율 (marginal tax rate) - 누진세 제도하에서 자신의 마지막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율 - 주주 및 채권자가 얻는 세후수익률 세후수익률 = 세전수익률×(1-한계세율)
법인세 - 기업이 자신의 경제활동에서 얻은 소득에 대해 부담하는 세금 - 부채를 조달하여 사용하는 기업의 경우 이자비용은 과세소득을 줄여 법인세를 덜 내게 되는데 이를 “법인세 감세효과”라 한다. • 감세효과를 고려한 후의 이자율의 크기 세후이자율 = 세전이자율×(1-법인세율) • 법인세와 개인소득세는 기업의 재무의사결정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이다.
소득세 및 법인세율(2012년) • 종합소득세율 • 법인세율
Q & A • (유가)증권의 의미? • 자본시장통합법의 주요내용은? •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의 차이점은? •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의 차이점은? •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의 관계식은? • 재무의사결정시 세금에 대한 처리기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