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likes | 365 Views
04_02. 들어가기. 오늘의 목표. #3. 전기기관차 운전실과 스위치의 구성과 배치를 이해하게 되면 !. #2. #4. 유지보수의 효율 이 향상됨. 성우 : #2 이것 알고 계십니까 ? #3 전기기관차 운전실과 스위치들에 대한 구성과 배치를 이해하게 되면 , #4 유지보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이번 학습을 통하여 어렴풋이 알고 있는 묵시적 지식을 명시적 지식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꾸준히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 #2 이미지 #3 말풍선 #4 텍스트. 04_06.
E N D
04_02 • 들어가기 오늘의 목표 #3 전기기관차 운전실과 스위치의구성과 배치를 이해하게 되면! #2 #4 유지보수의 효율이 향상됨 성우: #2 이것 알고 계십니까? #3 전기기관차 운전실과 스위치들에 대한 구성과 배치를 이해하게 되면,#4 유지보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 학습을 통하여 어렴풋이 알고 있는 묵시적 지식을 명시적 지식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꾸준히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2 이미지 #3 말풍선 #4 텍스트
04_06 04_06 • 학습하기 1. 운전실 및 운전대의 구성 > (2) 8000호대 구형 전기기관차 운전실 구성 타이핑 비상토출변 직통제동변 과충기등 과충기SW 전완해SW BP MR ER 제동변선택 자동제동변 TM전압계 속도계 운전실난방SW ◆ 제어대 구성 #1 #2 #3 #4 고장지시등 전압 및 전류계 Click Click Click Click Click Click Click Click 주간제어기 팬터그래프선택스위치 역전간 공기압력계 및제동관계 장치 전이간 우측 그림에서 ‘팬터그래프 선택스위치’의 위치가 어디인지 알려주세요. BL 스위치 박스 성우 : #1 이제 전기기관차의 운전실 구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전기기관차의 앞, 뒤 운전실에는 #3 각 장치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계기, 스위치, 기기 등이 제어대에 설치되어 있어 열차 진행방향에 따라 해당운전실에서 전면을 바라보면서 쉽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 #4 그럼 각 항목을 클릭해서 내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4 해당 부분에 클릭버튼 활성. 클릭 시 레이어 팝업 창에 내용제시 (뒷장)
X • 성우 : #1 공기압력계 및 제동관계 장치에는 주공기압력과 제동관압력을 지시하는 두 개의 지침이 있는 큰 압력계, 균형공기 조정변의 조정에 따라 현시 되는 균형공기 압력계, 1, 2, 3대차의 제동통압력을 3단으로 나누어 3개의 지침으로 각각 지시하는 제동통 압력계가 있습니다. #2 따라서 자동제동변으로 제동 체결 시에는 3.8bar, 단독제동변으로 제동 체결 시에는 3.0bar가 현시되어야 합니다. 공기압력계 및 제동관계 장치 #1 • 공기압력계 및 제동관계 장치 : - 주공기압력과 제동관압력을 지시하는 두 개의 지침이 있는 큰 압력계 - 균형공기 조정변의 조정에 따라 현시 되는 균형공기 압력계 - 1, 2, 3대차의 제동통압력을 3단으로 나누어 3개의 지침으로 각각 지시하는 제동통 압력계가 있음 #2 • 자동제동변으로 제동 체결 시에는 3.8bar, 단독제동변으로 제동 체결 시에는 3.0bar가 현시되어야 함 • - 주공기 압력계 (적색지침) 8.0~9.0 bar 지시 • - 제동관공기 압력계(백색지침) 5.0bar 지시(여객열차 조성 6.0bar로 조정) 타이핑 2 1+2 1 0 30° 60° A X 팬터그래프 선택스위치(ZPT1,2) #1 • 팬터그래프 상승/하강을 위해 팬터그래프 선택스위치 사용 • 0~2위치까지 각도는 90°, 각 위치간의 간격은 30° #2 • 성우 : #1 팬터그래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팬터그래프 선택스위치를 사용하여 팬터그래프를 선택해야 합니다.#2 선택스위치의 0~2위치까지의 각도는 90°이고 각 위치간의 간격은 30°로 다음 4개의 위치가 있습니다. • ‘O’위치 : 팬터그래프 선택레버를 삽입/취거하는 위치.팬터그래프가 모두 하강됨 • ‘1’위치 : 조작하는 운전실의 반대쪽 운전실 위의 팬터그래프가 상승. 정상운전위치임 • ‘2’위치 : 조작하는 운전실 위의 팬터그래프만 상승함 [팬터그래프 선택스위치]
X BL 스위치 박스 성우 : #1 BL 스위치 박스는 BL 쇄정키를 삽입하여 시계방향으로 60°돌리면 풀리게 되고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잠그게 되는데, 이 쇄정키로 열어야만 취급할 수 있는 위쪽열의 스위치와 BL 쇄정키와 관계없는 아래쪽 열의 스위치가 있습니다. #2 그럼 아래의 BL 스위치박스에서 각 영문에 마우스를 올려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1 • BL 쇄정키 삽입 시 : - 시계방향으로 60°돌리면 풀림 -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잠김 • BL 쇄정키로 열어야만 취급할 수 있는 위쪽 열의 스위치와 BL 쇄정키와 관계없는 아래쪽 열의 스위치가 있음 고압회로차단기 스위치(BLDJ) #2 ※ 각 스위치에 마우스를 올려보세요. TO. 개발자 각영문에 마우스 오버하면 아래 내용이 말풍선으로 뜨도록 제시 위쪽 왼쪽으로부터 고압회로차단기 스위치(BLDJ) 고압회로차단기 복귀 스위치(BLRDJ) 공기압축기 자동스위치(BLCP) 공기압축기 수동스위치(BLCPD) 창 난방 스위치(BLAB) 견인전동기 송풍전동기 스위치(BLVMT) 열차난방 스위치(BLCHT) 전조등 스위치(BLPR) 아래쪽 왼쪽으로부터 계기등 스위치(BLLF) 운전실 선풍기 스위치(BLVT) 기관차 번호 등 스위치(BLLN) 기계실 등 스위치(BLLM) 운전실 등 스위치(BLLC) 타이핑 BLDJ BLRDJ BLCP BLCPD BLAB BLVMT BLCHT BLPR BLLF BLVT BLLN BLLM BLLC ON OFF BL key 60°
04_07 • 학습하기 1. 운전실 및 운전대의 구성 > (2) 8000호대 구형 전기기관차 운전실 구성 #1 ◆ 운전자 경계장치 #2 열차 운행중인 운전자가가슴을 부여잡고 괴로워하는 삽화 #3 “열차 운행 중, 정상적 운전취급을 하지 못하는 경우열차를 정차시키도록 하는 장치” 2분내에 터치스위치/발판스위치를2초 이내로 동작시켜주어야 함 #4 #5 #9~12 운전자 경계장치의 특징 2분 내에 한 번 이상 조작시켜주지 않으면 • 역전간을 전ㆍ후방 위치로 했을 때 회로 구성됨 • 역전간 중립위치에서는 동작하지 않음 • 터치스위치는 제어대 좌우에 각 1개씩 설치됨 • 발판에는 발판스위치가 설치됨 • 약 5초간 경보 음 울림 • 경보 후 Q53 계전기를 동작시킴 • 결국 상용 만제동을 체결함 Q53 : 큐오십삼 #6~8 성우 : #1 이번에는 운전자 경계장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열차가 운행 중에 기관사의 심신 이상이나 졸음 등으로 #3 정상적인 운전취급을 하지 못하는 경우, 열차를 정차시키도록 하는 장치로서 #4 2분내에 터치스위치나 발판스위치를 2초 이내로 동작시켜주어야 합니다. #5 만일 2분 내에 한 번 이상 조작시켜주지 않으면 #6 약 5초간 경보 음이 울리며,#7 경보 후 Q53 계전기를 동작시켜 #8 결국 상용 만제동을 체결하게 됩니다. #9 이 장치는 역전간을 전ㆍ후방 위치로 했을 때 회로가 구성되며 #10 역전간 중립위치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또한 #11 터치스위치는 제어대 좌우에 각 1개씩 설치되고 #12 발판에는 발판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 편리한대로 이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