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k likes | 3.57k Views
제 5 장 유압 부속기기. 제 5 장 유압 부속기기. 유압 탱크 여과기 축압기 냉각기 가열기 오일 실 배관 기타. 1. 유압 탱크 (Tank). 탱크의 기능 저장 기능 열의 발산 ( 펌프 토출량의 2~3 배 ) 공기의 제거 오염 물질의 침전 응축수의 제거 펌프 , 구동 모터 등 유압 부품의 설치 공간 제공. 저장 탱크를 설계할 때에 고려사항. 펌프의 토출량 최대 허용 유압유의 온도와 작업 시 발생되는 열 유압유가 액추에이터에 공급될 때와 되지 않을 때의 최대 체적 차이
E N D
제 5 장 유압 부속기기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제 5 장 유압 부속기기 • 유압 탱크 • 여과기 • 축압기 • 냉각기 • 가열기 • 오일 실 • 배관 • 기타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1. 유압 탱크 (Tank) 탱크의 기능 • 저장 기능 • 열의 발산(펌프 토출량의 2~3배) • 공기의 제거 • 오염 물질의 침전 • 응축수의 제거 • 펌프, 구동 모터 등 유압 부품의 설치 공간 제공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저장 탱크를 설계할 때에 고려사항 • 펌프의 토출량 • 최대 허용 유압유의 온도와 작업 시 발생되는 열 • 유압유가 액추에이터에 공급될 때와 되지 않을 때의 최대 체적 차이 • 유압 시스템의 적용 장소(이동식 또는 고정식 유압 장치) • 유압유의 순환 시간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탱크의 구조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오일 탱크의 구비 요건 ①오일탱크 내에서는 먼지, 절삭분, 윤활유 등의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주유구에는 여과망과 캡 또는 뚜껑을 부착하고 오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조. ②공기(빼기) 구멍에는 공기 청정기를 부착하여 먼지의 혼입을 방지하고 통기용량은 유압펌프 토출량의 2배 이상 ③소형 오일탱크는 에어블리저가 주유구를 공용시켜도 무방. ④오일탱크 내에는 방해판으로 펌프 흡입측과 복귀측을 구별하여 오일탱크 내에서의 오일의 순환거리를 길게 하고 기포의 방출이나 오일의 냉각을 보존하며 먼지의 일부를 침전케 할 수 있도록 한다. ⑤오일탱크의 바닥면은 바닥에서 최소 간격 15㎝ 간격 ⑥오일탱크는 완전히 세척할 수 있도록 제작 ⑦스트레이너의 삽입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출입구를 만든다. ⑧스트레이너의 유량은 유압펌프 토출량의 2배 이상 ⑨탱크의 내면은 방청과 수분의 응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질의 내유성 도료를 도장 또는 도금 ⑩정상적인 작동에서 발생한 열을 발산할 수 있어야 한다.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오일 탱크의 부속 장치 ①입구 캡(filler cap) : 오일 주입구를 닫았을 때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것 ②유면계(oil level gauge) : 외부에서 오일 탱크내의 오일량을 점검하기 위한 것 ③버플(buffle) : 오일 탱크로 돌아오는 오일과 펌프로 가는 오일을 분리시키는 일을 한다. ④출구 라인과 리턴 라인: 공기의 접촉과 맴돌이가 가장 적은 곳에서 오일 탱크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⑤입구 여과기(inlet filter) : 보통 스크린으로 되어 있으며, 유압 장치의 여과기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대개의 경우 오일 탱크 안에 설치되어 있다. ⑥드레인 플러그(drain plug) : 오일 탱크 내의 오일을 전부 배출시킬 때 사용하는 것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탱크의 구조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탱크의 구조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Lube oil rundown tank는 Main & standby lube pump fail에 의해 압축기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베어링이 고온이 되어 로터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계속적인 lube oil 을 공급하기 위함이며 lube oil header 압력이 압축기 축 center line 으로부터 rundown tank의 lube oil 액면 높이에 해당하는 수두보다 작아지게 되면 공급된다. • 보통 lube oil pressure low trip치 보다 낮다. • 2대의 lube oil 펌프가 모두 고장이 발생하여 정지되는 경우 main 압축기 및 구동기는 oil 공급 압력 저하에 의해 가동이 정지되고 정지되는 동안 오일 공급이 없으므로 베어링 등이 과열되어 베어링 손상 및 축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run down tank 를 설치하여 정지되는 동안에 오일을 필요 부위에 공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 run down tank에 보온 또는 steam tracing 등을 하여 탱크내 오일 온도를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게 하며 탱크내 오일이 소량씩 overflow되어 reservoir로 흘러가게되어 있다. • 비상시에는 main 피동기 및 구동기 보호를 위해 오일 펌프 구동기에는 비상 power을 연결하는 것이 좋다.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탱크의 크기 탱크의 크기 • 고정식 유압 장치인 경우에는 분당 펌프 토출량의 3~5배의 유압유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 • 이동식 유압 장치인 경우에는 분당 펌프 토출량의 1배 정도의 크기 여기에 10~15%정도의 여유를 준다.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차단판(baffle plate)의 사용예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여과기(Filter) 오염(contamination)물질 이 유입되면 유압 기기의 파손, 작동불량 등으로 기계공장의 75%를 차지 • 습동부의 마찰이 커져 로 성능 저하, 누유 발생 • 오리피스 작동 불량, 채터링 발생 • LOCK 현상 발생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여과 등급 오염 입자의 크기는 ㎛(마이크로 미터 또는 미크론)로 표시되며 필터의 여과 등급 역시 ㎛로 표시된다. 1 ㎛는 백만 분의 1 미터(10-6m) 또는 천 분의 1 밀리미터(10-3mm)이다. 여과기(Filt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여과기(Filt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펌프를 고장나게 할 염려가 있는 약 100메시 이상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오일필터와 조합하여 사용 오일 탱크내의 펌프 흡입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먼트를 직접 탱크 내에 부착하는 구조 흡입 저항을 되도록 적게 하고, 또 공동 현상(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해 큰 여과 면적(여과 능력은 펌프 흡입량의 2배 이상)을 가지고 있다. 여과 입도는 100~150μm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과 재료는 철망이나 와이어 메시(wire mesh) 사용 압력 강하는 50~100㎜Hg 이하에서 사용 스트레이너가 막히면 펌프가 규정 유량을 토출하지 못하거나 소음을 발생 오일이 여과재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흘러내려가 여과되게 되어 있고, 또 여과재가 막혔을 때는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strain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스트레이너의 연결부는 오일탱크의 작동유를 방출하지 않아도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윗면을 유면보다 10˜15cm이상의 깊이로 되게 하고 오일 탱크 바닥 부분에서 약간 떨어지게 세팅하여 오일탱크 바닥에 침전하는 먼지나 슬랙 등을 스트레이너에 흡입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다. 스트레이너(strain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스트레이너(strain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흡입 필터 여과등급이 25~240 ㎛인 스트레이너(strainer)가 주로 사용 스트레이너와 마찬가지로 펌프의 흡입 쪽에 설치 관로용 필터 압력 라인이나 리턴 라인에 설치하는 것으로 엘리먼트가 케이스 내에 있어 배관을 풀지 않고도 엘리먼트를 교환 가능 필터(Filt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압력 필터 압력 필터의 여과 등급은 3~40㎛정도가 많이 사용 , 통과 유량은 330 ℓ/min까지 밸브가 열리는압력은 3.5± 0.5 ㎏f/㎠ 압력 강하는 정격 유량에서 1.0㎏f/㎠ 또는 정격압력의 1%의 어느 것 가운데에서 큰 값이하, 엘리먼트는 6㎏f/㎠의 압력에 견디어야 한다. 관로용 필터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바이패스식 필터 벤투리관으로 되어 있어 그 스로틀 부분에서의 압력 강하에 따라 엘리먼트 내부의 오일을 빨아올리게 되어 있다. 오일 전량을 여과할 수 없어 서보 밸브 등의 정밀한 기기를 사용한 회로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관로용 필터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복귀 필터 복귀 필터의 여과 등급은 5~40㎛ 정도 통과 유량은 복귀 필터가 탱크에 설치되어 순환 여과시키는 경우는 1300ℓ/min, 배관에 설치되는 경우 3900ℓ/min 까지 정격 압력은 10㎏f/㎠ 밸브가 열리는 압력은 1.5 ± 0.3㎏f/㎠, 압력 강하는 0.6 ㎏f/㎠ 이하 관로용 필터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순환 필터 회로 내에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용의 펌프로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것 여과도는 10~40μm으로 리턴 필터용의 저압의 것사용 필터의 선정 주의 사항 ㈎여과 엘리먼트의 종류 ㈏여과 입도, 여과 성능 ㈐유체의 유량, 점도와 압력 강하 ㈑내압과 엘리먼트 내압 여과등급이 25~240 ㎛인 스트레이너(strainer)가 주로 사용. 필터(Filt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표면식 필터 표면에서만 여과가 이루어진다. 여과 재료는 구멍 크기가 일정한 것이 적당하고 강인하거나 접착력이 강한 여과재료 (직포,철망)가 사용된다. 필터(Filt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필터(Filter) • 적층식 필터 • 여과면이 여러 개 중첩되고 각각의 면에 여유가 이루어진다. • 여과 재료 구멍의 크기는 제거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보다 약간 크다 싶은 것을 사용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필터(Filter) • 자기식 필터 • 자석을 이용하는 필터로서 오일 중에 흡입되고 있는 자성 고형물을 자석에 흡착 시키는 것으로 자석을 다른 필터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과 자석을 필터의 바깥둘레에 철망과 같이 쳐 놓고 오일 속의 철분을 흡착시키게 한 것이 있다. • 이 필터는 통과 회수를 여러 차례로 하여 정화한다.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여과재의 종류 ⑴페이퍼 : 기름 종이에 페놀 수지를 같이 담가 고온 처리를 하여 내수성과 기름종이의 강도를 강화한 것. ⑵소결 합금 : 스테인레스강, 청동, 황동 등의 미립자를 그 재료의 용융점보다 조금 낮은 온도에서 소결 합금한 것으로, 막힘은 초음파 등으로 청소하고, 여과 입도는 2~6㎛ 정도이며, 청동은 약 14㎏f/㎠의 압력에 견딜 수 있다. ⑶금속망 : 스테인리스강, 모넬, 니켈, 황동 등으로 만들어지고 여과 입도가 작은 것에는 평직과 능직이 사용 ⑷와이어 메시 : 모넬, 스테인리스강, 청동 등의 와이어에 일정한 높이와 간격으로 돌출부를 기계적으로 두고, 이것을 원통 모양으로 하여 사용하는 여과 입도는 25㎛로 부터 250㎛ 정도 필터(Filt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사용 조건 ⑴여과 입도 보통의 유압 장치 : 20~25㎛ 정도의 여과 미끄럼면에의 정밀한 공차가 있는 곳 : 10㎛ 까지 여과 세밀하고 고감도의 서보 밸브를 사용하는 곳 : 5㎛ 정도 특수 경우 : 2㎛ 까지 ⑵불연성 작동 오일 흡착성이 있는 산성, 활성 백토, 규조토를 이용한 여과재를 사용하면 작동 오일의 첨가제를 제거하게 되므로 피하여야 한다. 석유계 작동 오일에 비하여 비중이 크므로, 펌프의 흡입 쪽에 사용되는 필터는 40~60 메시(340~230㎛)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터(Filt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필터 성능 표시 ①통과 먼지 크기 ②먼지의 정격 크기 ③여과율 (정격 크기) ④여과 용량 ⑤압력 손실 ⑥먼지 분리성 필터(Filter) 표면식과 적층식 필터의 입자 제거 능력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⑴여과 효율(먼지를 제거시킬 수 있는 능력) 필터의 성능곡선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특성을 갖고 있는 필터는 10μ 이상의 먼지는 100% 제거할 수 있으나 8μ이상의 먼지에 대하여는 80%, 5μ이상의 먼지에는 30%를 제거시킬 수 있다. 먼지의 크기는 여과 효율이 90%인 때의 먼지의 크기를 그 정격의 크기라 하며, 효율은 보통은 90 ~ 98% 정도 필터(Filter) 필터의 성능 곡선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⑵필터 용량 필터의 압력 손실이 규정압력 이상으로 되지 않는 범위에서 필터에 쌓이는 먼지의 중량으로 표시 ⑶압력 손실 필터의 압력 손실은 단위 여과 표면적당의 압력손실로 표시 허용치는 여과재료의 강도에 의하여 정해진고, 흡입측에서의 압력 손실은 0.1kgf/cm2이하, 토출측에서는 0.5kgf/cm2정도까지 사용 압력 손실은 처음에는 먼지의 첨가량에 비례하고, 어느 수치 이상이 되면 급격히 상승. 굽음각을 임계점이라 부르며 적층식 필터의 임계점은 분명하지 않으나 표면식 필터는 매우 명료. 먼지의 첨가량은 적층식 보다 적어 표면식 필터는 급격하게 압력 손실이 증대하므로 여과 재료의 파손을 보호하는 장치를 달아둘 필요가 있다. 필터(Filte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필터(Filter) 유량, 압력 손실 점도와의 관계 먼지에 의한 압력손실의 특성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필터(Filter)의 연결 장소 필터연결 장소의 대표적 예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⑴스트레이너 또는 석션필터 보통 오일탱크의 펌프 흡입관로에 연결되며, 눈의 크기는 100~200 메시의 거친 것으로 압력강화를 되도록 작게 한다. ⑵바이패스 필터 전 유량을 여과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펌프 토출량의 10%정도를 흡수형 필터로 사용 ⑶압력라인 필터 전 유량 또는 회로중의 일부분을 여과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 ⑷릴리프 밸브 배출필터 작동유가 릴리프 밸브에서 오일 탱크에 복귀되는 경우에 사용 필터(Filter)의 연결 장소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⑸복귀라인의 필터 회로의 복귀측에 필터를 연결하면 유압 실린더나 유압모터에서의 복귀 오일 전량을 여과할 수 있다. ⑹보조필터 저압 소용량의 보조펌프와 저압필터에 의하여 장치의 일부분으로서 설치하거나 포터블 유닛으로 하여 가끔 여과하는 방식으로 사용 바이패스 필터를 사용할 수 없는 큰 장치에 이용된다. 필터(Filter)의 연결 장소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필터는 정기적으로 점검 보통의 사용 상태로는 3개월에 1회 정도 여과 재료를 분해하고 청소 (가솔린, 트리크레인 등)에 장시간 담가 놓은 다음 브러시질을 하고 필터 재료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역취하면 좋다. 또, 용재 (트리크레인 등) 중에서 초음파 청소를 하면 5-6분으로 원래 상태로 된다. 필터의 보수 점검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축압기: 용기내의 압력이 있는 오일을 압입하고 고압으로 저장함으로써 유용한 작업을 하게끔 하는 압유저장용 용기로서, 유압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 가. 어큐뮬레이터의 용도 ①충격 흡수용 압력이 최고일 때 여분의 오일을 저장하였다가 서지(surge)가 지난 후에 다시 내보내는 일을 하며, 이때 장치 내의 진동과 소음이 감소된다. 또, 어큐뮬레이터는 가변 송출 펌프가 행정을 시작할 때와 같이, 압력의 상승이 지연되는 동안 저장했던 오일을 방출하여 유압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②압력의 점진적 유압 프레스에서와 같이 고정 부하에 대한 피스톤의 동력 행정을 부드럽게 하며, 이 때, 상승하는 오일 압력의 일부를 흡수하여 행정을 느리게 한다. ③일정 압력 누출, 팽창, 수축 등으로 오일의 체적이 변해도 장치내의 압력이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축압기(Accumulato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⑴유압 에너지의 축적 간헐 운동을 하는 펌프의 보조로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대토출 펌프를 대신할 수 있다. 정전이나 사고 등으로 동력원이 중단될 경우 축압기에 축척한 압유를 방출하여 유압 장치의 기능을 유지시키거나 펌프를 운전하지 않고 장시간 동안 고압으로 유지시켜 서지 탱크용으로도 사용. ⑵2차 회로의 구동 기계의 조정, 보수 준비 작업 등 때문에 주 회로가 정지하여도 2차 회로를 동작시키고자 할 때 사용. ⑶압력보상 유압회로 중 오일 누설에 의한 압력의 강하나 폐회로에 있어서의 유온 변화에 수반하는 오일의 팽창, 수축에 의하여 생기는 유량의 변화를 보상 ⑷맥동제거 유압펌프에 발생하는 맥동을 흡수하여 첨두압력을 억제하여 진동이나 소음방지에 사용하고, 이 경우 노이즈 댐퍼라고도 한다. 축압기(Accumulato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⑸충격 완충 밸브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생기는 유격이나 압력 노이즈를 제거하고, 충격에 의한 압력계, 배관 등의 누설이나 파손을 방지 ⑹액체의 수송 유독, 유해, 부식성의 액체를 누설 없이 수송하는데 사용. 이 경우 트랜스퍼 바이어라고도 부르고 있다. 축압기(Accumulato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나. 어큐뮬레이터의 형식 ⑴뉴메틱 어큐뮬레이터(pneumatic accumulator) 기체의 압축성을 이용한 것으로 불활성 가스를 사용 오일 압력이 상승되면 유입되는 오일이 가스를 압축하고, 오일 압력이 낮아지면 가스가 팽창되면서 오일을 밖으로 배출 사용상 주의점 어큐뮬레이터에 산소와 공기를 충전해서는 안 된다. 어큐뮬레이터에는 건조한 질소와 같은 가스를 충전한다. 어큐뮬레이터는 작동 압력에 적합하게 충전한다. 어큐뮬레이터를 유압 회로에서 분리할 때는 먼저 유압을 제거한다. 어큐뮬레이터를 분해할 때에는 먼저 가스와 유압을 제거하고, 구멍에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축압기(Accumulato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가)피스톤형 어큐뮬레이터 피스톤 로드가 없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구조 피스톤은 매끈한 내면을 따라 운동하게 되어 있고, 오일과 가스를 분리하기 위한 패킹이 삽입 이중 패킹인 경우는 오일 압력을 줄이기 위해 브리더(breather)를 두고 있다. 크기에 비해 높은 출력을 내고, 작동이 정확하지만, 가스 혼입 및 오일 누출의 문제가 있다. (나)브래더형 어큐뮬레이터 플렉시블 백(flexible bag) 또는 블래더(bladder)는 합성 고무로 되어 있고, 그 안에 오일과 가스가 분리되게 되어 있으며, 고무 백은 관성이 작고 응답성도 매 우 좋으며, 보수도 간단. (다)다이어프램형 어큐뮬레이터(diaphragm type accumulator) 가스와 오일을 분리하기 위하여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휘는 고무제의 엘리먼트 몰드로 되어 있는 금속 엘리먼트를 사용, 경량으로 항공기 장치에 사용 축압기(Accumulato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축압기(Accumulato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축압기(Accumulator) 브래더형 축압기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⑵추 부하 어큐뮬레이터(weight loaded accumulator)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 피스톤에 작용되는 추의 무게로 오일에 에너지를 주게 되어 있다. 일정한 압력을 유지 할 수 있으나, 운동 부분의 관성이 크고, 응답성도 좋지 않아 충격이나 맥동의 흡수에는 적합하지 않고, 구조가 크고 값이 비싸서 설치를 하는데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 축압기(Accumulato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⑶스프링 부하 어큐뮬레이터(spring loaded accumulator) 스프링 부하에 따른 변위에 의해 생기는 힘과 유압이 평행을 이룬다. 예충전이나 재충전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유압 회로의 용량이 크거나 고압일 경우 어큐뮬레이터의 부피가 너무 커져 회로의 용량이 작거나 저압인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축압기(Accumulator)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축압기의 특징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축압기의 특징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축압기의 특징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축압기의 특징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
축압기의 특징 성남기능대학(무단복제를 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