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7

발표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문무경 교수

기계. 발표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문무경 교수. 개요. KNOW WHY, KNOW WHAT & KNOW HOW ?. 통합 의 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융합과 분열 의 방식이다. 무엇을 ?. 21C. DESIGN IDENTITY DESIGN TOPIC. 혁신.

Download Presentation

발표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문무경 교수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기계 발표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문무경 교수

  2. 개요 KNOW WHY, KNOW WHAT & KNOW HOW ? 통합의 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융합과 분열의 방식이다 무엇을? 21C DESIGN IDENTITY DESIGN TOPIC 혁신 INTEGRATION IS NOT SEQUENCE BUT FUSION & FISSION INNOVATION 통합 통합적으로 실행되지않는 독창성은 혁신의 수준에 도달할 수 없다 누가? SUBJECT DESIGNER INTEGRATION 디자인기술 INNOVATION IS IMPLMENTATION OF CREATIVITY 기계? OBJECT MECHANICS,MACHINERY 어떻게? DESIGNERLY WAY PROCESS & METHODS

  3. 개발방식 1 2 3 4 5 6 DESCRIPTION 기계 적용대상(기계)위계분석 통합 4주체 및 맥락분석 미학체계분석 매트릭스 개발 2 4 6

  4. 핵심디자인기술의 개념 2 4 6 개념개발기술(槪念開發技術) 지식생성기술(知識生成技術) CONCEPTUALIZATION PARTICULAR-UNIVERSAL SCIENCE OF DESIGN DESIGNERLY WAY OF KNOWING MATERIALIZATION STANDARD-SPECIAL REALIZATION GLOCAL-LOCAL 조형생성기술(造形生成技術) 가치창출기술(價値創出技術)

  5. 핵심디자인기술의 중요성 CSR 1 YESTERDAYPOTENTIAL * 작품성作品性 2 3 통합 4 * * 제품성製品性 상품성商品性 TODAY REALITY TOMORROW POSSIBILITY

  6. 근미래 시나리오 및 비젼 SCENARIO & VISION GLOCALGLOBAL + LOCAL INTEGRATION INNO + 지능형 마크로 팩토리 시스템 웹기반 스마트제조 시스템 초정밀 자유곡면 및 평활면가공 시스템 멀티플랫폼 모니터링 제어가능 SMCS 가스액화 초저온 시스템신기술대응 공작기계 인공지능 건설기계 최적제어 AC전동지게차 폐기물 에너지회수 플랜트 기계1 기계2 기계3 발전용 소형가스터빈 환경친화 전자제어식 디젤엔진

  7. 디자인기술 개발동향 PARADIGM SHIFT 가시적 양식 대상중심 생산 유형적 가치소유 P & PP 수직적 차이 연합(COMBINATION) 순차적(SYSTEMATIC) 체계적(SYSTEMATIC) 단일모드(SINGLE-MODE) 비가시적 개념 상황중심 생산 무형적 가치경험 P, PP & PPP 수평적 차이 통합(INTEGRATION) 동시적(CONCURRENT) 맥락적(CONTEXTUAL) 이중모드(DUAL-MODE)

  8. 디자인기술 수준 IMMITATION > ADAPTATION > INNOVATION 모방 적응혁신 IMMITATION ADAPTATATION INNOVATION X : AEATHETICS/ERGONOMICS/TECHNOLOGY/BUSINESS/GLOBAL SENSE Y : COMPONENT(MC1)/PRODUCT(MC2)/SYSTEM(MC3)/COMMUNITY(MC4)Z : IMMITATION ADAPTATION INNOVATION

  9. 디자인기술로드맵 전개 1 PARTICULAR > UNIVERSAL 개념개발기술 CONTEXTUAL APPROACH

  10. 디자인기술로드맵 전개 2 STANDARD > SPECIAL 조형생성기술 OPTIMIZATION

  11. 디자인기술로드맵 전개 3 GLOBAL > LOCAL LOCAL > GLOBAL 가치창출기술 GLOCAL STRATEGY

  12. 디자인기술로드맵 전개 4 DESIGNERLY WAY OF KNOWING 지식생성기술 METHODOLOGY FOR COMMUNICATION

  13. 디자인기술 개발전략 KEY WORDS FOR INTEGRATED STRATEGY 한국형 한국형 +GLOCAL+ GLOCAL 표준 표준 Korean Culture Based particular-universal concept Dual-Market Oriented global-local value Bi-Industry Based standard-special gestalt “한국형 글로컬 디자인기술 표준” “글로컬 감성이미지스케일 표준”

  14. 디자인기술 개발전략 APPROACH FOR OBJECTIVE INTERPRETATION 한국형 글로컬 디자인기술 표준 개발 통합디자인기술용어 표준 : 커뮤니케이션 기술, 연구개발 기술, 자료관리 기술 글로컬 개념개발기술 표준 ::: 문화적 맥락기술 과학기술적 맥락기술 인간공학적 맥락기술 글로컬 조형생성기술 표준 ::: 조형 최적화기술 산업 최적화기술 사업 최적화기술 글로컬 가치창출기술 표준 ::: 이미지 경영기술 품질 경영기술 마케팅 경영기술 작품성 분석기술 제품성 분석기술 상품성 분석기술

  15. 디자인기술 개발전략 APPROACH FOR SUBJECTIVE INTERPRETATION 글로컬 감성이미지스케일 표준 개발 문화기반 3D 감성이미지스케일 표준 산업기반 3D감성이미지스케일 표준 시장기반 3D감성이미지스케일 표준 문화기반 3D감성이미지스케일 표준

  16. 디자인기술 개발전략 APPROACH FOR SUBJECTIVE INTERPRETATION 글로컬 감성이미지스케일 표준 개발 산업기반 3D감성이미지스케일 표준 시장기반 3D감성이미지스케일 표준

  17. THANKS THE ENDTHANKS 기계분야 디자인기술로드맵 22 DECEMBER 2004 MUNN, MOOKYEONGINDUSTRIAL DESIGN ENGINEERING KUT(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ACTION)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