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likes | 479 Views
내가 만든 보드게임. 놀이 주사위 게임. 떼꿀 떼꿀 굴린 주사위 ! 6 가지 숫자가 지시하는 것은 ?. 대 상 : 7 세 이상 인 원 : 4 명 이상 시 간 : 15 분 게임의 목적 : 주사위를 굴려 각 숫자 카드에 적혀 있는 지시를 올바르게 수행하라 ! 가장 먼저 다른 숫자카드 3 장을 모으는 사람이 승리 !. 지시 카드 만들기 1-6 까지 각각 8 장씩 써넣을 지시 문장을 정한다 .
E N D
내가 만든 보드게임 놀이 주사위 게임 떼꿀떼꿀 굴린 주사위! 6가지 숫자가 지시하는 것은? • 대 상: 7세 이상 • 인 원: 4명 이상 • 시 간: 15분 • 게임의 목적: 주사위를 굴려 각 숫자 카드에 적혀 있는 지시를 올바르게 수행하라! 가장 먼저 다른 숫자카드 3장을 모으는 사람이 승리! 지시 카드 만들기 1-6까지 각각 8장씩 써넣을 지시 문장을 정한다. 예) 우선 6가지 항목을 정한 후 각 항목에 맞는 지시 문장을 8개씩 정한다. 1 - 동작 (돼지 처럼떼꿀떼굴 구르기, 고양이 처럼 등 구부리기, 물개 처럼 손뼉치기……) 2 - 색깔(빨강을 찾아라, 노랑을 찾아라………검정을 찾아라) 3 - 도형(세모를 그려보자, 동그라미 모양을 찾자, 하트를 만들어 볼까? ….) 4 - 숫자(손뼉 3번 치기, 2번 점프, 친구와 함께 손잡고 1바퀴 돌기…..) 5 – 과일(빨강 과일2개를 말하기, 여름에 먹는 과일, 노랑 과일……) 6 – 읽기(“선생님” 글자를 읽어보자!, “호랑이” 읽어보자…) 만들기 재료 • 빈 카드 50장 • 10칸 라벨(10장) • 참여 아동의 연령그리고 장애 정도를 생각하여 6개의 항목 또는 지시 문장을 알맞게 정하도록 한다. • 글자를 읽지 못하거나 정신지체 아동과 함께 게임을 진행 할 경우 지시 항목에 아동이 이해하기 쉽게 그림도 같이 넣어 주어 시각적 이해의 도움을 준다. Tip
라벨지를 이용해 빈 카드 한 면에는 숫자를 다른 면에는 지시항목을 붙여 총 48장의 지시 카드와 두 장의 행운의 카드를 완성한다. 예: 행운의 카드 2장 지시항목 카드 각각 8장씩 (앞면 & 뒷면) • 빈 카드가 없을 경우 Power Poi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드를 제작하고 프린트해서 사용할 수 있다. • 준비 활동: 지시 카드 보고 따라 하기 • 활동 목적: 지시 카드에는 어떤 지시 항목이 있는지 알아본다. • 준비물: 48개의 지시 카드 • 같은 번호끼리 묶어 숫자가 보이는 면으로 카드를 책상 가운데 놓는다. • 순서를 정하고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 카드를 뒤집는다. • 뒤집은 카드에 적혀 있는 지시 사항을 모두 함께 해보며, 48장의 지시 항목을 실행해 본다. Tip
게임 준비 • 준비물: 대형 주사위 1개, 50장 카드 • 테이블 중앙에 50장의 카드를 같은 숫자끼리 묶어 숫자가 보이게 놓고, 행운의 카드 2장은 진행자가 원하는 숫자 카드 속에 잘 섞어 넣는다. • 순서를 정하고 시계방향으로 진행한다. • 첫 번째 플레이어가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숫자의 카드를 뒤집어 카드의 지시를 정확하게 수행 하면 카드 획득! •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하면 카드를 해당 숫자 맨 아래 넣는다. •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게임을 진행하고 가장 먼저 번호가 다른 카드 3장을 모은 플레이어가 승리! • 단 자신의 순서에 행운의 카드를 획득하면, 모든 플레이어에게 진행자가 정한 긍정의 말(예:”행복하세요.”)라는 말을 모든 플레이어에게 하고 행운의 카드를 획득한다. 그리고 행운의 카드는 1 ~ 6 숫자중 플레이어가 원하는 숫자를 대신 할 수 있다. 호랑이 승리 예시 2 승리 예시 1
게임 시작 전 주제와 관련된 동화책을 활용하여 재미있게 수업으로 진행할 수도 있으며, 학교 수업 주제와 연계한다면 학습적 놀이 게임으로도 진행 할 수 있다. • 예: 동화책 활동 에릭칼의 머리 부터 발끝까지 동물 이름, 신체부위 명칭, 행동등 동화책 내용으로 6가지 항목을 정하여 동화책 연계 활동으로 진행 할 수 있다. 본 활동의 장점 • 게임을 통해 정신적, 정서적, 그리고 사회적 기초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교사가 자신의 학습 주제 또는 교육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 가능하다. • 경쟁을 하기 보다는 게임을 하는 동안 다양한 지시 항목을 수행하며 참여 아동 스스로 즐길 수 있다. T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