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517 Views
지역내 조사료 자급률 향상과 시스템구축. 성 명 : 성 경 일 / 교수 전 공 : 조사료ㆍ초지디자인 연구실 연 구 실 : 동물생명과학대학 1 호관 411 호 전화번호 : 033) 250-8635 ( 연구실 ) 010-3388-8635 E – mail : kisung@kangwon.ac.kr Homepage : cc.kangwon.ac.kr/~kisung. 끝없이 오르는 국제 원자재 · 곡물 값.
E N D
지역내 조사료 자급률 향상과 시스템구축 성 명 : 성 경 일 / 교수 전 공 : 조사료ㆍ초지디자인 연구실 연 구 실 : 동물생명과학대학 1호관 411호 전화번호 : 033) 250-8635 (연구실) 010-3388-8635 E – mail : kisung@kangwon.ac.kr Homepage : cc.kangwon.ac.kr/~kisung
끝없이 오르는 국제 원자재 · 곡물 값
서론(문제 제기) <사회적 환경 여건> • 한우브랜드의 타 브랜드/지역과의 차별화 • 사료비 폭등에 따른 사료비 절감 노력 • 조사료 자급 대책이 모든 지역에서의 현안 • 적응하면 또 잊어 버리는 우리
지역내에서 조사료 생산, 부존자원(부산물)의 활용 ( 자원순환형 축산 ) • 생산된 조사료 및 부존자원의 효율적 조제/저장이용 ( 건물손실의 최소화 ) • 부족한 부분만 수입으로 충당 ( 보조수단 ) 조사료 자급률 향상 기본 방향 ## 조사료 수급계획 수립이 중요 ##
사료수급계획 수립 ◎ 조사료 재배 면적 및 생산량 확보 방안 - 자가 포장 - 임대 포장 ◎ 각종 지역 부산물의 활용 방안
< 사료급여량 계산 예 > : 사료수급계획수립을 위한 ◎ 한우(거세) 체중 : 350 kg / 일당증체량 : 1 kg / 건물섭취량 : 6.67 kg 조단백질 : 12.1% (807 g), TDN : 74% (4.91 kg) ◎ 사료성분 및 급여량 배합사료 + 볏짚 --- IRG + 볏짚또는+ 배합사료 4.5 + 3 15 + 3 (?)또는+ 1kg
<배합사료 (4kg)와 볏짚 (2.7kg) 급여시(예시) > # 연간 사료수급계획 작성으로 사료공급의 안정성 확보 # 양질의 조사료 생산으로 배합사료비 절감에 기여
조사료 (사료작물/초지) 생산 < 작부체계 (2모작) 에서의 주의사항 > 주작물 (전작물) + 부작물 (후작물) 옥수수 호밀 수단그라스 + 연맥 벼(논) IRG : 보리 : ## 주작물의 생산량 향상에 중점을 둘 것 ##
조사료의 이용 - 사일리지(?) : 포항 - 건초(??) : *농가/지역특성 고려 - 방목(???) :
사일리지의 건물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 사일리지 조제시 에너지 손실 >
원형곤포 연맥사일리지의 수분함량 및 보관 상태에 따른 비교 <보관이 불량한 보관상태> O 수분 함량 : 71.3 % O pH : 7.0 <보관이 우수한 보관상태> O 수분 함량 : 62.8% O pH : 4.3
30 70 60 40 50 50 40 60 30 70 80 20 80 20 원형곤포 맥류 사일리지의 조제시 권장 수분함량 < 건물 함량 > 권장 수준 현재 수준 < 수분 함량 > 권장 수준 현재 수준
지역내 부존자원의 효율적 이용 < 본 연구실 실험 결과 > ★ H사의 맥주 부산물 생산량 : 연간 약 330만톤 (맥주 부산물 = 맥주박 + 맥주 폐 효모) ★ TMR의 원료로서 사용가능 : 생산비 절감 및 고급육 생산 가능 ★ 부산물위주 TMR의 급여에 따른 Holstein 거세육우의 결과 ★ 실험 기간 : 2006. 4 ~ 2008. 5 ★ 공시 가축 : 거세한우 : 10두. 거세 Holstein 육우 : 10두 ★ 처리 제한 급여구 (TMR 10) : 10% 증량 급여한 군 무제한 급여구 (TMR 30) : 30% 증량 급여한 군 ※ 일본 육우 사양표준(1996)
< 한우 도체등급 > * 08년 2월 26일 출하 2두 중 1두는 화농성물질, 1두는 성장부진으로 조기 출하
< 육우 도체등급 > C(근염)- 등급판정 부위인 등심 절개면에 약하게 근염 발생 F(기타)- 수종 증상과 약하게 근염 증상 복합적으로 발생 # 부산물의 정확한 사료 성분 파악 ## TMR 배합비의 세심한 계산
시스템구축을 위한 발전방향 - 농산부산물 활용(NOFSAB)시 고려사항 (Nonstop Feeding System of Agri-industrial ByProducts) Up Stream (부산물 생산지) Down Stream (축산농가) 사료/TMR조제 즉시 공급 ⊙ 농산부산물의 종류, 특성, 생산량 ⊙ 농산부산물 처리방법 ⊙ 소요면적 ⊙ 환경 오염문제 ⊙ 운반 ⊙ 기타(제도적 장치 등) ⊙ 영양가치(사료성분, 발효품질, 영양소소화율) ⊙ 사료가치(산유량, 산육량, 사료효율) ⊙ 급여방법(적정 급여량) ⊙ 경제성(사료대체효과, 사료비) ⊙ 선입견 ⊙ 기타(제도적 장치 등) 경일
-관련기관 역할 경종농가 (부산물농가) - 세제 등 각종 지원책 마련 •신선한 원료의 보장 •매일 또는 정기적 수거 •품질의 균일성 유지 •일정한 생산량 유지 사료/ TMR조제 축산농가
- 지역/생산지 중심의 TMR센터 설치 TMR 센터 농산부산물/수익 TMR 수익 수익 축산농가 부산물생산 •경종농가 •가공공장 농산부산물/수익 유기질비료/수익 • 사료비 절감(자급율 항상) • 환경오염 방지 • 지역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