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299 Views
표 고 산 업 정 책 방 향. ▲ 재배 및 생산동향. 표고는 밤과 더불어 주요한 임산물임 - ’ 03 년도 생산액 : 1 조 7,081 억원 ( 표고 2,362, 밤 1,930, 기타 1 조 2,789) 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 전환하고 있으며 , 대부분 2 만본 미만의 자목을 보유 하는 부업적 형태임 - 재배면적 : 2,616ha( 시설 1,654, 노지 963), 재배농가 : 9,187 명 - 재배규모별 농가현황
E N D
▲ 재배 및 생산동향 표고는 밤과 더불어 주요한 임산물임 - ’03년도 생산액 : 1조 7,081억원(표고 2,362, 밤 1,930, 기타1조2,789) 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 전환하고 있으며, 대부분 2만본 미만의 자목을 보유 하는 부업적 형태임 - 재배면적 : 2,616ha(시설 1,654, 노지 963), 재배농가 : 9,187명 - 재배규모별 농가현황 5천본 이하(37%), 5~10천본(23%), 10~20천본(20%), 20~30천본(10%), 30천본 이상(10%) 우리나라는 원목재배 위주이나,세계적인 추세는 원목재배에서 톱밥재배로 전환하고 있음 - 톱밥재배비율 : 중국․대만 90%이상, 일본 60%, 한국 1%미만 생산량은 ’03년도를 기점으로 감소하는 반면 수입물량은 증가하는 추세 - 03년도 생산량 : 건표고(1,937톤), 생표고(22,374톤) - 수입물량 : (’00) 1,088톤 → (’02)1,243톤 → (’03)1,926톤 → (’04.11) 2,684톤
▲ 수 급 동 향 웰빙붐 및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식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소비는 늘어나고있는 추세임(연평균 7~8%증가) - 1인당 표고소비량 : (’96) 86g → ('00) 120g → ('05) 138g 생산농가는 단위농협에 60%, 작목반에 약 40%를 출하하고 있음 수출은 ’99에 최대치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고 있음 - 그 원인은 국내가격이 높아 유통업체 입장에서는 수출보다는 내수를 선호하기 때문임 값싼 중국산의 시장 잠식으로 일본 등에서의 시장점유율이 점차 낮아지고 수입량은 점차 증가할 전망됨 - 수출량 : (’01) 261톤 → (’02) 291톤 → (’03) 374톤 - 수입량 : (’01) 261톤 → (’02) 1,241톤 → (’03) 1,926톤
▲ 우수품종 개발 및 보급촉진 현황 및 문제점 - 종균 17개 품종이 개발․보급(원목14, 톱밥3) 국립산림과학원 8종, 산림조합8종, 농업과학기술원 1종 ※ 각국의 종균 보유수 : 중국 수백종, 한국17종, 일본 100여종 - 기후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해마다 버섯의 생산량, 품질이 떨어지고 있고 또한 종균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음 - 실명제 등 「종균생산․관리기준」을 제정하여 실행(’04.8) 개 선 대 책 - 우수종균 신품종 개발 추진 : 원목용 6, 톱밥용 3종(’10년까지) - 균주관리 강화 등「종균생산․관리기준」보완 - 장기적으로 균주는 국가관리, 생산은 민간회사에서 실행 - 종균사고에 발생시 원인규명에 따른 피해보상 방안 강구
▲ 안정적인 표고자목 공급 현황 및 문제점 - 벌채조건 강화 등으로 표고자목가격은 상승추세임 - 표고자목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97년부터 지정하고 있는 「표고자목 생산구역」에 인센티브가 없어 운영이 부진함 개 선 대 책 - 「표고자목생산구역」을 국유림을 포함하여 확대 지정하고 효과적 운영체계 구축 - 「표고자목생산구역」에서는 타 주종으로 수종갱신을 금지하고 참나무 인공조림 또는 맹아갱신만 허용 - 표고자목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국유림 벌채대상지․벌채수량 등에 대한 사전예고제 실시
▲ 재배시설의 현대화 및 재배단지 조성 현황 및 문제점 - 재배규모가 영세하여 전업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 현재 호당 평균보유 자목수 : 4천본(전업농 : 2만본 이상) - 시설규모․지역여건에 맞은 「표준시설모델」을 개발 보급(18개모델) 개 선 대 책 - 시설재배면적을 확대하여 생산성 및 경쟁력 제고(’05년도 90ha) - 접종시 해균의 침입방지 등 원활한 접종을 위하여 접종배양사 지원 - 집약재배를 위한 단지화로 경영의 규모화 유도(’4개단지) - 시설재배면적 확대 등 재배환경 변화에 따른 교육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현장중심의 교육강화
▲ 톱 밥 재 배 추 진 현황 및 문제점 - 연중생산․공급체계로 전환하기 위하여는 톱밥재배 필요 ※ 자원절약․노동절약․공간절약․단기재배․계획출하․폐자원 활용형 - ’98년부터 정책적으로 톱밥재배를 추진하였으나, 배지공급의 어려움, 재배기술 미정착으로 사업부진 - 재배방식(일본식, 중국식, 대만식)에 따른 재배법 미정립 - 우리나라 기후조건에 맞은 종균개발이 미흡 개 선 대 책 - 재배기술의 개발․보급으로 톱밥재배 정착유도 - 우리나라 기후조건에 맞은 다양한 재배모델 개발 - 불량수입배지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입원산지 표시
▲ 유 통 및 수 요 의 확 대 현황 및 문제점 - 생산자와 소비자 직거래 미정착으로 생산자 수취율이 높지 않음 - 표고에 대한 효능, 새로운 요리법, 무공해 임산물 등 표고장점에 대한 홍보가 부족 - 홍수출하 방지 및 출하시기 조절로 적정가격 유지 필요 - 표고수급예측을 위한 관측사업 실시(’04년부터) 개 선 대 책 - 생산자단체를 육성하여 계통출하와 자체홍보 기능을 강화 - 임산물유통단지를 조성하여 직거래기반 확립 - 생산자 단체를 중심으로 표고소비 촉진을 위한 시식회 및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실시
▲ 2005년도 표고관련 지원예산 표고버섯 생산기반조성(생명과학연구소) : 600백만원 표고 재배사 : 300개소, 7,920백만원(국고+융자) - 국고20%, 융자20%, 지방비20%, 자부담40% 표고 재배단지조성 : 5단지, 2,442백만원(국고+융자) - 국고20%, 융자20%, 지방비20%, 자부담40% 표고 톱밥배지센타 : 2개소, 800백만원(국고+융자) - 국고20%, 융자20%, 지방비20%, 자부담40% 임산물 저장․건조시설 : 66개소, 6,720백만원 - 국고20%, 융자20%, 지방비20%, 자부담40% 임산물 홈페이지구축 : 90명, 135백만원(100%보조) 임산물 표준출하 : 248개소, 496백만원(국고) - 국고20%, 지방비20%, 자부담60% 표고원목 구입자금 : 2,957백만원(융자70%) - 금리 4%, 3년거치 2년상환
▲ 일본의 표고산업 수 급 동 향 (생 표 고) -건표고 및 원목 생표고 생산농가는 줄어드나 톱밥재배농가는 일정수준 유지 건표고 재배자 - 31,998명(1998) → 20,906명(2003) 생표고원목 재배자 – 39,316명(1998) → 20,495명(2003) 생표고톱밥 재배자 – 3,928명(1998) → 3,591명(2003) - 단기간에 수확 가능한 톱밥재배 기술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음. (원목재배: 36%, 톱밥재배: 64% - 2003년 현재) - 표고 가격은 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상승 추세 건표고가격(kg당) 2,842¥(1998) → 3,611¥(2003) 생표고가격(kg당) 1,091¥(1998) → 1,118¥(2003) - 비용절감 및 생산성향상을 목표고 새로운 재배기술의 개발 및 보급. • 1본당 접종구를 평균 20개에서 80개로 늘려 수확기간 단축 •품질과 작업능률향상을 위한 톱밥 상면재배기술.
▲ 일본의 표고산업 수 급 추 이 (생 표 고) (단위: 톤)
▲ 일본의 표고산업 수 급 동 향 (건 표 고) -숲속에 골목을 두고 원목재배로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기상조건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좌우된다. - 예로부터 홍콩, 싱가폴 등에 수출되었지만 근년의 수출은 전성기의 약 3%정도. - 일본의 건표고 수입럅은 연간 9,000톤대로 수입물량은 안정화 추세, 주요 수입국 은 중국(65%)이고 한국산도 일부(2%이하)수입되고 있고 수입단가는 낮아지는 추세. - 자국산 표고 보호정책의 강화 •원산지 표시의 강화(2000년 JAS법 개정) •생산자 단체들은 채취방법과 보존대책을 철저히 하여 중국산과 경합을 피하도록 함. •기능성 건표고의 개발 (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기능 강화 품종, 등)
▲ 일본의 표고산업 수 급 추 이 (건 표 고) (단위: 톤)
▲ 일본의 표고산업 재배방법별 생산량 추이 (단위: 톤)
▲ 중국의 표고산업 중국의 표고재배의 변천
▲ 중국의 표고산업 수 급 동 향 -기술개발과 보급으로 인하여 종래 생표고의 식습관이 없던 중국에서 해외 수출을 전제로 하는 산지가 형성됨. - 연안지역에는 생표고 산지, 내륙지역에는 건표고 산지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음. - 원목재배기술의 보급으로 인하여 원목자원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발생. -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균상재배법 개발. →톱밥재배법, 액체종균재배법, 매몰재배법, 지면재배법,등 - 이러한 재배기술의 보급에 의해 현재 34개 성.시.자치구 중 28개의(80%) 성.시.자치구에서 표고재배. - 총 생산량 중 엄선된 20%가 수출되며, 그 중 65%는 일본으로 수출.(’00년 현재)
▲ 중국의 표고산업 중국의 표고 수급 실태 (단위: 톤)
▲ 중국의 표고산업 표고산업 발전방향 - 많은 품종의 개발(현재 20~30개 품종 보유) - 새로운 작업기술의 개발 - 새로운 재료 개발(볏짚, 보릿짚, 옥수수대, 쌀겨, 등) - 기계화 추진 - 집약적 재배추진 - 남쪽 버섯의 북상추진 - 가공기술의 개발(통조림, 음료, 등)
▲ 해외현황의 시사점 톱밥재배기술의 보급 및 활성화 원목자원의 효율적 활용 생산비 절감 농가소득 증진
▲ 해외현황의 시사점 R & D에 대한 투자 확대 종균 및 재배기술 개발 기술지도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