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772 Views
제 12 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 1 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 2 절 노동투입의 2 기간 선택문제 제 3 절 시장균형모형 제 4 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 5 절 평가 제 6 절 맺음말. 제 1 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 표 12-1>. < 그림 12.1>. • 투자는 변동이 가장 심하고 경기순응적. • 소비는 변동이 작고 강하게 경기순응적 한국은 소비변동이 소득변동보다 큼. • 순수출은 변동이 크고 약하게 경기역행적. • 물가지수는 경기역행적.
E N D
제12장 실물경기변동이론 •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 제3절 시장균형모형 •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 제5절 평가 • 제6절 맺음말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표 12-1> <그림 12.1> • 투자는 변동이 가장 심하고 경기순응적 •소비는 변동이 작고 강하게 경기순응적 한국은 소비변동이 소득변동보다 큼 •순수출은 변동이 크고 약하게 경기역행적 •물가지수는 경기역행적 •노동투입과 실질임금은 경기순응적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1. 소득효과 •항상부의 증가와 소득효과 - 여가 : 정상재 - 현재여가, 미래여가 N1, N2 •이자율의 변화와 소득효과 - 채권자, 채무자 상쇄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2. 대체효과 •실질임금과 기간내 대체효과 - 여가의 기회비용 증가 소비가 여가보다 저렴 소비, 여가 소비, 노동 - MRS = 상대가격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2. 대체효과 •실질임금과 기간간 대체효과 - 기간간 MRS = 상대가격 - w1 N1, N2 - w2 N1, N2
제2절 노동투입의 2기간 선택문제 •이자율의 변화와 기간간 대체효과 현재여가의 기회비용 상승 - 실질이자율 상승 N1, N2 현재여가 감소, 미래여가 증가 •노동의 한계생산의 변화는 실질임금의 변화로 이해 -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 MPL =w - 항구적 : 기간내 대체효과,저축 불변 w1 = w2 - 일시적 : 기간내 및 기간간 대체효과,저축 증가 w1 or w2
제3절 시장균형 모형 •상품수요 = 상품공급 •화폐수요 = 화폐공급 •노동수요 = 노동공급 •채권수요 = 채권공급 1. 상품시장의 균형 : 수평이동, MPL <그림 12.2>
제3절 시장균형 모형 2. 화폐시장의 균형 <그림 12.3>
제3절 시장균형 모형 3. 노동시장의 균형 •노동수요 : <그림 12.4> •노동공급 : <그림 12.5>
제3절 시장균형 모형 •노동시장의 균형 : <그림 12.6> - 노동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 노동수요곡선의 이동 : MPL, K <그림 12.7> 노동공급곡선의 이동 : r(+), 미래의 기대실질임금(-), 항상부(-) <그림 12.8>
제3절 시장균형 모형 4. 일반시장균형 r*, Y*결정 화폐수요 결정 •상품시장 균형조건 : P* 결정 •화폐시장 균형조건 : (W/P)* 결정 •노동시장 균형조건 :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1. 총요소생산성이 항구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 총요소생산성: Y = AF (K,N) •상품시장 <그림 12.9> 항구적 : 소득효과 크다. → 저축이 불변, I 증가 → C, I 증가 → Yd의 이동이 Ys의 이동보다 크다. → r 상승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화폐시장 - 상품시장 : r상승, 소득 증가 - 가정 : 실질화폐수요 증가 <그림 12.10> - 물가수준 하락 •노동시장 MPL 증가 - 노동수요 증가 - 노동공급 감소 항상부 증가 실질이자율 상승 - 노동공급 증가 - 실질임금, 고용 증가 : 노동수요 증가 > 노동공급 감소 <그림 12.11>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2. 총요소생산성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상품시장 <그림 12.12> 일시적 : 소득효과 작다. → 저축이 증가 → Yd의 이동이 Ys의 이동보다 작다. → r 하락 → C, I 증가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화폐시장 - 상품시장 : r하락, 소득 증가 - 실질화폐수요 증가 <그림 12.10> - 물가수준 하락 저축증가 → 상품시장 초과공급 → 가격인하 → 물가수준하락 •노동시장 MPL 증가 - 노동수요 증가 실질이자율 하락 - 노동공급 감소 - 실질임금, 고용 증가 : 노동수요 증가 > 노동공급 감소 <그림 12.13>
제4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요약> • MPL및 MPK를 증가시키는 기술충격이 영원하지는 않지만 • 상당기간 지속되는 경우 정형화된 사실들을 설명 가능 •화폐시장 생산이 증가할 때 r이 경기역행적 혹은 약하게 경기순응적이면 → 실질화폐수요 증가 → 물가수준 하락 •물가수준 : 경기역행적 - 수요충격 vs 공급충격 - 통계 처리방법
제5절 평가 1. 기술충격의 중요성 •솔로우 잔차 •비판 : 솔로우 잔차는 기술충격의 역할을 과장 - 노동저장 •옹호 : 기술충격을 광의로 해석 2. 실업의 해석 •자발적 실업 •비판 : 실업은 노동시장이 실패할 때 발생 - 비자발적 실업 •옹호 : 실업통계의 해석에 문제
제5절 평가 3. 화폐의 중립성 <그림 12.14> •비판 : 화폐의 중립성 - 통화의 감소는 생산에 부정적 •옹호 : 통화의 내생성 4. 임금과 물가의 신축성 •미시경제학적 기초와 부합 •비판: 임금, 물가의 경직성
솔로우 잔차 •솔로우 잔차 = 생산 증가율 – (자본소득 분배율 x 자본스톡 증가율 + 노동소득 분배율 x 노동 증가율) •솔로우 잔차
<그림12.1> <다시본문으로>
<그림12.2> <다시본문으로>
<그림12.3> <다시본문으로>
<그림12.4> <다시본문으로>
<그림12.5> <다시본문으로>
<그림12.6> <다시본문으로>
<그림12.7> <다시본문으로>
<그림12.8> <다시본문으로>
<그림12.9> <다시본문으로>
<그림12.10> <다시본문으로>
<그림12.11> <다시본문으로>
<그림12.12> <다시본문으로>
<그림12.10> <다시본문으로>
<그림12.13> <다시본문으로>
<그림12.14> <다시본문으로>
<표12.1> 2005년 기준 <다시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