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

복숭아 살충제 계통별 분류

2012. 5. 23 강원 횡성 복숭아전문지도연구회 과제발표. 농화학기술사. 복숭아 살충제 계통별 분류. 여주군농업기술센터 정건수. 작용점에 따른 분류 ( 나방류 ). 신경계 흥분성 신경계에 작용 1.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약제 2.Na+ 채널 조절자 - 피레스로이드 약제 3. nAChR 촉진제 - 부메랑 4. 전압구배에 의존하는 Na+ 채널저해제 스튜어드 5. Ryanodine 수용체 조절자 비사마이드 약제 ( 애니충 , 알타코어 )

naeva
Download Presentation

복숭아 살충제 계통별 분류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2. 5. 23 강원 횡성 복숭아전문지도연구회 과제발표 농화학기술사 복숭아 살충제 계통별 분류 여주군농업기술센터 정건수

  2. 작용점에 따른 분류(나방류) • 신경계 • 흥분성 신경계에 작용 • 1.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 •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약제 • 2.Na+채널 조절자 - 피레스로이드 약제 • 3. nAChR 촉진제-부메랑 • 4. 전압구배에 의존하는 Na+채널저해제 • 스튜어드 • 5. Ryanodine 수용체 조절자 • 비사마이드 약제(애니충,알타코어) • 억제성 신경계에 작용 • Cl- 채널활성제 • 버티맥,에이팜, 밀버멕틴 • 2. GABA 에 의해 조절되는 Cl- 채널 저해제– 엔도설판, 피프로닐. 장에 작용(중장) 1.미생물에 의한 장파열 비티제 대사과정 1.산화적 인산화 과정저해 페가써스 2.산화적 인산화 과정저해 렘페이지(섹큐어) 탈피관련 탈피호르몬유도체 미믹,런너,팔콘 키틴합성 키틴합성저해제 매치, 디밀린,라이몬,아타브론, 알시스틴, 카스케이드, 노몰트

  3. 작용점에 따른 분류(가루이) 신경계 1.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약제 2.Na+채널 조절자 - 피레스로이드 약제 3. nAChR촉진제-네오니코틴노이드 약제 4. GABA 에 의해 조절되는 Cl- 채널 저해제엔도설판, 피프로닐. 선택적 섭식 저해 구침 마비, 굶어 죽음 체스 탈피관련 유약호르몬유도체 신기루 생합성 과정 1.산화적 인산화 과정 ATP 합성 저해 페가써스 2.지질 합성 저해 지존 키틴합성 키틴합성저해제 부프로페진

  4. 작용점에 따른 분류(살비제) 응애 생장조절제 줌 선택적 섭식 저해제 체스, 세티스 대사과정 1.미토콘드리아 complex III 전자전달계 저해 가네마이트, 해내미(플루아크리피림) 2.미토콘드리아 complex I 전자전달계 저해 METI게 살비제-피라니카,살비왕 3. 지질 합성 저해제 -시나위, 지존

  5. Na+ channel 피레스로이드 시냅스전막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 시냅스간극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시냅스후막 아세틸콜린수용체 린수용체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부메랑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제들의 작용점

  6. 신경계 (유기인계) • 작용 기구 • 신경화학전달물질인 Acetylcholine을 분해하는 Acetylcholine eserase(AChE)의 활성작용을 저해 함. • Ach는 시냅스에 축적되어 신경전달 기능에 이상을 일으키게 되고 경련과 마비로 연결되어 곤충을 치사시키게 됨. • 유기인계 약제 • 수프라사이드 • 더스반(그로포), 디디브이피, 메프(스미치온), 아시트(오트란), 오메토(호리마트), 파마치온, 프로치오포스(토쿠치온), 피리다(오후나크) • 주 적용 범위 • 진딧물 • 잎말이나방, 심식나방, 굴나방

  7. 신경계 (유기인계) • 장 점 • 일반적인 해충의 신경계에 작용하기때문에 살충력이 강하고 적용 해충의 범위가 넓다. • 동식물체 내에서 분해가 빨라서 체내에 오래 축적되지 않는다. • 특히 광에 의한 분해가 빨라 잔효성이 짧다. • 식물체에 대한 침달성이나 침투 이행성이 뛰어나다. • 단 점 • 일반적으로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강하다. • 알카리에 대하여 분해되기 쉽다. • 천적에 대한 영향이 크다.

  8. 신경계(카바메이트계) • 작용 기구 • 신경화학전달물질인 Acetylcholine을 분해하는 Acetylcholine eserase(AChE)의 활성작용을 저해함. • Ach는 시냅스에 축적되어 신경전달 기능에 이상을 일으키게 되고 경련과 마비로 연결되어 곤충을치사시키게 됨. • 카바메이트 약제 • 나크(세빈), 신기록, • 프라치오카브(델타네트) • 주 적용 범위 • 진딧물 • 잎말이나방, 굴나방

  9. 신경계 (카바메이트계) • 장 점 • 일반적인 해충의 신경계에 작용하며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다. • 유기인계살충제에 의해 방제되지 않는 해충의 방제에 효과적임 • 동식물체 내에서 분해가 빨라서 체내에 오래 축척되지 않는다. • 단 점 • 적용범위가 유기인계 약제에 비해 떨어진다 • 천적에 대한 영향이 크다.

  10. 신경계(피레스로이드계) • 작용 기구 • 합성피레스로이드계는 신경계의 축색에서의 신경자극전달을 저해 • Na+이온이 신경막을 통과할 때 통로문의 개폐 역할을 하는 ATPase를 저해함. • 피레스로이드계 약제 • 주렁(할로스린) • 델타린(데시스), 비펜스린(타스타), • 피레스, 에토펜프록스(트레본), • 주 적용 범위 • 진딧물 • 잎말이나방, 굴나방,심식나방

  11. 신경계(피레스로이드계) • 장 점 • 인축에는 상대적으로 매우 안전한 반면 곤충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선택독성을 가진다. • 동식물체 내에서 분해가 빨라서 체내에 오래 축척되지 않는다. • 단 점 • 어독성이 매우 높은 경향이 있다. • 천적에 대한 독성이 매우 높다.

  12. 신경계(네오니코틴노이드계) • 작용 기구 • 시냅스 후막에서 신경 전달물질인 ACh와 경합. • ACh대신에 수용체에 강하게 결합되어 ACh와 같은 양상으로 세포막의 투과성을 변화시킨다 • 이곳을 과잉자극하여 이상흥분시키고 ACh의 수용체 결합을 방해하여 자극 전달을 촉진한다. 네오니코틴노이드 약제 • 치아메톡삼(아타라) • 아세타미프리드(모스피란), 이미다클로프리드(코니도) 치아클로프리드(칼립소), 클로치아니딘(빅카드,똑소리) • 주 적용 범위 • 진딧물, 배나무이, 깍지벌레류, • 사과굴나방, 은무늬굴나방 • 노린재류 Neo-nicotinoid

  13. 신경계(네오니코틴노이드계) • 장 점 • 매우 낮은 약량에서도 우수한방제효과를 나타낸다. • 선택성이 높고 천적이나 인축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침투 이행 효과가 뛰어나 굴나방등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 단 점 • 큰 나방류에 대한 효과가 떨어진다. • 가격이 비싼편이다.

  14. 표피 생합성(곤충생장 조절제) • 장 점 • 인축에는 매우 안전한 약제이며 현재까지 보고된 부작용은 없다. • 신경계에 작용하는 다른 약제들과는 전혀 다른 작용기작을 가지므로 그 약제들과 교차저항성이 없다. • 단 점 • 방제범위 및 시기가 매우 제한적이다. • 나방류를 제외한 해충에 대해서는 거의 효과가 없다.

  15. 신경계 – 근육 수축 작용(Ca+ 채널 활성제) • 작용 기구 • 곤충 의 근육세포에 존재하는 Ryanodine 수용체에 작용하여 Ca++을 방출하게 함으로써 계속적인 근육 수축으로 치사에 이르게 한다. • 비사마이드 계통약제 • 볼리암후레쉬, 앰플리고, 쏘로스 • 알타코어(CTPR), 애니충, • 주 적용 범위 • 나방류 전문 약제 버티맥 작용점

  16. 억제성 신경세포 흥분성 신경세포 시냅스 전막 시냅스 간극 GABA Cl - 시냅스 후막 근육세포 신경계 – 항생제(Cl-채널 활성제) • 작용 기구 • 곤충 및 응애류의 억제성 신경계에 작용하여 신경전달을 못하게 함으로써 살아있는 상태 그대로죽음에 이르게 한다 • 항생제 계통약제 • 아바멕틴(버티맥),에마멕틴(에이팜) • 밀베멕틴(밀베노크) • 주 적용 범위 • 사과응애, 점박이응애 • 굴나방류, 심식나방류, 잎말이나방류 • 꼬마배나무이, 깍지벌레 • 총채벌레류 버티맥 작용점 근육 수축저해

  17. 신경계 – 항생제(Cl- 채널 활성제) • 장 점 • 알을 제외한 모든 응애 및 해충류에 효과를 가진다. • 침달성이 매우 우수하여 잎뒷면의 해충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 광에 쉽게 분해되어 천적이나 유용 해충에 대한 영향이 적다. • 단 점 • 응애류의 알에 대해서 효과가 없다.

  18. 표피 생합성-곤충 생장 조절제 (IGR) 곤충 표피의 생합성에 관여 • 키틴합성저해제 • 작용 기구 • 곤충의 탈피시에 생성되는 성분인 키틴의 합성을 저해하여 죽음에 이름 • 키틴합성저해제 계통 약제 • 루페누론(매치), 주론(디밀린) • 노발루론(라이몬), 크로르푸루아주론(아타브론), 트리므론(알시스틴), 플루페녹수론(카스케이드), 테프루벤주론(노몰트) 탈피호르몬 유도체 • 작용 기구 • 곤충의 탈피에 관련되는 탈피호르몬(Ecdyson Hormone)의 유도체로서 조기 탈피를유도하여 살충 효과를 나타냄 • 탈피호르몬 유도체 계통 약제 • 테부페노자이드(미믹), 메톡시페노자이드(팔콘,런너),

  19. 키틴 합성 저해제-작용기구 곤충의 탈피시에 생성되는 성분인 키틴의 합성을 저해하여 죽음에 이르게 된다. 나방류에서만 효과를 가지며 유충시기를 방제대상으로 하는 약제들이다. glucose 외표피 원표피 Glucosamin-6-인산 N-acetyl glucosamin UDP-N-acetyl glucosamin IGR계 (매치,디밀린) 진피세포 기저막 Chitin중합체

  20. 탈비 관련 호르몬 유도체-작용기구 곤충의 탈피에 관련되는 탈피호르몬(Ecdyson Hormone)의 유도체로서 조기 탈피를유도하여 살충 효과를 나타냄. 주로 나방류에서 효과를 가지며 유충시기를 방제대상으로 하는 약제들이다. 탈피시 호르몬 변화 탈피전 탈피후 유충호르몬 농도  (JH hormone) 탈피호르몬 농도  (Ecdyson)

  21. 신경계 – 근육 수축작용(Ca++ 채널 활성제) • 장 점 • 매우 낮은 약량에서도 우수한방제효과를 나타낸다. • 선택성이 높고 천적이나 인축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약효 지속성이 매우 뛰어나 살포간격을 늘릴 수 있다. • 나방류 뿐 아니라 일부 딱정벌레류에도 효과가 있다. • 단 점 • 성충에 대한 방제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22. 대사과정- METI 제 • 작용 기구 • 응애류의 미트콘드리아에 존재하는 전자 전달계에 작용하여 전자의 전달을 저해함으로서 치사에 이르게 된다 • METI계 약제 • 테부펜피라드(피라니카) • 클로르훼나피르(섹큐어), 페나자퀸(보라매, 응애단), 피리다벤(산마루) 펜피록시메이트(살비왕) • 주 적용 범위 • 사과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23. 대사과정 - METI 제 • 장 점 • 모든 응애류에 대하여 효과가 우수하며 응애의 전생육단계에 대해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 단 점 • 저항성의 발현으로 지금은 거의 모든 응애에 대하여 효과가 크게 떨어진다.

  24. 살충제 저항성 발현의 형태 • 대사 작용의 강화를 통한 저항성 –대사과정에서 살충제를 파괴하거나 분해하는 효소 등이 많이 생성되어 저항성이 발현되는 형태 • 침투 작용의 지연 및 감소 –약제의 침투가 감수성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인해 발생되는 저항성 • 행동적 저항성 –저항성 해충이 살충제를 인식하여 피하는 행동을 보임으로서 유발되는 저항성 • 대상 사이트의 변형 –살충제가 작용하는 지점이 변형되어 대상 살충제에 대한 효과가 감소되는 저항성. 계통이 같은 약제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저항성

  25. 친환경 재배기술과 방제처방 워크샾 농업인과 농협을 위해 노력하는 ☎ 080-234-0101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