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429 Views
무용접 볼트조립식 저수조 개발. 삼 정 산 업 개 발 공 사. 1. 저수조 Type 별 특성 비교. 위생성. 12 년 경과 FRP 저수조 내벽 모습. 곰팡이 발생 추정. Epoxy 도장시 발생한 기포가 깨진 모습. 위생성. 12 년 경과 FRP 저수조 내벽 모습. 물 접촉 부위에 미생물이 번식한 모습. 청소작업시 저수조의 자연배수가 불가하여 잔수 처리기 사용. 위생성. 6 년 경과 FPR 저수조. 12 년 경과 FRP 저수조.
E N D
무용접 볼트조립식 저수조 개발 삼 정 산 업 개 발 공 사
위생성 • 12년 경과 FRP 저수조 내벽 모습 곰팡이 발생 추정 Epoxy 도장시 발생한기포가 깨진 모습
위생성 • 12년 경과 FRP 저수조 내벽 모습 물 접촉 부위에 미생물이 번식한 모습 청소작업시 저수조의 자연배수가 불가하여 잔수 처리기 사용
위생성 6년 경과 FPR 저수조 12년 경과 FRP 저수조 FRP 저수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색 열화 현상 발생
위생성 10년 경과 콘크리트 구조 저수조 내부 도장면 콘크리트 저수조 도장면의 페인트가 물에 녹아 나옴.
유지/보수 1999.5.4 저수조 청소/소독 후 모습 6개월경과 1999.11.25 저수조 청소/소독 전 모습 저수조 내부에 보강재가 많아서 작업이 어렵고 녹발생의 원인
안전성 • 시공 후 12년 경과한 FRP 저수조 열화에 의한 외벽 Crack 발생 저수조 벽면 내부 보강재의 부식
안전성 • 시공 후 5년 경과한 FRP 저수조 내부 청소 전 모습 - 모서리 누수 청소 후 FRP 수지 도장 시공
새로운 개념의 저수조 개발 필요성 위생적이고 강한 내구성과 함께 자연배수가 가능하여 청소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설치/시공이 간편하여 전체 COST를 절감 할 수 있는 새로운 TYPE의 저수조 개발 필요성 대두.
2. 무용접 조립식 스테인레스 저수조 개발 • 재 질 :스테인레스 스틸 444강 • 형 태 :원통형, 타원형 밑면 형태 : 역원추형(자연배수) • 조립방식 :외부 L자형 보강 볼트식,내부 보강재 무채택 • 패 킹 :스테인레스 박판으로 마감하여 반영구적
하부 지지대 밑면 조립 수직벽 조립 상부 조립 이음부 팩킹 결합 기타 장치 조립 배수/급수 연결 검 사 조 립 저수조 제작 및 설치 PROCESS 설 계 재 단 절곡/타공 Rolling 규격제품 포장/운송 완 공
용접식 저수조 비교 용접식 저수조 (4각) 재 질 : 스테인레스 스틸 볼트 조립식 원통형 저수조 재 질 : 스테인레스 스틸 • 저수조 내부에 보강재가 복잡하며,상부 및 옆면 염소가스에 의한 부식 으로 에폭시 도장 처리 • 저수조 내부에 수직 보강재만 있고 원형으로 압력 분산되므로 안정성이 좋고 완전 자연배수 가능함
설치 공정 하부 및 옆면 설치 완료 ▼ ▲ 하부 설치 작업 옆면 설치 작업 ▶
설치 공정 ▲ 상부 설치 작업 ▲ 하부 배수구 설치 배수관 설치 ▶
설치 공정 ▲ 내부 패킹 스테인레스박판 마감처리 ▲ 외부 L자 보강재 볼트 체결 조립 모습 ▲ 외부 옆면 모습 (급수, 배수, 소화전)
완제품 모습 (원형) 서울시 강남구 △△△△아파트에 설치한 원형 저수조
설치 공정 (타원형) ▲ 자재 운송 및 사전 작업 준비 모습 ▲ 타원형 저수조 하부 및 옆면 설치 작업 옆면 설치 작업 ▶
설치 공정 (타원형) ▲ 측면 조립 작업 모습 및 외부 보강재 설치 ▲ 측면 L자 보강재와 볼트 체결 조립 모습 ▲ 측면 외부 보강재 설치
완제품 모습 (타원형) 서울시 서초구 △△아파트에 설치한 타원형 저수조 저수조 내부 급수 광경 저수조 내부 보강재 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