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Ⅲ. 죽림칠현과 현학

Ⅲ. 죽림칠현과 현학. 죽림칠현 ( 竹林七賢 ) : 완적 ( 阮籍 ), 산도 ( 山濤 ), 혜강 ( 稽康 ), 향수 ( 向秀 ), 유영 ( 劉伶 ), 완함 ( 阮咸 ), 왕융 ( 王戎 ) => 하내지방에서 죽림 아래 모여 , 예의를 멸시하고 노장을 즐겨 말하며 청담을 하였다 . 현학 의 출현 : 노장사상이 부활 . 한대 이래의 음양오행설과 참위설에 대신하여 등장 . 노장을 주석 , 논어 , 주역 등의 유가경전 번역 => 유가와 도가를 종합.

sabin
Download Presentation

Ⅲ. 죽림칠현과 현학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Ⅲ.죽림칠현과 현학 • 죽림칠현(竹林七賢) :완적(阮籍), 산도(山濤), 혜강(稽康), 향수(向秀), 유영(劉伶), 완함(阮咸), 왕융(王戎) => 하내지방에서 죽림 아래 모여, 예의를 멸시하고 노장을 즐겨 말하며 청담을 하였다. • 현학의 출현 : 노장사상이 부활. 한대 이래의 음양오행설과 참위설에 대신하여 등장. 노장을 주석, 논어, 주역 등의 유가경전 번역 => 유가와 도가를 종합

  2. ‘인생은 하고 싶은대로 즐거움으로 삼는다.’ “완적(阮籍)은 어버이의 상을 당해서 상례를 따르지 않았다. 배해가 가서 조문을 하였는데 때마침 완적은 술에 취해 있었다. 머리칼을 흐트리고 두 다리 쭉 뻗고 앉아서 곁에 아무도 없는 듯 하였다.” -『 세설신어(世說新語) 』-

  3. “유영(劉伶)은 언제나 제멋대로 술을 마시고 행동이 거리낌 없었다. 어떤 때는 옷을 발가벗은 채로 방에 있기도 하였다. 남들이 그를 보고 비웃었다. 유영은 이에 대하여 ‘나는 천지를 집으로 삼고, 방을 잠방이로 삼는다. 그대들은 왜 나의 잠방이 속에 들어왔는가?’라고 응수하였다.” -『 세설신어(世說新語) 』-

  4. Ⅳ.현학의 영향 • 동진 이후 불교와 합류하여 불교철학의 중국적 수용에 공헌 • 현학이 불교의 자극을 받아 종교화하여 신선도교 발전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