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likes | 550 Views
제 1 강 서론. email: jtyi@dreamwiz.com 자료실 : http://my.dreamwiz.com/jtyi/course/psychology_2006 /course.html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 심리학의 정의 , 범위 , 및 목표 현대 심리학의 성립과 학파 심리학의 연구방법 - 기술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 제 1 절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1. 심리학의 정의 문제 : 인간의 성격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혈액형과 성격의 관계 ?
E N D
email: jtyi@dreamwiz.com • 자료실: http://my.dreamwiz.com/jtyi/course/psychology_2006 /course.html •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 심리학의 정의, 범위, 및 목표 • 현대 심리학의 성립과 학파 • 심리학의 연구방법 - 기술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
제 1절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1. 심리학의 정의 • 문제: 인간의 성격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혈액형과 성격의 관계? • 정의: 인간과 동물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연구하는 과학 • 특징: 종합 학문의 측면을 지님
용어의 정의에 대한 이해 •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구체적 정의. 측정되는 operation에 의한 정의. cf) 추상적 정의 • 구체적인 경험적 용어를 사용하여 관찰과 측정이 가능하게 하는 정의. 개념변인의 특정한 실례를 수량화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선정되는 절차.
사랑의 정의 • 눈물의 씨앗 • 통화빈도의 함수 3.통화량의 함수
1) 전기적으로 촉발된 심상 Penfield의 뇌 실험 - 교과서 p.2 2. 심리학의 범위
2) 애매한 자극에 대한 반응 지각의 착시 현상 또는 애매한 언어표현 • 예: 나는 삼촌 방문이 싫다.
4) 과시(display)와 의사소통의 진화: 단순 사회적 상호작용 • 구애 행동과 장님 아기의 미소 5)복잡한 사회행동 – 사람의 사회행동에는 복잡하고 합리적인 요소가 강하기는 하지만 마치 사고나 이성이 없이 행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예외도 있다. • 1903년 시카고 이로쿠와 극장 화재사건: 약 600명 사망 • 공황(panic)하의 군중 행동 • 보상구조가 원인: 병 실험
3. 입체(복합) 과학: 꿈의 예 • 정신 경험으로서의 꿈의 분석: 胡蝶夢 • 외적 사건의 보충 1) 행동으로서의 꿈 • Rapid eye movement • EEG(뇌전도)의 변화: 역설적 수면 2) 인지로서의 꿈 • 인지의 반영: 주관적 사건 • 꿈의 기억 요인: 깨어 있을 때의 심상력, 방해 요인의 여부
3) 꿈과 사회행동 • 95% 이상이 타인과의 관계 중심 • 문화의 반영: 나쁜 꿈을 꾸면 상대에 선물(Senoi 족) • 내적 갈등의 반영: Freud. 금지된 욕망의 도피 수단. • 현재몽의 잠재적 의미 4) 꿈과 인간 발달 • 3-4세 아동의 꿈과 현실 혼동 5) 개인차 • 성격차 반영: 정신분열증환자의 기괴한 꿈
4. 심리학의 목표 • 과학(심리학)의 목표는 일반 원리 확인 -> 과학적 접근방법의 구체적인 목표: 기술(설명), 예언, 통제 • 특수 개인의 내적 심리 현상의 기술(이해)은 예술(문학)의 목표 • 과학과 예술의 상호 보완성: 과학은 일반원리 발견 후 특수 사항에 적용, 예술은 특정 사례를 사용하여 보편성 추구 => 예술은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과학은 증명한다.
제 2절 현대 심리학의 성립과 학파 (1) Wundt와 구성주의(structuralism) •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 1879년 독일 Leipzig대학. 의식의 연구.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 • 인간이 느끼는 의식이 무엇인가 밝히고자 함. 화학자의 원자 (물질의 최소단위) 연구 유추. 인간의 의식도 그 구성요소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내성법(introspection)을 통해 연구. 이 방법은 의식의 내용을 스스로 관찰하여 언어로 보고하는 방법. • 미국에 전파, 20세기초 미국심리학계의 주도적 역할.
(2) James와 기능주의(functionalism) • 의식연구가 인간이해에 도움되지 않는다고 구성주의 비판하면서, 의식의 전체적 기능에 주목.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감각하고 목표를 추구하는지, 즉 의식의 흐름에 따른 의식작용 과정과 기능을 연구해야. • 미국 실용주의 사상이 배경. • 관찰법 중시.
(3) Watson의 행동주의(behaviorism) • 의식이나 정신은 중세의 유물인 미신. 정의될 수 없고 측정될 수 없다. 막연한 개념을 토대로 과학은 이루어 질 수 없으므로 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은 객관적 관찰이 가능하고 측정할 수 있는 행동만을 다룰 것. 이론적 목표는 행동의 예언과 통제. “나에게 아이를 맡겨 달라. 정치가든 도둑이든 원하는 대로 해 주겠다.” • S-R: 인간이해의 공식. • S-O-R: 수정 공식. Woodworth가 organism을 삽입. 유기체 변수를 고려하여 정신과정이 개재함을 인정. • 실험의 활용
(4) Wertheimer와 형태주의(Gestaltism) • 독일. Gestalt Psychology. 의식의 구성요소는 통합된 전체로 작용.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다” 가현운동(apparent movement), 네온싸인, 영화관 등. 의식현상의 전체적 역동적 파악. 전체는 場의 역동적 조직에 의한 정신과정에 의해 형성. • 지각중심적 해석.
(5) Freud와 정신분석(Psychoanalysis) • 신경증 환자의 임상경험과 사례연구를 통한 학문. 인간의 사고와 행동은 의식보다는 무의식의 지배를 받으므로 무의식을 분석해야만 인간이해는 완전할 수 있다. • 심층심리학(Depth Psychology) • “실수란 없다. 모든 사건에는 까닭이 있다.” • 인간 행동은 합리적인 의식보다 비합리적인 무의식적 동기가 원인. 이 무의식적 원인의 분석법이 정신분석. • 방법은 꿈의 해석과 자유연상. • 2가지 본능을 가정: Eros와 Thanatos.
(6) Maslow와 인본주의(humanism) • 인간의 독특성을 강조: 인간의 가치와 주관적 경험에 집중. 사건에 대한 개인의 해석(의지)을 중시. 각 개인의 내적 생활 이해에 주력. “세상은 내가 보는 바로 그것이다.” • 자아실현 동기: 인간존재의 주요 동기. 잠재력을 최고로 발달시키는 것.
제 3 절 심리학의 연구방법 1. 자료수집방법 • 실험적 연구: 실험집단, 통제집단. 독립변인, 종속변인, 외재변인. 무작위 과정. 조작적 정의. 인과관계 설명. 2) 기술적 연구: 현장연구, 사례연구, 상관연구(인과 역전의 문제, 제3변인의 문제) ex) Survey(조사법)와 data set • cf) 변수와 변인의 차이: variable의 다른 번역 • Y = aX + b Ex) 수면제를 먹은 쥐와 먹지 않은 쥐 집단의 수면량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