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 likes | 550 Views
문화에 따른 공포 정서의 차이 ; GSR 과 스틸컷 재인. 실험 연구법 A 조. 목 차. 1. 주제 2. 실험 동기 3. 연구 배경 4. 스틸컷 실험 & 동영상 실험 1) 실험 목적 및 가설 2) 변인 및 측정 방법 3) 실험 내용 4) 실험 분석 결과 5) 논의 및 연구의 한계점. 실험연구법 A 조. 주 제 . 문화의 차이에 따른 공포반응 차이. 공포영화가 다 무섭다는 편견을 버려 !. 실험연구법 A 조. 실험 동기. 서양공포영화가 무서울까요 ,
E N D
문화에 따른 공포 정서의 차이 ; GSR과 스틸컷 재인 실험 연구법 A조
목 차 1. 주제 2. 실험 동기 3. 연구 배경 4. 스틸컷 실험 & 동영상 실험 1)실험 목적 및 가설 2)변인 및 측정 방법 3)실험 내용 4)실험 분석 결과 5)논의 및 연구의 한계점 실험연구법 A조
주 제 문화의 차이에 따른 공포반응 차이 공포영화가 다 무섭다는 편견을 버려! 실험연구법 A조
실험 동기 서양공포영화가 무서울까요, 동양공포영화가 더 무서울까요? -> 네이버 지식인 질문 중 실험연구법 A조
연구 배경(1) 정 서 강한 강도, 정보처리 두뇌 판단 과정에 의해서 발생 뚜렷한 원인 행동의 전 단계에서 임의의 자극이 주어질 때 나타나는, 생리학적인 변화를 포함하는 반응 실험연구법 A조
연구 배경(2) 인지가 정서에 미치는 영향 문화가 인지에 미치는 영향 인지도식 정서촉발 사건에 대한 판단 여부 인지 정서 행동 문 화 실험연구법 A조
실험 목적 실험 2. 동서양 사진에 대한 재인률 차이 측정 공포의 전형성 요인 중 조명의 차이에 의한 재인률 측정 실험 1. 동서양 공포 사진에 따른 반응의 차이 측정 실험연구법 A조
가설 및 변인 • 실험1-1 독립변인: 동양과 서양의 공포 사진 종속변인: 공포반응 차이 가설: 동양에 대한 공포반응이 서양보다 높을 것이다 실험연구법 A조
가설 및 변인 • 실험1-2 독립변인: 공포사진에 대한 친숙함의 정도 • 종속변인: 재인율 가설: 친숙한 동양의 공포사진이 서양의 것보다 재인율이 높을 것이다 실험연구법 A조
가설 및 변인 • 실험1-3 독립변인: 공포 사진의 색상 변화 • 종속변인: 재인율 • 가설: 공포 사진의 전형적인 색상의 변화가 재인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실험연구법 A조
실험 개요 • 날 짜 : 2004년 6월 2일 수 ~ 8일 화 • 장 소 : 중앙대 도서관 6층 실험실 • 참여자 : 중앙대 재학생 30명(20세~27세) • 도 구 : 컴퓨터 1대. 실험연구법 A조
실험 1-1. 절차 • 동서양 스틸컷 각각 16장씩, 총 32장 제시 • 5초 간격으로 스틸컷 제시 • 제시 순서는 랜덤 • 4점 척도에 의해 무서운 정도 체크 (안무섭다-별로 무섭지 않다-조금 무섭다-아주 무섭다) • 개방형질문 1) 가장 기억에 남는 사진 2) 가장 공포스러웠던 사진 3) 그 사진이 공포스러웠던 이유 실험연구법 A조
실험 1-2. 절 차 • 실험 1에서 제시한 32장의 스틸컷 중 동서양 스틸컷을 각각 5장씩 색상 변형 • 변형된 10장의 스틸컷 + 실험 1에서 제시했던 나머지 22장의 스틸컷 : 총 32장의 스틸컷 제시 • 5초 간격으로 스틸컷 제시 • 제시 순서는 랜덤 • 재인 유무 측정(예 –아니오) 실험연구법 A조
실험 분석 결과 실험 1-1 연구결과 동서양 공포반응(무서움의 정도)의 t-test 실험연구법 A조
동 양 서 양 • 3.17 2.90 • 3.07 2.87 • 3.03 2.57
개방형 질문 분석 • Q) 제일 무서웠던 사진은? • A) 9명 실제로 일어날 수 있어서 무서울 때 이불 속에 숨는데 그 곳에까지 귀신이 나타나서 • 6명 많이 봐왔던 장면이라서 학교 괴담이 생각이 나서
그 외의 이유 • 얼굴이 또렷이 안 보임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 • 징그러워서 • 처음 보는 장면이라서 • 공포 영화의 한 장면 같아서 • 분위기가 음산해서 • 섬뜩한 느낌 • 평소에 그런 상상을 해서 실험연구법 A조
실험 분석 결과 실험 1-2 연구결과 동서양 스틸컷 재인률 비교
실험 분석 결과 실험 1-3 연구결과 색상의 변화 인식비교
제 한 점 및 논 의 점 • 외적 타당도의 결여 • 실험 장소의 통제성 결여 • 순서 효과 • 제언 : 전형적인 공포 유발 요소 확장
실험 목적 문화의 차이에 의해 공포반응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본다. 실험연구법 A조
가 설 한국인은 한국적 정서를 반영하는 영상에 더 많은 공포를 보일 것이다 실험연구법 A조
변인 및 측정 방법(1) 독립변인: 헐리우드 공포영화, 토요미스테리 종속변인: GSR 반응 , 사후질문 답변 조작적 정의: 공포반응 영상에 의한 생리/ 인지적 반응 생리반응: GSR 측정 시 피부전기반응 활성화 정도 실험연구법 A조
변인 및 측정 방법(2) 인지반응: *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면 * 가장 무섭다고 생각된 연상 * 기억에 오랫동안 남는 정도 실험연구법 A조
실험 내용 실험장소: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실험실 실험기기: 스톨팅사 폴리그래프 실험영상: 토요미스테리 수원지편, 토요미스테리 하숙집편, 이블데드, 데드캠프 참여자: 20명 실험연구법 A조
분석 결과 (사후 인터뷰1) 실험연구법 A조
분석 결과 (사후 인터뷰2)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 토요미스테리 하숙집 편 후반부 아이 시체 나오는 장면 서양의 공포 잔인 피 엽기적인 살인 극적인 요소 한국적인 공포 원한 처녀귀신 분위기 실험연구법 A조
분석 결과(통계 검증) 반복 측정 T-test를 통해 처치간에 유효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 실험연구법 A조
결과 논의 • 한국적인 공포를 소재로 한 영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GSR활성화 정도가 높다. • 사후질문 중 한국적 공포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았던 단어는 원한, 처녀귀신이고 서양적 공포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았던 단어는 잔인, 피이다 • - 영상제시 실험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다시 실시한 사후인터뷰에서 한국적인 공포를 소재로 한 영상이 좀더 기억에 남았다. 실험연구법 A조
연구의 한계점 • - 정서를 정확하게 구분 짓기가 힘들다. • 폴리그라프 결과의 한계 • 사후질문을 리커트 척도로 제시하지 못함. • 선행연구 부족 실험연구법 A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