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 likes | 655 Views
제 3 장 정신지체 사정 및 평가. 발달력 및 배경정보. 부모와의 면담과정 개방적이고 구체적 질문 발달과정상의 지표 및 영역 표출시기 확인 병력확인에 대한 정보 수집 ( 출생전 , 이후 ) 가족사 출생이전 : 의학적 판단에 의해 발견 학령기 : 교육적 평가와 심리학적 평가 ( 지적결함과 적응행동 ) 교수방법을 위한 평가 : 9 장. 법적 및 윤리적 고려. 장애아동 결정시 단일 절차 사용 금지 견실한 도구 사용 검사 사용 및 운영시 차별 금지 아동의 모국어 존중 훈련된 검사자.
E N D
발달력 및 배경정보 • 부모와의 면담과정 • 개방적이고 구체적 질문 • 발달과정상의 지표 및 영역 표출시기 확인 • 병력확인에 대한 정보 수집(출생전, 이후) • 가족사 출생이전 : 의학적 판단에 의해 발견 학령기 : 교육적 평가와 심리학적 평가(지적결함과 적응행동) 교수방법을 위한 평가 : 9장
법적 및 윤리적 고려 • 장애아동 결정시 단일 절차 사용 금지 • 견실한 도구 사용 • 검사 사용 및 운영시 차별 금지 • 아동의 모국어 존중 • 훈련된 검사자
평가 영향 미치는 학생 변인 • 자극을 이해하는 능력 • 자극에 반응하는 능력 • 규준집단의 특성 • 문항수준의 적절성 • 검사 내용의 경험 여부
규준참조검사 • 참조집단과의 수행 비교 • 표준화 표본집단 • 규준집단의 특성 : 성/지리적 영역/지위/인성 • 규준참조검사 점수와 해석 절차 • 원점수-환산점수-편차IQ • 기술적 특성 : • 신뢰도 • 타당도 • 측정의 표준오차 : 정신지체 정의 연관성
지능이론(개념적 모델) • 심리측정이론 • 단일특성, 다특성 • 정보처리이론 • Sternberg 문제해결, Das의 Pass,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지능지수 • IQ(intelligence quotient) • 정신연령(mental age) • 생활연령(chronological age) • 편차IQ(deviation IQ)
지능평가 • Galton의 지능검사 용어 사용 • Pearson의 통계적 설명 • Alfred Binet와 Simon : 지능측정도구 • 스텐포드 비네검사 : 하위검사요인, 인지능력, 표준연령점수 • Wechsler 유아, 아동용 및 성인용검사 : 언어성과 동작성 구분
지능평가(검사) • 특수아 지능검사(KIPA) • 그림지능검사(PTI) • K-ABC • 3세-18세 • 스텐포드비네(5판) • 웩슬러 지능검사(아동용) • 6세-16세 • KISE-KIT(국립특수교육원) • 고대-비네 검사 • 우드콕-존슨 검사 • 2세-80세
지능검사에 대한 비판과 대안 • 검사에 대한 오해 • 지능은 고정불변이라는 편견 • 지능의 단면으로 전체 판단/잠재력 무시 • 검사결과의 맹신 • 다양한 변수 고려한 결과 해석 • 검사자 및 피검자/정서 및 건강상태 등 • 인종적 문화적 편견 개입 • 문항오류 • 심리측정의 오류 • 지능의 범위 설정의 한계 • 지능지수를 통한 분리교육 유도 • 지능검사의 대안 : 역동적 평가(과정평가)
적응행동 • Doll : 사회적 무능력 • Grossman의 정의 : 개인이 자신이 속한 연령 및 문화 집단에서 기대하는 개인적 독립성, 사회적 책임성 기준에 부합하는 정도 • 적응행동의 영역 : Grossman, AAMR의 10가지 • 지능과 적응행동의 차이점과 보완성
적응행동 평가 • 적응행동 평가의 제한성 : 하위검사내용의 역동성, 변화성, 문화적 규범, 연령에 따른 각지 다른 기대, 보편적 행동과 개별적 행동, 다른 평가 방법 및 결과(다른 평가자), 측정도구의 기술적 제한성(표집집단의 한계) • 평가의 고려사항 • 결과의 활용은 중재와 통합 • 아동의 구체적인 요구와 중재를 위한 정보활용 • 규준지향과 형식적 검사의 조합 • 종합적인 환경 고려하여 정보수집
적응행동의 가정(2002, AAMR) • 적응행동은 다영역적 구인 • 기존의 측정도구는 모든 영역을 포괄 못함 • 적응행동의 결함은 여러 영역(개념, 사회, 실제적 기술)에 걸쳐 있음 • 일부 적응행동은 평정척을 사용하여 측정하기 곤란(파괴성) • 낮은 지적 능력은 적응행동 기술 수행에 영향 • 개인에 대한 일반적 정보는 표준화된 검사로 한계 지님 • 표준화된 적응행동이 모든 행동능력을 반영하지 못함 • 부적응적 문제행동은 적응행동의 획득과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것이 적응행동 특성이나 차원이 아님 • 적응행동은 유아기에서 부터 성인기까지 발달적 맥락에서 검토 • 적응행동 점수는 개인의 문화적 맥락안에서 검토(기회, 동기, 수행) • 적응행동의 한계는 2002 정신지체 정의 이론적 모형의 나머지 4차원(지적능력, 참여/상호작용/사회적 역할, 건강, 상황)에서 고려
평가도구 • ABI(적응행동 목록) • AAMR의 검사도구 : 학교용 • Doll의 사회성숙도 검사 • 독립행동검사 • 이화-바인랜드 적응행동검사 • 위스콘신 행동척도 • 사회성검사(국립특수교육원) • 기타 • 사회적 기술 평정척 • Walker-McConnel Scale of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적응행동 평가에 대한 비판 • 서비스 제공을 위한 평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합의 측면 • 적응행동의 정의와 측정의 어려움 • 지적능력과 적응행동과의 상관성 • 다양한 문화를 고려한 적응행동 평가의 어려움
심리적 정서적 평가 • 새로운 정의에 심리정서적 영역 고려 • 정신분열, 성격장애,기질적 뇌장애, 적응장애, 정서적 장애 • 면접, 관찰, 의학적 평가, 체크리스트 • 도구 • 발달장애인을 위한 정서장애 평정척 • 이상행동조사표
환경적 고려 • 개인이 속한 환경과의 상호작용 고려 • 현재환경에 대한 통합수준, 지원 강도, 서비스 시간 등 평가
중도 및 최중도 정신지체 평가 • 규준지향검사나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한계 • 대안 : 규준참조검사, 준거참조검사, 발달검사 등 비형식적인 검사 • 과제분석 • 비형식적인 의사소통능력 평가(기능적 표현 관찰) • 준거참조검사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