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술 중 항혈전제 요법 : 심근경색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의 지속 요법의 사례

술 중 항혈전제 요법 : 심근경색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의 지속 요법의 사례 (Perioperative antiplatelet therapy: the case for continuing therapy in patients at risk pf myocardial infarction) P.-G Chassot. A. Delabays and D.R.Spahn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99 (3): 316-28 (2007) R3. 백철민. 이 저널의 요점.

sidney
Download Presentation

술 중 항혈전제 요법 : 심근경색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의 지속 요법의 사례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술 중 항혈전제 요법:심근경색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의 지속 요법의 사례 (Perioperative antiplatelet therapy: the case for continuing therapy in patients at risk pf myocardial infarction) P.-G Chassot. A. Delabays and D.R.Spahn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99 (3): 316-28 (2007) R3. 백철민

  2. 이 저널의 요점 • 항혈소판제(antiplatelet drugs)를 장복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에 있어서, ⇒ 수술 중 과다 출혈을 피하기 위한 투약 중단에 의해 발생되는 심장동맥 혈전증(coronary thrombosis) 발생 위험이 계속적 투여에 의한 과다출혈의 위험보다 크다. ∴ Myocardial ischemia나 death의 risk management를 위해서는 Close space 에서 Bleeding이 생기지 않는 한은 수술중에도 항혈소판제의 투약을 중단해서는 안된다

  3. 서 론 • 뇌혈관이나 심혈관 위급상황(cerebro- & cardiovascular events) ① 병리적 요인: ㉠ 죽상판(atheromatous plaques)의 불안정성(instability)이나 ㉡ 혈전생성 성향(thrombogenecity) 例1) 급성 심장 발작이나 술 후 MI의 발생은  불안정한 죽상판의 붕괴와 이로 인한 혈전 생성에 의한 것이다. 例2) 다양한 세포성, 체액성, 신경증식성 유발 인자들이 죽상판을 불안정화시켜서  폐색성 혈전 생성을 야기할 수 있다 ② 예방을 위해서: 항혈소판제(Antiplatelet agents)가 널리 쓰이고 있다.

  4. 서 론 • 급성심장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① 특징 : ㉠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상황과 ㉡ 혈액응고를 유발하는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例) fibrinogen, C-reactive protei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등이 증가되는 상황 ② 수술 후에는 ㉠ 내인성(Endogenous) catecholamines의증가 ㉡ 혈소판 점착성(platelet adhesiveness)의증가 ㉢ Fibrinolysis의 감소 등에 의해 보다 악화된다. 참고) ‘㉠~㉢’은 Acute coronary Synd.의 Acute phase reaction의 특징이다. • 심장동맥확장술(Coronary dilatation) 例) PCIs(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① 심장동맥內에 stent를 위치시키는 것이 포함되는데, ② 장기간의 항혈소판제의 사용이 필수적이고, ③ 시술받은 환자의 5%정도가 시술 1년 이내에 non-cardiac surgery를 받게 되므로 마취과의사는 수술을 전후한 기간 동안 항혈소판제의 지속적 투약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됨

  5. 서 론 •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 수술 10일전부터의 항혈소판제 투약 중단은 재고되어야 한다. • 항혈소판제의 용도는, ① peripheral vascular disease ② carotid artery stenting ③ stroke의 재발 방지 ④ MI 방지 ⑤ DM과 같은 cardiovascular risk factors에 대한 1차적 예방 와 같이 다양하지만,  이 review 논문은CAD(Coronary artery disease)환자에 대한 항혈소판제의 Perioperative한 사용에 집중되어 있다.

  6. 본 론 • 항혈소판제: 약리학 ⑴ 구분: ① Acetylsalicylic acid ② Thienopyridines ③ Platelet glycoprotein(GP)Ⅱb/Ⅲa receptor antagonists ⑵ Statins는, ①~③과 함께 투약시혈소판 응집능(platelet aggregability)이 보다 더 감소되므로 함께 사용한다.

  7. 본 론 1) 항혈소판제 • Acetylsalicylic acid ⑴ 하루 50~150mg 투약으로 Platelet COX-1의 완벽하고도 비가역적인 차단이 가능 ⑵ 정상 성인에서는 하루 150mg이하 투약시 출혈 위험이 증가되지만, 체중에 따라 하루 325mg까지 증량이 가능 ⑶ Aspirin의 투약 중단 時, 4~5일 이내에 혈소판 응집능이 부분적으로 회복된다 ⑷ 예방효과 : ① 1차적 예방으로서, 10년內 Vascular event의 발생가능성이 10%이상될 때, aspirin의 투약이 권장되고 ② 2차적 예방으로서, 심근 재경색률을 30% 감소시키고 뇌졸중의 재발률을 25% 감소시킨다. ∴ Aspirin은 coronary event나 cerebrovascular event시에도 중단해서는 안된다. ⑸ Heparin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루 300mg까지 투약중이어도, Regional이나 Neuraxial blockade의 금기가 아니다.

  8. 본 론 1) 항혈소판제 • Thienopyridines ⑴ Clopidogrel(상품명 Plavix, Loading dose : 300mg, Daily dose: 75mg)은 임상에서 쓰이고 있는 유일한 Platelet ADP(Adenosine diphosphate)-receptor antagonist임 ⑵ Unstable angina에서 MI의 risk를 18% 줄여주고 Coronary stent 혈전증(thrombosis)와 뇌졸중 재발을 30%감소시킨다 ⑶ 하지만, Spontaneous haemorrhage의 risk는 유병률 1~2%로서 38%까지 증대된다 ⑷ 치료시작 3~7일 후부터는 출혈시간은 1.5~3배까지 증가된다. ⑸ 반감기는 4시간이나, 약효는 7일이나 지속된다. (∵ 비가역적인 혈소판 기능 저해를 일으키므로) ⑹ Aspirin사용 후 혈액응고의 정상화는, 혈장에서 약물이 제거되는 정도에 의해서가 아니라, 혈류속으로 새 혈소판이 Release되는 정도에 크게 좌우된다. ⑺ Clopidogrel은 regional/Neuraxial blockade의 절대금기이다. ∴ 수술 5~7일 전에는 투약이 중단되어야 한다. ⑻ 필요시 Aspirin으로 대체 투약이 가능하다.

  9. 본 론 1) 항혈소판제 • Thienopyridines(계속) ⑼ Aspirin과 동시에 투여되어Unstable coronary plaque나 coronary stents의 re-endothelialization phase중의 혈소판응집방지 약효를 높힌다. ∵① 환자 中 12~20%는 aspirin에 반응을 보이지 않고(특히, 여성 DM환자) ② 6~24%는 Clopidogrel 에 반응을 보이지 않으므로  이러한 항 혈소판제에 대한 저항성은 높은 MI 재발률이나 stent thrombosis를 설명해 준다. ⑽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Aspirin의 기능부전에 의한 Stent Thrombosis의 재발은 Clopidogrel의 용량을 늘린다고 해서 극복되지 않는다고 한다. ⑾ 특정 유전적 변이도 항혈소판제의 약효에 영향을 준다. 혈소판에 대한 Aspirin의 효과는 : GP-Ⅲa의 다형현상(Polymorphism)의 하나인P1A2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데, 이 유전자에 대해 ㉠ 이형(heterozygous)인 환자는 Aspirin요법下에서도혈소판 응집력이 그대로 보존되는데 비해, ㉡ 동형(homozygous)인 환자는 같은 용량을 투약함에도효과적으로 혈소판 응집력이 감소된다.

  10. 본 론 1) 항혈소판제 • Glycoprotein(GP)Ⅱb/Ⅲa receptor antagonists ⑴ 용도 : ① Coronary stents에서 급성 혈전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므로  PCI後에 24~48시간 동안 투약함 ② Abciximab(상품명; ReoPro)은  강력한 receptor결합력을 보이는 반면 Tirofiban(상품명; Aggrastat)과Eptifibatide(상품명; Integrilin)는  약한 결합력과용량 의존적 약동학을 보인다. ⑵ Abciximab의 ① 불연속적인 투약時에는 12시간內에 receptor결합력은 70%까지 감소되지만, ② 연속적인 투약時에는 ㉠ 30분 이상인 출혈시간은 10~15분 정도로 감소되고, ㉡ 실질 혈소판 응집능은 48시간內에 회복되지만, receptor 차단 지속은 7일까지도 지속된다. ⑶ Tirofiban 의 ① 혈장반감기는 2시간에 불과하고 ② infusion을 멈춘 지 4시간 경과후에는, 혈소판 응집력은 정상의 50%까지 증대되고 출혈시간은 정상으로 돌아간다. ⑷ Eptifibatide의 ① 혈장반감기는 2.5시간이고 ② infusion 중단 6시간 후에는, 혈소판 응집력은 정상의 50%까지 회복된다.

  11. 본 론 1) 항혈소판제 • Statins ⑴ LDL에 對한 작용과항염증효과 때문에 널리쓰인다. ⑵ NO의 형성을 증가시키고, 혈관평활근 증식을 감소시킨다. ∴ 혈소판 응집이 감소되고,PCI後 restenosis도 감소된다. 例1) 2816 case의 非심장수술 환자에 대한 후향성조사에 따르면, atorvastatin은 심장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50%나 감소시켰다. 例2) 100인의 혈관수술 환자에서는, 30일간 치료後 6개월後에 살펴본 바에 따르면, 심혈관 관련 부작용이 26%에서 8%로 감소되었다. 例3) 223,010例의 심혈관질환자의 OP.에대한 후향성조사결과에 따르면, 심장수술에서의 사망률은 3.1%에서 1.9%로 감소되었고 혈관수술에서의 사망률은 6.1%에서 1.7%로 감소되었다. ⑶ 고위험군과 4년이상의 Long term mortality에서는 탁월한 약효를 보여줬지만, 수술 후 MI 유병률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 Perioperative period에도 Statins를 지속적으로 투약해야 한다.

  12. 본 론 2) 경피적심장동맥재건술 • 경피적 심장동맥 재건술(Percutaneous coronary revascularization) ⑴ PCI직후에는 혈관내피의 파괴로 인해 혈관경화부위가 상당히 불안정해지게 된다. ∴ 이 시기에 非심장수술을 받은 환자의 MI유발률과 사망률은 내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에 비해 5~10배까지 증가된다. ⑵ 항혈소판요법의 시행권장기간과 PCI後 非심장수술時 권장기간은 아래의 표와 같다.  약물 용제형 금속제 Stent인 DES(Drug-eluting metal stents)가 노출형 금속제 Stents인 BMS(Bare-metal stents)보다 항혈소판요법을 더 오래지속해야 함 (BMS의 경우에는 최소 4~6주만 시행하면되나, DES의 경우에는 최소 12개월을 실시해야함)

  13. 본 론 2) 경피적심장동맥재건술 ⑶ 2658명의 PCI시술을 받은 환자에게 1년간Aspirin만 투약한 군과 Aspirin과 Clopidogrel의Dual antiplatelet therapy군間의 비교 연구에서,  Dual antiplatelet therapy를 한 군에서 심혈관계 사망률이나 MI 발생률이 31%나 감소되었다 ⑷ 하지만, CHARISMA등이 15,603명의 고위험 심혈관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해서 28개월 동안 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 Aspirin단독 투여군에서 심혈관계사망률이나 MI발생률이 보다 낮게 유지되었다 ⑸ ∴ 상기⑶과 ⑷의 결과를 바탕으로  Clopidogrel과 Aspirin 병용요법은 일부 Unstable한 환자를 제외하고는 1년간만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14. 본 론 2) 경피적심장동맥재건술 • DES사용시 새로 발견된 문제점들 ⑴ 2006년말에 DES사용후 6개월 경과후 혈전증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음이 알려졌다. ⑵ BASKET등은, BMS나 DES 시술 후 6개월간 Major event가 일어나지 않은 746명을 7~18개월사이에 Clopidogrel과 Aspirin 공동 투약군과 Aspirin 단독 투약군으로 나눠 추적조사를 하였는데, ① 공동투여군에서는, ㉠ Re-stenosis발생률은DES가BMS사용시에 비해 낮았으나 ㉡ Cardiac death나 MI발생률에는차이가 없었다. ② Aspirin단독투약군의 경우에는, ㉠ major event의 발생률은 DES(4.9%) 사용시가BMS(1.3%) 보다 높았다. ㉡ DES 혈전증 관련 Major event발생시 사망률은 19%에 이른다. ⑶ 4666명(BMS 3165명, DES 1501명)의 stent시술후 Clopidogrel 6개월 투약자를 대상으로 ① DES군中7~24개월에 지속적 투약 군의 사망률이나 MI발생률은3.1%에 불과했으나 7개월부터 투약을 중단한 군의 사망률이나 MI발생률은7.2%나 되었다. ② BMS사용군에서는, 7~24개월간 Clopidogrel의 사용여부에 관계없이 사망률이나 MI발생률에 차이가 없었다.

  15. 본 론 2) 경피적심장동맥재건술 • DES사용시 새로 발견된 문제점들(계속) ⑷ 최근 Swedish Coronary Angiography and Angioplasty Registry에 등록된 DES시술자 6,033명, BMS시술자 13,738명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① DES 시술 받은지 첫 ㉠ 6개월間 사망이나 MI 발생률은 13.7% 감소되었고 ㉡ 다음 한 해(7~18개월)동안에는 12.7%로 감소되었지만, ② 환자 8221명에 대한 중재분석(Meta-analysis)에 의하면, : DES가BMS를 시술 군에 비해 ㉠ 심장수술 뿐 아니라 ㉡ 비심장수술에서도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고 ③ 또 다른 중재분석에 의하면, : 동맥경화의 정도가 비슷하면서 F/U 기간도 동일한 환자군에서 DES가BMS 시술 군에 비해 ㉠ Collateral flow index가 더 감소되었고 ㉡ 동맥폐쇄中 허혈 방지를 위한 Collateral flow도 더 부족했다. ④ DES시술 군의 Late F/U에서 급사와 Q-wave MI의 발생 역시 BMS시술 군에 비해 더 빈번했다. ⑸ 이러한 이유로 인해, : 비교적 빈번하게(12개월에 12~20%) event가 일어나는 BMS로 시술할 것인가 event는 거의 일어나지 않지만(12개월에 0.8~3%), 사망률이 큰(19~45%) DES로 시술할 것인가를 놓고 고민에 빠지게 된다.

  16. 본 론 3) 항혈소판제의 금단 • 항혈소판제의 투약중단(Withdrawal of antiplatelet agents) ⑴ 과다출혈에 대한 공포로 인해, : 보통 수술이나 내시경적 시술 7~10일 전에 항혈소판제의 투약을 중단한다. ⑵ 하지만,투약을 중단하면 혈전유발효과가 생리적 균형을 깨어서  thromboxane A2가 과다하게 활성화되고 fibrinolysis가 감소되어  Coronary stent thrombosis와 MI 발생의 위험이 커진다. ⑶ DES를 시술 받은 지 첫 1년간 혈전생성률이 1.5%인 2,229명에 대한 연구결과, ① Clopidogrel의 투약중단이 Stent 혈전 생성의 가장 주요한 유발인자로 판명났고, ② stent thrombosis와 연관된 사망률은 45%나 되었다. ⑷ PCI후 ① 지속적으로 Clopidogrel을 투약한 환자군의 사망률은 0.7%인데 비해 ② 처음 한 달間 투약을 중단한 환자군의 사망률은 7.5%였고, ⑸ PCI후 1~12개월 사이의 재입원률은 ① 지속적으로 Clopidogrel을 투약한 환자군은 14%인데 비해 ② 처음 한 달間 투약을 중단한 환자군은 23%였다. ⑹ BASKET등의 연구에 의하면, ① Clopidogrel 투약중단 7~18개월사이의, MI나 급사발생률은 DES(4.9%)가 BMS(1.3%)시술군의 두배였다. ② PCI나 stenting시술 후 첫3주 동안, Major surgery를 위해 Clopidogrel투약 중단時, 사망률은 30%에서 86%로 증대된다

  17. 본 론 3) 항혈소판제의 금단 • 항혈소판제의 금단 (Withdrawal of antiplatelet agents)(계속) ⑺ PCI와 DES시술 後 1년 이상이 경과된 경우라도, 시술 후 Aspirin의 단독투여를 지속하다가 3주 이상 중단하는 경우,  Stent thrombosis를 야기해서, MI나 사망을 야기하는 Acute coronary syndrome의 발생가능성이 2배 이상 증대된다. ⑻ 심장동맥질환(CAD)의 2차적 예방에 관련되어 50,279명에 대한 중재분석에 따르면, ① Aspirin 투여 중단時 심장합병증의 발생률은 3배나 증가되었고 ② 이는 coronary stent를 시술 받은 환자의 risk보다도 높은 것이었다. ③ Aspirin투약 중단 후 평균10.6일 후에 thrombotic events가 발생되었고 8.5일 경과 후에 coronary symptoms가 발생되었고 14.3일 경과 후에 cerebral vascular accidents가 발생되었다 ∴ 뇌혈관수술時에는 항혈소판제의 투약 중단이 최대 5~7일 이상 지속되면 안되고 수술 後 12~24시간 이내에 다시 투약이 시작되어야 한다. ④ Statins은 투약 중단 24시간 후에 Acute coronary syndrome이 발생되므로 surgical period에도 지속적으로 투약이 이뤄져야 한다. ⑼ ∴앞의 ⑵~⑻의 이유로 인해, ① Perioperative period동안 Antiplatelet therapy의 지속이 필수적이고 ② Stent(DES)시술을 받은 경우에는 PCI를 받은지 오랜시간이 경과하였더라도 Antiplatelet therapy는 지속되어야한다.

  18. 본 론 4) 출혈 위험 • 출혈 위험 (Haemorrhagic risks) ⑴ 수술과 무관하게 ① 항혈소판제의 Dual therapy(Aspirin + Clopidogrel) 시행 時가 ② Aspirin 단독 투약 時에 비해 Severe spontaneous bleeding 발생률이 더 크다. (항혈전제연구자공동연구(Antithrombotic Trialist’s Collaboration, ATC)에 의하면 37%, CURE 임상의학 재단 에 의하면 27%) ⑵ 수술과 관련된 연구는 ① 정형외과의 Hip arthroplasty와 ② 심장 수술 中 CABG에 관련되어서만 이뤄져 있는데 ① Aspirin 단독 투약군과 ② Dual therapy(Aspirin + Clopidogrel)군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 본 론 4) 출혈 위험 • Aspirin을 투약 中인 환자군 ⑴ 수술로 실혈中인 환자에 대한 Low-dose Aspirin 투약에 대한, 대규모 Review와 중재분석에 의하면, ① Aspirin단독 투약군은 수술로 인한 사망률이나 이환률의 증가 없이 수술中 중등도의 출혈 증가를 보였다. ② 하지만, 전반적인 출혈성 경향의 증가가, 치과, 안과, 내장, 내시경 수술이나 Biopsy, 투석용 도관 삽입 과 같은 일반적 시술이나 가벼운 수술에 의한 출혈과 연관된 합병증이나 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例-1) 혈관수술에 있어서, 출혈 합병증의 증가는 단지 2.46%에 불과하다. 例-2) 정형외과수술에 있어서는, 항혈소판제 투약과 출혈성경향 사이의 관계가 불분명하다. ∵ Hip Arthroplasty에서는 출혈율과 수혈이 모두 증가되었지만 Femoral neck Fx.에서의 Osteosynthesis Spinal instrumentation이나 Multi-Level fusion surgery에서는 출혈율과 수혈에 있어서 변화가 없었다. 例-3) 안과,치과 수술時, Aspirin투약으로 출혈이 20~30% 증가되기는 하지만, 국소지혈(Local haemostasis)로 충분히 조절이 가능하다

  20. 본 론 4) 출혈 위험 • Aspirin을 투약 中인 환자군(계속) ⑵ Aspirin에 의한 출혈률 증가는 특정한 시술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보인다. 例-1) 50여 개의 CABG와 출혈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Aspirin 장복자의 경우 평균 300 mL의 출혈량 증가가 보고되었다. 例-2) Tonsillectomy後, 출혈에 의한 재수술은 Aspirin 복용군에서 Acetaminophen 복용군에 비해 7.2배 증가되었다. 例-3) TUR-P의 경우에는 Aspirin 복용군에서 수혈률이 2.7 % 증가되기는 하였지만, Lazer endoscopic proststectomy에 있어서는 출혈성 합병증이 감소되었다. 例-4) Intracranial neurosurgery에 있어서는, Aspirin이 술 후 intracerebral hematoma의 risk를 증가시키고 때로는 치명적인 결과도 낳았다.

  21. 본 론 4) 출혈 위험 • Dual therapy(Aspirin+Clopidogrel)로 투약中인 환자군 ⑴ Aspirin과 Clopidogrel의 Dual therapy時 출혈률이 30~50%증가됐다. (∵ 대부분의 심장수술에서는 CPB를 위해 수술중에 heparinization이 추가로 행해진다.) ⑵ 하지만, CABG 직전 4일간 Clopidogrel투약은 ① 출혈에 의한 재수술이나 ② 수혈, ③ ICU재원기간의 증가, ④수술결과, ⑤사망률과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다. ⑶ Coronary stent시술 후 정형외과, 혈관외과, 내장수술환자에서 수혈의 비율은 ① Dual therapy군이 42.6%, ② Control군이 38.5%가 나왔다. ⑷ Trans-bronchial biopsy 後의 출혈 비율은 ① 항혈소판제를 투약하지 않은 군이 3.4%인데 비해 ② Clopidogrel 투약군이89%로서 대단히 높게 나왔으나 ③ 양 군 모두 수혈을 필요로 하지는 않았고 ④ 출혈시에도 내시경 下에서 Control이 가능했다. ⑸ 소규모의 내장과 혈관 수술에서, ① 수술中 실혈과 수혈률이 모두 증가되었지만 ② 이환률과 사망률, 수술결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③ 하지만, 수술후 하루동안에는 수술부위의 지혈이 잘 되지 않아 oozing이 있었다.

  22. 본 론 4) 출혈 위험 • Dual therapy(aspirin+clopidogrel)로 투약中인 환자군(계속) ⑹ 구강內 수술에서는, Clopidogrel 투약군에서 어떠한 출혈 부작용도 보고되지 않았다. ⑺ Neurosurgery에서는, Clopidogrel, anti-GP Ⅱb/Ⅲa, abciximab의 사용과 관련된 치명적인 intracerabral hemorrhage가 보고되었다. ∴ ⑴~⑺을 정리하면, Perioperative period에서 Clopidogrelo의 지속적인 사용은, ① 수술에 의한 출혈과 수혈률을 늘리기는 하지만, ② Intracranial surgery 이외에는 유병률이나 사망률을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23. 본 론 5) 항혈소판제 지속투약과 중지 • 항혈소판제 투약 지속과 중지 사이에서 Risk 균형잡기 ⑴ 항혈소판제 투약 ① 중단時엔 Acute coronary syndrome의 risk가 증대되고 ② 지속時엔 수술에 의한 실혈이 증가되므로 결정이 어렵다. ⑵ 항혈소판제 지속 투약에 따른 Risk ① 수술中 실혈량의 증가는 Aspirin 투약時 2.5~20% 증가되고 ② Aspirin과 Clopidogrel투약時 30~50%증가되지만, ③ Intracranial surgery를 제외하고는 실혈량 증가에 따른 사망률 증가는 일어나지 않았다. ④ 수혈이 30% 증가되나 RBC 수혈에 따른 부작용의 증가는 0.4%에 불과하다. 대량수혈에 의한 사망률은 3%이하이다 ⑤ Stable CAD환자에서 허혈성 Event 발생률은 비슷하였으나, Procedure의 종류에 따라 치명적이지 않은 MI는 2~6% Cardiac mortality는 1~5%로 보고되었다.

  24. 본 론 5) 항혈소판제 지속투약과 중지 • 항혈소판제 투약 지속과 중지 사이에서 Risk 균형잡기(계속) ⑶ 항혈소판제 투약 중단에 따른 Risk ① 혈소판 응집력이 다시 증가되고, Fibrinolysis는 감소된다 (참고) Carcinoma나 DM時엔 Hyper-coagulability가 수반된다. ② Acute coronary syndrome에서 Infarction과 사망률이 두 배가 된다. ③ Perioperative cardiac death rate가 5~10배 증가된다 ∵ Coronary stent의 re-endothelialization동안, Stent thrombosis로 인한 사망률은 20~40%이고 MI발생률은 35% 이므로 ④ 1세대 DES는 PCI後 첫 1년간은 항혈소판제에 대단히 의존적이다. ⑤ 수술 후 얼마 안되어서 Coronary vessel의 혈전증에 의해 응급PCI시행時, RBC수혈과 지혈에 곤란을 겪게 된다. ⑥ Thrombolysis와 Abciximab은 수술 직후에는 통제불능의 출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금기이다. ⑷결론 ① 각Case마다, 마취과의사, 심장전문의, 외과의사의 협의 下에 Manage방법이 결정되어야 하기는 하지만, ② Perioperative period에는 항혈소판를 계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보다 유익하다

  25. 본 론 6) 일반적인 접근 방법 • 일반적인 접근 방법  이 논문의 저자들이 제안한 Algorithm 例( 例( 例(

  26. 본 론 6) 일반적인 접근 방법 • 일반적인 접근 방법  이 논문의 저자들이 제안한 Algorithm (계속)

  27. 본 론 6) 일반적인 접근 방법 • Regional과 neuraxial blockade에 있어서의 문제점 ⑴ 수술 1주前에 Aspirin과 Clopidogrel의 투약은 어떤 형태의 Regional anaesthesia에서도 금기이다. ∵ Clopidogrel투약중엔 Spinal haematoma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⑵ 마취과의사들은 CAD환자의 마취에 있어서, 전신마취보다는 Neuraxial blockade가 보다 안전하다는 추정下에서 항혈소판제 투약을 중지하도록 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잘못된 처치이다. ∵ T6 Level이상의 Epidural blockade만이 ⓐ Coronary blood flow를 증가시키고 ⓑ 심근의 O2소비(mVO2)를 감소시켜서 ⓒ 심각한 Stenosis나 호흡대관류(DO2/VO2)불균형 과 연관된 Postoperative MI 의 유병률을 낮추는 Cardiac Sympatholysis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⑶ 1173명에 대한 중재분석에 의하면, ① T6 Level이하의 Neuraxial blockade의 단독시행이나 전신마취와의 조합時에 Cardiac risk의 감소 효과가 없었다. 하지만, ② T6 Level이상의 Epidural anaesthesia는 심장 및 심혈관관련 질환의 유병률을 40%까지감소시켰으나 ③ Clopidogrel투약을 중단한 상태에서 불안정한 죽상판(Unstable Plaques)에 시술하거나 피막이 없는 Uncovered Stent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망률이 5~10배나 증가되었다.

  28. 본 론 6) 일반적인 접근 방법 • Regional과 neuraxial blockade에 있어서의 문제점(계속) ⑷ Arterial thrombosis나 MI, Cardiac death rate감소를 위해서는, Regional anaesthesia 보다는 항혈소판제의 사용이 보다 효율적이다. ⑸ 또한, Epidural anaesthesia에 대한 Intraoperative Sympatholysis의 효과는 ① β-blocker나 α2-agonist, 과용량의 Opioids로도 얻을 수 있다고, ② 비용측면에서 보더라도, 보다 저렴하게 Acute coronary Ischemia의 예방이 가능하고 ③ Epidural analgesia없이도 환자에게 충분한 진통효과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⑹ 결론 : Resional이나 Neuraxial blockade를 위해 수술 前에 항혈소판제의 투여를 중단하는 것은, 비용對 위험의 비율(risk/benefit ratio)의 측면에서 볼 때, 정당화 될 수 없다.

  29. 본 론 6) 일반적인 접근 방법 • 혈소판 수혈과 길항작용 ⑴ 항혈소판제의 효과는 비가역적이므로, 혈소판의 보충만이 정상적인 응집작용을 회복시키는 유일한 방법이다. ⑵ 정상적으로 지혈이 일어나려면, 순환 혈소판의 50% 이상이 정상이면 되지만, Clopidogrel의 반감기는 4시간이지만 반감기 3회(12시간)까지는 지속적으로 혈소판의 기능에 장애가 일어나게 된다. ⑶ Abcixmab(상품명: ReoPro)은 48시간이나 항혈소판 기능이 지속되고 Tirofiban(상품명: Aggrastat)와 Eptifibatid(상품명: Integrilin)는 반감기가 2시간, 약효는 6시간이나 지속된다. ⑷ 혈소판의 기능이 60~90%정도 정상화되면, ① 출혈시간은 정상의 1.5배로 증가되는데 그치게 되고, ② 이렇게 되면, 혈소판 수혈은 거의 필요가 없게 된다. ⑸ Aprotinin은 ① 항혈소판제의 길항제는 아니지만, ② CABG나 수술 당일 Clopidogrel을 투약한 환자에서 수술 출혈을 감소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30. 본 론 6) 일반적인 접근 방법 • 항혈소판제의 대체 가능 물질 ⑴ Clopidogrel이나 Aspirin과 같은 항혈소판제의 효과를 Heparin과 같은 Anti-thrombin agent로 대체 가능함을 나타내는 보고가 있다 ⑵ Unstable angina와 Non-ST-Elevation MI 의 치료時 Heparin이 투약되고 있다. ⑶ Ibuprofen이나 Indobufen과 같은 NSAIDs는 ① Aspirin처럼 COX-1을 억제하지만, ② 항혈소판 작용은 가역적이어서, 투약정지 24시간後면, 혈소판 기능은 완전히 회복된다. ③ 고로, Aspirin의 투약이 중단된 시점에서 항혈소판 기능 유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④ Intracranial surgery와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다. ⑷ Clopidogrel의 임시적 투약 중단後 재사용時에는 Tirofiban이나 Eptifibatid 같은, Platelet glycoprotein(GP)Ⅱb/Ⅲa receptor antagonists를 Shorter-acting 약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31. 본 론 6) 일반적인 접근 방법 • Unstable Coronary Syndrome 환자에서 Vital Surgery를 하는 경우 ⑴ 6~8주까지 수술 연기가 가능한 경우 ① BMS를 이용한 PCI가 가능하고 ② 4~6주間, 중복적 항혈소판제 요법(Dual antiplatelet agent therapy)을 할 수 있다 ③ DES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 수술이 re-endothelialization phase에 이뤄질 수 밖에 없는데, 이 때가 Stent thrombosis의 Risk가 가장 높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 DES는 수술을 1년 이상 연기 가능한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⑵ 2~4주까지 수술 연기가 가능한 경우 : Stent없이 Ballon angioplasty를 이용하여 PCI를 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① 이 시기는 Coronary flow가 극도로 불안정하고, 넓은 영역의 심근이 위태로운 상황이고, ② Stent없이 PCI를 한경우의 비심장수술에서의 사망률이나 MI발생률이, Stent를 이용하여 3개월 후에 PCI를 한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③ 심장전문의들은 시술을 꺼리고 있기는 하지만, Stent없이 Ballon angioplasty를 한 결과가, 시술 후 12개월까지는, BMS를 이용하여 Stenting을 한 경우와 시술 결과面에서 동일하기 때문이다. ∴ 수술 연기를 오래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시도할 만 하다.

  32. 본 론 6) 일반적인 접근 방법 • Unstable Coronary Syndrome 환자에서 Vital Surgery를 하는 경우(계속) ⑶ 12~24시간까지 수술 연기가 가능한 경우 ① β-blocker나 Aspirin, Clopidogrel등을 투약하여 최대한 내과적 치료를 해보고, ② 필요시에는, Echocardiography로 심실기능과 판막기능 이상을 검사해본다. ⑷ ⑴~⑶의 경우에 있어서도, ① 항혈소판제를 투약하면서 수술하는 것이 보다 안전한 방법이고 ② 최대한 심장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β-blocker, Aspirin, Clopidogrel, statin 을 함께 투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⑴~⑷의 내용은 아직 높은 신뢰도의 증거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수립된 결과이고, 현재 수술 계획을 세울 때 채택되고 있다

  33. 본 론 6) 일반적인 접근 방법 • 수술 후 PCI의 시행 ⑴ 수술後 첫날에는 Ischaemia와 Infarction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① Chronic CAD 時에는 ,가능한 빨리, ㉠ β-blocker, ㉡ 칼슘길항제, ㉢ 항고혈압제의 투약이 필요하고, ② Unstable coronary syndrome 時에는 ,가능한 빨리, ㉠ Aspirin, ㉡Clopidogrel, ㉢Heparin의 투약이 필요하다. ⑵ Cardiac enzymes의 Monitoring이 유용한데,이는 , ① 수술後에 흔하게 발생되고, ② Long-term Mortality를 좌우하는 Silent ischaemia의 조기 발견에 유용하기 때문이다. ⑶ EKG상에서 ST elevation이 나타나면 반드시 ①Coronary angiography 와 PCI를 시행해야 하고 ②Dilatation도 필수적이나 ③Stenting은 ㉠ Early postoperative acute systemic inflammatory syndrome과 ㉡Blood hypercoagulability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⑷ 수술後 24~48시간 동안에는 대량출혈의 위험 때문에 ① Thrombolysis나 ② Platelet glycoprotein(GP)Ⅱb/Ⅲa inhibitor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 수술후 PCI시에는 Stenting은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좋고 Simple Dilatation만 하는 것이 안전하다

  34. 결 론 • Coronary perfusion이 Unstable하거나 Stent 삽입술을 받은지 얼마 안된 환자는 항혈소판제에 대단히 의존적이다. • 수술中 항혈소판제를 지속적으로 투약 받은 경우에도,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혈위험성은 그리 크지 않다. • Stenting時 DES가 널리 쓰이고 있지만, ① Late Thrombosis와 ② Clopidogrel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의존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 Closed space에서의 대량출혈이 관찰되지 않는 한은 수술前 항혈소판제 투약 중지는 재고되어야만 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