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likes | 400 Views
( 주 ) 연구소 기술세미나. 정보보호 기술 및 개발 분야. 기술연구소 이상근 2006.06.29. 목차.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기반기술 응용보안 기술 차세대 IT 보안기술 및 사이버 침해기술 정보보호제품 동향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국내 ㆍ외 연구 및 표준화 동향 정보보호 제품 및 시스템에 대한 평가ㆍ인증 현황.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1. 기반기술 – 암호 기술 암호란 ? 정보를 제 3 자가 판독할 수 없는 글자 · 숫자 · 부호 등으로 표현
E N D
(주)연구소 기술세미나 정보보호 기술 및 개발 분야 기술연구소 이상근 2006.06.29
목차 •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 기반기술 • 응용보안 기술 • 차세대 IT보안기술 및 사이버 침해기술 • 정보보호제품 동향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국내 ㆍ외 연구 및 표준화 동향 • 정보보호 제품 및 시스템에 대한 평가ㆍ인증 현황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1 • 기반기술 –암호 기술 • 암호란? • 정보를 제3자가 판독할 수 없는 글자·숫자·부호 등으로 표현 • 대칭키 암호(비밀키, 단일키) • 송수신자가 동일한 키에 의해 암호화 및 복호화 • DES, IDEA, AES, SEED, ARIA • 공개키 암호(비대칭, 비밀키&공개키)) • 공개키는 아무에게 공개하고 복호화 할 수 있는 비밀키는 자신만 사용 • RSA, FCC,양자 암호, PKI 대칭키 공개키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2 • 기반기술 –생체인식 기술 • 생채인식이란? • 사람마다 생체 행동적 특성을 이용해 개인을 식별하는 기술 • 음성인식 • 사람마다 억양과 음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다는 특성을 이용 • 지문인식 • 지문은 사람마다 다르고 변하지 않는 특성을 이용 • 망막인식 • 망막 표면의 혈관패턴이나 총채에 형성되는 무늬를 이용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3 • 응용보안기술 –유선네트워크 • 가상 사설망(VPN) • 터널링(PPTP)기술, 키관리, 가상 사설망 관리 • 통합보안관리(ESM) • 침입차단시스템, 침입탐지시스템, 가상 사설망들 다양한 보안 시스템들을 상호연동 • 통합인증 및 접근권한 관리 기술(EAM) • 기업 내 인프라 통합 및 관리통제 • Authentication, SSO, 접근제어, 개인화, 관리, 감사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4 • 응용보안기술 –무선네트워크 • IPSec • IP프로토콜에 보안기능 추가(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기밀성, 데이터 근원 인증, 데이터 무결성, 재전송 공격방지, 기밀성, 접근제어 등의 기능 제공 • Mobile IPv6 • IPSec 인증포함 • Authentication Header, Encapsulated Security Payload • WLAN, ZigBee, Bluetooth • WEP(Wired Equivalent Privacy Protocol) 추구 • 브로드캐스팅 방식 • 위험요소에 대한 대책이 필요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5 • 응용보안기술 –네트워크 보안 기술 • 침입차단시스템(Firewall) • 보안을 위한 총체적 접근법, 허용서비스와 접근을 제어 • 네트워크 망 앞 단에 설치 또는 개인PC설치 • 침입탐지시스템(IDS) • 네트워크 패킷, 특정 이벤트를 감시하여 통계적 분석을 통해 침입을 탐지 • H-IDS, N-IDS • 침입방지시스템(IPS) • IDS 발전한 시스템으로 탐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차단하여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 • H-IPS, N-IPS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6 • 차세대 IT 보안 기술 –방송 정보 통신 보안 서비스 • WiBro • 3G/WLAN/WiBro 구축노력 • 각 네트워크 간의 연동 시 연동 보안 기술이 요구 • INTEL WIMAX • DRM • 디지털 콘텐츠를 저작권 방식으로 보호 • PKI, DOI, DRM2.0, MS DRM • 표준화 작업 진행 중 – ETRI, MPEG21, W3C • 홈 네트워크 보안 기술 • 방화벽, VPN으로 일차적인 홈 게이트웨이 불법 접근 차단 • 정보가전 제어를 위한 미들웨어에서도 보안기능을 제공 • 표준화 작업 진행 중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7 • 차세대 IT 보안 기술 –방송 정보 통신 보안 서비스 • RFID • Bloker Tag, Kill command, Hash-Lock 등의 기술 • 높은 연산을 필요로 하는 보안 기술 접목이 어려움 • VoIP • 서비스 표준화 진행 중 • 보안에 취약하며, 도청이 쉬움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8 • 차세대 IT 보안 기술 –차세대 서비스 보안 • 개인 PC보안 기술 • 보안인식 부족 악성프로그램을 이용한 ID,Password 해킹 • 스파이웨어 설치 • XML 정보보호 • 개방형 환경을 지향하는 XML 기술이 저자상거래 어플리케이션 기반을 이루기 위해 보안문제가 해결 • XML 전자서명, XML 암호화 기술 사용 • 전자상거래 보안 기술 • SSL VPN 기술 대두 • 네트워크 통합보안솔루션 • 스마트카드분야
정보보호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9 • 차세대 IT 보안 기술 - 컴퓨터 침해 기술 • 컴퓨터 바이러스 • 컴퓨터 내에 침투하여 자료나 프로그램을 손상 복제 및 변형 • 해킹 기술 • 서비스 거부 공격, 버퍼 오버플로우, 웹 애플리케이션 해킹 운영체제 취약점 공격, 스니핑, 스푸핑 • 사이버테러 대응 기술 • 각 기관, 국가에서 운영 • 침입자 탐지, 제거 및 피해 복구 기술, 네트워크 침입 모니터링, 악성코드 식별
정보보호제품 동향 1 • 소프트웨어분야 –보안관리 분야 • 보안 3A • 인증 (Authentication) PKI, VPN • 권한부여 (Authorization) SSO EAM PMI • 관리 (Administration) ESM • 콘텐츠 보안관리 • PC보안, 서버보안 • 안티바이러스 • 보안운영체제 • 방화벽, 침입감지, 침입탐지, • 네트워크 취약성, 모바일보안, 임베디드 S/W
정보보호제품 동향 2 • 하드웨어 분야 –네트워크 관련 • 방화벽/VPN • 침입탐지 보안 응용 제품 • 하드웨어 분야 –생채 인식 제품 분야 • 지문 인식 제품 • 망막 인식 제품 • 기타 생체 인식 제품 • 하드웨어 분야 –스마트카드 제품 분야 • EMV • 3D-Secure • IT 카드 • 기타 • 암호 가속기 • IP VPN 응용제품
국내ㆍ외 연구 및 표준화 동향 1 • 국내외 표준 단체 동향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정보보호진흥원 중심으로 정보보호관련 기술의 표준화 담당 • 한국표준협회(KSA) • 국내 유일의 표준화 품질경영 단체 • ISO/IEC JTC/SC27 • WG1 –정보기술 보안에 대한 전반적인 방법 및 기술 • WG2 – IT 보안 기술과 메커니즘 • WG3 – IT시스템 구성요소 제품의 검증과 IT 보안평가 표준 • IETF • 인터넷에 관한 보안표준화 작업 • IEEE • 네트워크 환경관련 표준화 작업
국내ㆍ외 연구 및 표준화 동향 2 • 암호 기술 • SEED • 비밀키 사용 블록단위로 암복호화 • KISA 개발, 국가 표준 및 ISO/IEC 국제표준 채택 • KCDSA • 전자 서명 알고리즘 • KISA 개발, TTA 단체표준 • 생체인식 • TTA & 생체인식포럼 • 공통기반, 상호운용, 보안연동, 시험평가 4개 분야 운영 • 표준화 작업 진행 중
정보보호 제품 및 시스템에 대한 평가ㆍ인증 현황 • 정보보호시스템 평가ㆍ인증제도- 국내현황 • 국가정보원과 정보통신부는 안전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정보보호제품 공급을 통해 정보보호제품의 개발 및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정보화촉진기본법에 근거하여 정보보호시스템 평가ㆍ인증제도 실시 중 • 정보통신부에서 제품별로 평가하는 K-기준 사용 • 국제상호인정협정 가입 • 국제공통평가기준체결(CCRA) • CCRA 평가 받은 제품은 다른 나라에도 동등한 평가 • 우리나라 2004년 9월에 가입신청(인증서 발행 국) 올해 안에 가입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