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841 Views
초전도현상과 그 활용. 의학부 200920558 석수현. 들어가기 전에 …. 1913 년 초전도 현상 발견 ( 오네스 ) 1972 년 초전도 현상의 원인 규명 (BCS 이론 , 바딘 , 쿠퍼 , 슈리퍼 ) 1987 년 고온 초전도체의 발견 ( 알렉 뮬러 , 베드로노츠 ) 2003 년 현대 초전도체에 대한 이론 확립 ( 아브리코소프 , 긴즈부르크 , 레깃 ). 목차. 초전도 현상의 정의 초전도 현상의 성질과 활용 초전도체의 한계 고온 초전도체 현재 우리나라의 연구 현황.
E N D
초전도현상과 그 활용 의학부 200920558 석수현
들어가기 전에… • 1913년 초전도 현상 발견 (오네스) • 1972년 초전도 현상의 원인 규명 (BCS이론, 바딘, 쿠퍼, 슈리퍼) • 1987년 고온 초전도체의 발견 (알렉 뮬러, 베드로노츠) • 2003년 현대 초전도체에 대한 이론 확립 (아브리코소프, 긴즈부르크, 레깃)
목차 • 초전도 현상의 정의 • 초전도 현상의 성질과 활용 • 초전도체의 한계 • 고온 초전도체 • 현재 우리나라의 연구 현황
초전도 현상의 정의 • 어떤 조건에서 물체의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상태 • 온도, 자기장, 전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함
초전도체의 정의 • 원인: 전자가 다른 전자를 끌어당기기 때문 -> 부호가 같은 전자는 서로 밀어낸다(?) -> ‘매트리스 효과’ • BCS 이론
초전도 현상의 성질과 활용 • 완전 전도성 • 완전 반자성 (마이스너 효과)
완전 전도성 • V=IR , W=I^2ⅹR (R->0, W->0) • 저항에 의한 발열이 없다 ->에너지의 손실 없이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 송전선 • 핵융합 발전 • MRI
완전 반자성 • 자기장이 있으면 물질의 표면에 표면 전류가 흘러서 그 자기장을 지워버림 • 자기장이 물질의 내부로 전혀 들어갈 수 없게 된다. • 자기부상열차
초전도 현상의 한계 • 너무 까다로운 임계조건 -> 너무 낮은 임계온도 -> 임계온도를 높여도 외부 자기장과 전류의 세기에 의해 초전도성이 깨지기 쉽다.
고온 초전도체 • 앞의 BCS이론에 따르면 30K (-243℃)이상에서 초전도 현상은 불가능 • 1986년, 임계온도 35K 의 초전도체 발견 (베드노르즈, 뮬러. 1987년 노벨상 수상) • 냉각제로 액체 질소 (기화점 77K)을 이용할수 있게 됨 ->고온 초전도체(액체질소의 기화점보다 높은 온도의 임계온도의 초전도체)의 탄생 • 2009년 현재 가장 높은 임계온도의 초전도체 -> 138K (-135℃)
현재 우리나라의 연구 현황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86&aid=0000039338& • http://www.suwon.com/news/articleView.html?idxno=33622
출처 • http://web.yonsei.ac.kr/superlab/charac.html • 초전도 현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초전도, 꿈의 소재 :: 네이버 카페 • 한국전력공사-2009년 8월 전력통계속보 • http://web.yonsei.ac.kr/superlab/charac.html
발표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