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 likes | 482 Views
SK 4Front KM 방법론. SK C&C. 1. KM Value 정의. KM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착수하기 전에 조직의 경영목표 및 경영전략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특히 KM 을 통해 개선 효과가 큰 부분을 도출하고 KM 이 제공할 수 있는 Value 를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한다 .
E N D
SK 4FrontKM 방법론 SK C&C
1. KM Value 정의 KM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착수하기 전에 조직의 경영목표 및 경영전략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특히 KM을 통해 개선 효과가 큰 부분을 도출하고 KM이 제공할 수 있는 Value를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한다. 이를 통해 고객사의 최고 경영층이 KM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게 하여 프로젝트의 적극적인 후원자로 유도하고 또한 KM의 추진 방향 및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위해 이 작업을 수행한다. • Business Problem 도출 • KM이 제공할 수 있는 영역 도출 • (Community, Contents, Process) • Value를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 • KM에 대한 가치를 인식
1.1 KM Value 정의 • 세부 수행 작업 1.1 KM Value 정의 1.2 KM Value를 실현하기 위한 KM Solution 도출 1.3 Solution 별 실행방안 수립 1.2 2.3 1.1 • 고려사항 • KM을 통해 개선의 효과가 큰 Business영역을 도출하고 여기에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좋음. 이를 위하여 경영층 인터뷰를 통해 무조건적인 KM 도입이 아닌 경영과제 해결의 Enabler로서의 KM 도입이 되어야 함. • 여기서 정의된 KM Value는 프로젝트의 전 Life Cycle상에서 형성(Formulation) / 측정(Measurement) / 증명(Proposition)의 과정을 통해 관리되고 향상되어야 함. • (고객사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시) Value 정의는 KM을 통해 고객에게 전달해줄 수 있는 Benefit을 근거있게 측정 가능한 형태로 보여줌으로써 고객이 지불하게 될 비용보다 훨씬 더 많은 이득을 얻게 됨을 느끼게 하고 이를 통해 SKC&C와 고객과의 관계를 비용을 지불하는 대상이 아닌 가치를 얻게 되는 대상으로 인식시킨다. • 이 Subphase 작업 결과에 대해 고객사로부터 문서작업이 아닌 가치있는 결과로서 인정을 받고 동의를 얻기 위해서는 작업 수행 시 고객사의 경영층 및 관련 전문가 및 주요 이해관계자 등을 참여시켜 함께 그 영향과 효과를 산정한다.
1.2 KM Value를 실현 하기 위한 KM Solution 정의 도출된 KM Value에 도달하기 위한 KM Solution을 아래와 같은 3개의 축으로 도출합니다. •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조직, 업무의 Barrier를 넘어선 Community 결성을 통해 지식의 발굴, 공유 문화 조성 Community (CoP) • 업무의 흐름을 시스템 화 하여 업무와 함께 자연스럽게 지식 축적 유도 • 업무수행 History 및 Status의 관리 • 업무 수행 시 발생하는 다자간의 Communication의 수단으로 활용 • Value에 도달하기 위해 우리가 쌓아 놓고 관리하여야 할 지식 요소는 무엇인지 정의함 • 지식유형은 문서 형태의 유형의 지식 뿐만 아니라 경험, Know-how, Know-where 등의 무형지도 포함함. Contents (Knowledge Base) Process (Work Flow)
1.3 Solution 별 실행방안 수립 - Contents KM에서 관리하여야 할 Knowledge는 다음과 같이 3가지 형태(Mode)로 분류됩니다. Data Knowledge •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외부/내부로부터 발생하는 가공되지 않은 Fact정보로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Input 자료를 분류 • 경쟁사,고객 또는 시장정보와 같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외부정보를 포함 • 자체 보유하고 있는 제품,기술,설비/자산과 같은 정적인 내부정보를 포함 Procedural Knowledge •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에 관련된 표준 절차나 산출물을 분류 • 업무 매뉴얼(ISO),가이드,규정,체크 리스트,양식과 같은 업무 수행 방법론 정보를 포함 Functional Knowledge •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분석이나 논리적 사고를 통하여 Best Solution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을 분류 • 의사결정에 직접 도움이 되는 각종 분석자료,분석기법,Best Practice와 같은 정보를 포함
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사항 분석 • 향후 집중관리 되어야 할 대상 지식 선정을 위한 각 팀별 주요 업무기능을 파악 • 현재 업무에 사용되고 있는 정보, 경험 및 지식요소를 정의 • 이들간의 연관성 및 중요도를 분석하여 향후 구축할 지식아키텍쳐 구조의 기초자료 파악 • 지식관리 체제가 해결해야 할 프로세스적 문제점 및 과제 도출
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사항 분석 • 세부 수행 작업 2.2 2.1 업무 프로세스 파악 2.2 주요 업무 성과 요소 및 장애요인 파악 2.3 활용/필요 지식 및 Issue 도출 2.4 지식 중요도 분석 및 중요 지식파악 2.5 분석 결과 정리 2.1 2.5 2.4 2.3 • 고려사항 • 현업 대표로 구성된 Focus Group을 대상으로 본 작업의 목적 및 조사 항목에 대한 가이드를 충분히 이해 시키는 Workshop을 수행하여 현업에 돌아가 해당 팀의 업무 분야별 전문가에게 내용을 작성할 수 있게Guide 할 수 있도록 한다. • 본 작업은 약 1달 정도 소요되는 작업이므로 KM 추진 조직은 Focus Group 멤버들이 활동하는데 담당 조직의 팀장의 Sponsorship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Lead, Help해야 한다.
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사항 분석 2.1 업무 프로세스 파악 • 회사의 중점 관리 대상이 되는 지식요소를 추출하기 위해서, 회사의 핵심 프로세스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프로세스에 필요한 정보들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그 중 지식으로 관리될만한 항목을 추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핵심 지식 도출을 위한 Bottom Up Approach이다. • Approach • 분석 대상 조직을 파악한다. • 해당 조직의 주요 업무 기능(Function)을 파악한다. • 각 업무 기능별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한다. • 고려사항 •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할 때 어느 정도까지 상세화 할 것인가를 Focus Group 멤버들에게 충분히 이해 시킨다. 여기서 파악된 업무 프로세스는 이해 가능한 수준의 필요 지식 Item이 정의될 수 있고 업무 수행 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이면 된다. • 따라서 세부 Step 단위 까지 세밀할 필요 없이 가장 상위레벨의 업무 기능을 기준으로 최대 3단계 수준까지 정의하면 된다.
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사항 분석 2.2 활용/필요 지식 및 Issue 도출 • 2.1에서 파악된 업무 별로 필요 지식을 파악하고 각 지식 요소별 공유/활용 상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업무 수행 측면에서의 중요 지식 및 KM의 Value Point를 도출하기 위한 작업이다. • Approach • 본 작업은 미리 만들어진 조사 양식을 Focus Group에게 제공하여 Survey 형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 각 업무별로 현재 활용하고 있는 정보/지식 요소 파악 • 각 업부별로 현재 활용은 못하고 있지만 업무 수행 가치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정보/지식요소 파악 • 각 정보/지식 아이템별 주요 획득 소스 파악 • 각 정보/지식의 취득 및 활용상의 문제점 나열 • 고려사항 •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할 때 어느 정도까지 상세화 할 것인가를 Focus Group 멤버들에게 충분히 이해 시킨다. 여기서 파악된 업무 프로세스는 이해 가능한 수준의 필요 지식 Item이 정의될 수 있고 업무 수행 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이면 된다. • 따라서 세부 Step 단위 까지 세밀할 필요 없이 가장 상위레벨의 업무 기능을 기준으로 최대 3단계 수준까지 정의하면 된다.
3. Knowledge Map 정의 • 조직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지식요소를 체계화하여 간결하게 구조화 • 지식관리 대상의 초점을 명확히 제시 •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요소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개념적 모델을 제시
3. Knowledge Map 정의 • 세부 수행 작업 3.1 지식 범주(Category) 분류 및 K-Map 정의 3.2 업무 Process별 K-Map 연관분석 3.3 분석 결과 정리 3.2 3.3 3.1 • 고려사항 • Knowledge Map에 대한 Output Image에 대해 관련자들간에 사전에 충분한 토의를 거침으로써 이해 수준을 명확히 맞추고 나서 진행하여야 한다. • Knowledge Map 작업은 장기간 동한 복잡하게 수행할 필요 없이 업무 전문가와 Workshop을 통해 분류 기준 선정 및 분류 작업 내용에 대한 검토 작업을 통해 단순하게 수행한다.
3. Knowledge Map 정의 3.1 지식 범주 분류 및 K-Map 정의 • 지식을 체계화할 분류 기준을 정하고 이에 따라 “2.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 사항” 및 “1.2 경영전략 검토 및 핵심역량 도출”에서 파악된 지식들을 Mapping 함으로써 K-Map을 정의한다. • Approach • 지식 범주 분류 기준 선정 • K-Map 작성 • 고려사항 • 지식 범주 분류 기준은 아래와 같은 6가지 질문에 답해 가는 형식으로 정의해 나간다.- Who we are- Who we serve / want to serve- What we know- How we deliver- Who we work with to deliver solution- Who we compete against • Knowledge Map을 작성할 때는 Knowledge 요소의 category 및 주요 지식 Item을 배열하고 이러한 지식의 관리 전략이나 방향이 표현 될 수 있도록 작성한다. 지식의 관리 전략으로는 Working Level 관리 / Structured Level 관리 / Core Level 관리 전략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3. Knowledge Map 정의 3.2 업무 프로세스별 K-Map 연관분석 •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수행 후에 산출된 지식을 정의된 K-Map에 Mapping 해 봄으로써 K-Map을 검증하고 아울러 업무 프로세스와 KM Process를 연계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하며 또한 각 프로세스별로 KM 측면의 중요 Issue 및 해결방안을 정리하여 KM의 주요 가치를 파악한다. • Approach • Knowledge Mapping • KM Issue 및 Value 정의 • 고려사항 • Mapping하고자 하는 업무 프로세스 단위가 너무 클 경우 K-Map과 Mapping하는 과정에서 KM Process와 연계 시킬 수 있는 Point를 구체적으로 찾기가 어려우며, 특히 KM Process와 연계한다는 개념을 단순히 업무 수행 중에 지식을 등록하고 활용하는 것을 자동화 시킨다는 개념으로 접근하게 되면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업무가 설계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 KM 측면의 Issue를 해결하는 방안을 찾을 때 참고할 만한 기준으로는 “CoP 주제도출”, “KM 과제도출”, “Workflow 가능프로세스 정의”및 “필요한 프로세스 및 제도 도출” 및 “필요 지식 DB 정의” 를 들 수 있다. • KM 가치를 정리할 때는 Time, Cost, Quality, Competency, Opportunity 측면에서 정의해 볼 수 있다.
Biz Problem & KMS 의 기대효과 Biz Problems KMS 구축 향후 기대효과 시장 정보 수집/분석/관리 고객 Needs 수집/분석/관리 • Global 시장정보력 취약 • MPR/S 간 원활하지 못한 Communication. Vision, Strategy 공유 미흡 • 구성원간 정보/지식 공유미흡 • 이동/이직에 취약 • 업무 산출물 및 Lessons • Learned 관리 reuse 미흡 • Paperwork 과다발생으로 인한 장/활용 애로 • 시장환경에 능동적 대처 • 정보 공유 및 전자문서를 통한 • 업무 생산성 향상 • 지식/경험 축척을 통한 업무 질 향상 • 상하간 및 MPR/S 간 원활한 Communication • 구성원의 업무 지식/skill 상향 평준화 • 학습을 통한 Biz Process Innovation & New Biz 창출 • Solution 축적을 통한 역량강화 Lead / Help / Check 업무 방법론 (절차,기법,양식,사례) Project 관리 / Feedback ISO 9001 & Workflow Best Practice & Know-how 업체 제품 기술 CoP 인적자원
KM System 개발과정 • KM System 개발 • - Knowledge Repository / Communication / KM System 활용 및 운영 위한 DB 개발 정보/지식 요소 및 KM Value 정의 Knowledge Map • Contents 수집 및 정제 • - Contents 수집 • - 경험지식 발굴 Event • - 공헌 및 정제 프로세스 • 개발/실행 • KM 조직 및 제도 설계 • - KM관리 조직 설계 • - KC선정 및 CoP구성 • - 평가/보상 제도(안) 설계 • 변화관리 활동 수행 • - E-mail 교육 • - KM System이름 공모 • - Assessment Profile 조사 • - Workshop / 세미나 수집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