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0 likes | 1.26k Views
제 4 장. 개인수요곡선과 시장수요곡선. 이 장의 내용. 개인수요곡선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시장수요곡선 소비자잉여 망외부효과 수요의 측정. 개인수요곡선. 가격변화 이 전 장에서 배운 표를 이용하면 , 식품의 가격변화의 영향은 무차별곡선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 개별 가격의 변화에 따라 , 소비자가 주어진 예산선과 무차별곡선하에서 얼마의 재화를 구입할 것인지 알 수 있다. 의류. 10. 6. A. D. 5. U 1. B. 4. U 3. U 2. 식품 ( 월당 수량 ). 12.
E N D
제 4 장 개인수요곡선과 시장수요곡선
이 장의 내용 • 개인수요곡선 •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시장수요곡선 • 소비자잉여 • 망외부효과 • 수요의 측정 Chapter 4
개인수요곡선 • 가격변화 • 이 전 장에서 배운 표를 이용하면, 식품의 가격변화의 영향은 무차별곡선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 개별 가격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가 주어진 예산선과 무차별곡선하에서 얼마의 재화를 구입할 것인지 알 수 있다 Chapter 4
의류 10 6 A D 5 U1 B 4 U3 U2 식품 (월당 수량) 12 20 4 가격변화의 효과 • 아래와 같이 가정한다: • I = $20 • PC = $2 • PF = $2, $1, $0.50 개별 가격은 서로 다른 식품의 구입량을 나타낸다 Chapter 4
의류 10 6 A D 5 U1 B 4 U3 U2 식품(월당 수량 12 20 4 가격변화의 효과 가격소비곡선은 모든 가격수준에서 효용극대화를 가져다 주는 식품과 옷의 배합들을 추적한 선이다 Chapter 4
가격변화의 효과 •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량 변화를 살펴보면, 수요계획표와 무차별곡선을 구할 수 있다. • 이 전의 예: Chapter 4
식품의 가격 E $2.00 수요 곡선 G $1.00 $.50 H 식품 (월당 수량) 4 12 20 가격변화의 효과 개인수요는 그 재화의 가격에 따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수량과 관계가 있다 Chapter 4
수요곡선 – 중요한 특징 • 곡선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용의 크기는 달라진다. • 수요곡선의 모든 점에서, 소비자는 의류와 식품의 가격비율과 한계대체율을 같게 만들어 자신의 만족을 극대화한다. Chapter 4
식품의 가격 E $2.00 G $1.00 $.50 H 식품 (월당 수량) 4 12 20 수요 곡선 가격변화의 효과 가격이 하락하면: Pf/Pc & MRS 또한 하락한다 • E: Pf/Pc = 2/2 = 1 = MRS • G: Pf/Pc = 1/2 = .5 = MRS • H:Pf/Pc = .5/2 = .25 = MRS Chapter 4
개인수요곡선 • 소득변화 • 이 전 장에서 배운 표를 이용하면, 소득변화의 영향은 무차별곡선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주어진 특정 재화의 가격하에서 소득변화가 시장바스켓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다. Chapter 4
의류 (월당 수량) 7 D U3 5 U2 B 3 U1 A 식품 (월당 수량) 4 10 16 소득변화의 효과 가정: Pf = $1, Pc = $2 I = $10, $20, $30 고정된 가격하에서 소득의 증가는 시장바스켓의 변화를 가져온다 Chapter 4
개인수요곡선 • 소득변화 • 소득소비곡선은 모든 소득수준에서 효용극대화를 가져오는 식품과 의류의 배합들을 추적한 선이다. Chapter 4
개인수요곡선 • 소득변화 • 소득의 증가는 예산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소득소비곡선을 따라 소비를 증가시킨다. • 동시에, 소득의 증가는 수요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Chapter 4
의류 (월당 수량) 7 D U3 5 U2 B 3 U1 A 식품 (월당 수량) 4 10 16 소득변화의 효과 소득소비곡선은 모든 소득수준에서 효용극대화를 달성하는 시장바스켓을 추적한 선이다 소득소비곡선 Chapter 4
E G H $1.00 D3 D2 D1 4 10 16 소득변화의 효과 식품의 가격 고정된 가격하에서 $10에서 $20, $30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자의 수요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식품(월당 수량) Chapter 4
개인수요곡선 • 소득변화 • 소득소비곡선이 양의 기울기를 가질때: • 수요량은 소득의 증가와 함께 증가한다. •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양의 값을 가진다. • 재화는 정상재이다. Chapter 4
개인수요곡선 • 소득변화 • 소득소비곡선이 음의 기울기를 가질때: • 수요량은 소득의 증가와 함께 감소한다. •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음의 값을 가진다. • 재화는 열등재이다. Chapter 4
스테이크 (월당 수량) C 10 U3 B 5 U2 A U1 햄버거 (월당 수량) 20 30 10 5 열등재 A와 B사이에서는 햄버거와 스테이크는 모두 정상재이다 소득소비곡선 그러나 B와 C사이에서 소득소비곡선이 뒤로 휘어지면서 햄버거가 열등재가 된다 Chapter 4
개인수요곡선 • 엥겔곡선 • 엥겔곡선은 소득수준과 재화의 소비량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 재화가 정상재인 경우에는, 엥겔곡선은 우상향한다. • 재화가 열등재인 경우에는, 엥겔곡선은 우하향한다. Chapter 4
소득 ($ 월당) 30 20 10 식품 (월당 수량) 4 8 12 16 엥겔곡선 정상재의 엥겔곡선은 우상향 한다 Chapter 4
소득 ($ 월당) 30 열등재 20 정상재 10 식품 (월당 수량) 4 8 12 16 엥겔곡선 열등재의 경우 엥겔곡선은 뒤로 휘게 된다 Chapter 4
미국 가구의 연간 소비지출 Chapter 4
대체재와 보완재 • 한 재화의 가격상승(하락)이 다른 재화의 수요량을 증가(감소)시킨다면 이들 두 재화는 서로 대체재이다. • 예: 극장표와 영화비디오 Chapter 4
대체재와 보완재 • 한 재화의 가격상승(하락)이 다른 재화의 수요량을 감소(증가)시킨다면 이들 두 재화는 서로 보완재이다. • 예: 휘발유와 엔진오일 Chapter 4
대체재와 보완재 • 한 재화의 가격상승(하락)이 다른 재화의 수요량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 이들 두 재화는 서로 독립적인 재화이다. • 예: 닭고기과 비행기표 Chapter 4
대체재와 보완재 • 가격소비곡선이 우하향하면, 두 재화는 대체재이다 • 가격소비곡선이 우상향하면, 두 재화는 보완재이다 • 재화는 보완재도 될 수 있고 대체재도 될 수 있다. Chapter 4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한 재화의 가격변화는 두 가지 효과를 갖는다: • 대체효과 • 소득효과 Chapter 4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대체효과 • 재화의 가격이 변하면 상대적인 가격이 변화한다 • 소비자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진 재화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진 재화를 구입하려 한다. Chapter 4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소득효과 •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소비자의 실질구매력이 상승한다. Chapter 4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대체효과 • 효용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한 재화의 가격변화로 인한 그 재화의 소비량 변화. • 한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대체효과는 항상 재화의 수요량을 증가시킨다. Chapter 4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소득효과 •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매력의 변화로 인해 그 재화의 소비량 변화. •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량은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Chapter 4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소득효과 • 열등재라고 하더라도,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를 능가할 정도로 큰 경우는 드물다. Chapter 4
식품의 가격이 하락하면, 소비는F1F2만큼 증가하고 소비점은 A에서 B로 이동한다. R 대체효과는 F1E, (A점에서 D점까지), 실질소득은 일정하지만 상대가격의 변화가 있다 C1 A 소득효과는 EF2, (D점에서 B점까지) 상대가격은 일정하지만 구매력이 증가했다 D B C2 U2 대체효과 U1 F1 E S F2 T 총효과 소득효과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정상재 의류 (월당 수량) 식품 (월당 수량) O Chapter 4
식품이 열등재이므로, 소득효과는 음이지만,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크다 B U2 총효과 소득효과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열등재 의류 (월당 수량) R A D 대체효과 U1 식품 (월당 수량) O F1 E S F2 T Chapter 4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특이한 경우--기펜재 • 이론적으로 소득효과가 아주 클 경우, 한 재화의 수요곡선은 우상향할 수도 있다. • 이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 일이며 현실적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지는 못하다. Chapter 4
시장수요곡선 • 시장수요곡선 • 모든 소비자들이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재화의 양과 가격의 관계를 나타낸다. • 시장의 모든 개인수요곡선들의 합. Chapter 4
시장수요곡선의 도출 Chapter 4
가격 5 4 3 시장수요곡선 2 1 DA DB DC 0 시장수요곡선 구하기 시장수요곡선은 모든 개인수요곡선을 합함으로써 구해진다. 수량 5 10 15 20 25 30 Chapter 4
시장수요곡선 • 이 분석으로부터 두 가지 중요한 점을 알 수 있다 • 시장수요곡선은 더 많은 소비자들이 시장에 참여함에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 개인수요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시장수요곡선에도 영향을 미친다. Chapter 4
시장수요곡선 • 개인수요곡선을 합하여 시장수요곡선을 구한다는 것은 서로 다른 집단에서의 수요에 대해 논의할 때 중요하게 인식될 점이다 • 아이들이 있는 가구 • 20- 30대의 소비자 등. Chapter 4
시장수요곡선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가격이 1%변화할 때 수요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Chapter 4
수요의 가격탄력성 • 비탄력적 수요 • Ep의 절대값이 1보다 작다 • 가격변화에 따라 수요량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다 • %Q < %P • 가격이 상승하면 총지출(P*Q)이 증가한다 Chapter 4
수요의 가격탄력성 • 탄력적 수요 • Ep의 절대값이 1보다 크다 • 가격의 변화에 따라 수요량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민감하다 • %Q > %P • 가격이 상승하면 총지출(P*Q)이 감소한다 Chapter 4
가격탄력성과 소비지출액 Chapter 4
수요의 가격탄력성 • 동탄력적 수요곡선 • 가격탄력성의 값이 일정한 수요곡선 • 수요곡선이 안으로 볼록하다(직선이 아니다) Chapter 4
밀의 총수요 • 미국산 밀에 대한 수요는 두 가지로 구성된다 • 국내수요 • 해외수요 • 밀의 총수요는 이 두 수요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Chapter 4
밀의 총수요 • 밀의 국내수요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주어진다: • QDD = 1465 - 88P • 해외수요는 아래와 같다: • QDE = 1344 - 138P Chapter 4
밀의 총수요 • 국내수요는 상대적으로 가격비탄력적이다 (Ed = -0.2) • 해외수요는 보다 가격탄력적이다 (Ed = -0.4). • 밀 가격이 상승하면 미국산 밀을 수입하는 가난한 국가들이 다른 곡물이나 식용작물로 그들의 소비를 바꾸기 때문이다. Chapter 4
A C E 총수요 해외 수요 국내 수요 F D B 밀의 총수요 가격 총수요는 국내수요인 AB와 해외수요인 CD를 수평으로 합한 것이다 18 16 C점 위에서는 해외수요는 0이고 따라서, 총수요는 국내수요이다 10 밀 0 Chapter 4
소비자 잉여 • 소비자는 효용을 얻기 위해 재화를 구매한다 • 소비자 잉여는 얼마나 많은 효용을 얻었는가를 측정한다 Chapt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