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 likes | 1.13k Views
제 7 장 정신생물학적 이해. I. 신경계 (Nervous system). 정신질환자가 보이는 행동의 많은 부분이 뇌의 구조적인 변형과 생화학적인 불균형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들이 증가 . 신경계 구성요소 CNS(Brain, Spinal Cord)+PNS. 신경해부학. 신경해부학. 전두엽 기능 *고차원적인 생각 *추상적인 추론 *기억계획 *동기 *집중 *의사결정 *언어산출 *목적 있는 행동. 정신질환과 관련된 비기능적 증상들
E N D
I. 신경계(Nervous system) • 정신질환자가 보이는 행동의 많은 부분이 뇌의 구조적인 변형과 생화학적인 불균형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들이 증가. • 신경계 구성요소 CNS(Brain, Spinal Cord)+PNS
전두엽 기능 *고차원적인 생각 *추상적인 추론 *기억계획 *동기 *집중 *의사결정 *언어산출 *목적 있는 행동 정신질환과 관련된 비기능적 증상들 *부적절하고 억제되지 않은 행동 *부적절한 감정 *동기가 사라짐 *치매 1. 신경해부학(대뇌)
두정엽 기능 * 자세, 근육, 촉각, 압각, 후각, 청각, 시각과 관련된 감각기능 정신질환과 관련된 비기능적 증상들 * 공간지각 능력의 감소 * 신체상의 손상 *자가 간호능력의 손상 *좌우 방향감 상실 I.신경해부학(대뇌)
후두엽 기능 *시각기능 정신질활과 관련된 비기능적 증상들 *시각적 착각 *환각 *히스테리성 실명 I. 신경해부학(대뇌)
측두엽 기능 *후각정보를 해석함 *추상적 사고 *판단 *기억 *변연계의 주된 구성요인 *소리를 이해 정신질환과 관련된 비기능적 증상들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반응(일부 환자) *환후와 환청 *언어이상 신경해부학(대뇌)
시상하부 기능 *호르몬, 섭식, 음주, 수면, 각성, 체온, 화학적 균형, 심 박동, 성, 감정, 그리고 성적 행위를 조절 *뇌하수체를 조절 * 생체리듬과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중추 정신질환과의 관계 *스트레스 반응, 정신신체적 질병, 분비선 활동에 직접적으로 관계 *수면.각성 주기의 이상, 과식과 과음, 성적 기능부전, 지분장애 I. 신경해부학(간뇌)
시상 기능 *의식을 주도하고 외부의 자극을 기본수준에서 분류 *감정과 예측, 공포나 두려움과 관계된 신체의 움직임에 영향 정신질환과의 관계 *일부 환자에게 동기 결여의 원인이 되기도 함 *충동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도 있음 I.신경해부학(간뇌)
송과체 기능 *성선억제 호르몬(멜라토닌)을 분비하는데, 낮동안 감소되고 이어서 성선의 활동을 증가시킴 *종양이 성적 발달에 영향미침 *생체리듬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다. 정신질환과의 관계 *계절성 정서장애, 수면구조 이상, 양극성 장애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짐 I.신경해부학
I.신경해부학(변연계) • 주관적인 감정경험과 감정상태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관련됨 • 개인의 자기보존 반응에 수반되는 감정과 동기, 감각들과 관련됨 • 성적행위, 즐거움, 기억, 학습, 이분법적인 공격-복종 반응과 관련됨 • 변연계 기능 이상 증상 : 정동의 둔마, 무감동, 폭식증, 성욕항진, 시각 또는 청각 살인증
해마 -무수한 신경전달 물질 포함 -손상시 Korsakoff (만성 알콜중독과 관련) -새로운 정보 학습에 어려움이 있음(전진성 기억상실) -과거의 기억을 회상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역행성 기억상실) 편도체 -측두엽의 내측 후방에 위치 -다양한 아편 수용체 포함 -공포반응에 관여(동공확대, 심박동 수 증가, 아드레날린 방출 증가) I.신경해부학(변연계)
I.신경해부학(뇌실) • 4개의 강으로 이루어짐 • 대뇌반구 내부에 위치함 • 뇌실은 서로간에 그리고 척주 각각과 연결되어 있어 뇌척수액이 모든 신경계로 순환 • 신경전달 물질과 대사물질들이 뇌척수액에서도 측정됨
I.신경해부학(혈뇌장벽) • 뇌에 공급된 혈액과 나머지 신체부분을 순환한 혈액의 분리는 혈장벽이라고 부르는 여과 • 신체 다른 곳에서 발생하는 불리한 사건들로부터 뇌를 보호 • 중추신경계에서 생성된 화합물이 체계를 따라 운반되는 능력에 영향 • 정신질환증상 치료 약물개발에 중요한 역할
II. 신경조절(신경전달) • 뉴런의 복잡한 망을 통해 일어남 • 신경전달 물질을 이용한 신경자극 전달 • 신경전달 물질들이 특정한 신경수용기와 결합(자물쇠-열쇠)모양 • 100가지 이상의 신경전달 물질이 있는 것으로 생각됨 • 일부는 흥분성으로, 일부는 억제성으로 작용
화학구성성분에 따른 중추신경계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Ach) 1. 근원지 : 단일 근원지는 없음 콜린에서 합성 2. 효과 -뇌의 각 부분에서 서로 다른 효과 - 흥분제 또는 억제제 -말초신경계에 넓게 분포 3. 적용 - 길항작용으로 항콜린성 부작용(구강, 현훈, 변비, 배뇨장애, 아트로핀 정신증) - 활동저하시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됨 신경전달물질과정신과적 증상
도파민(DA, catecholamine) 1.근원지 : 중뇌의 흑질과 뇌실개 식이 아미노산인 tyrosine에서 유도됨 2. 효과 -일반적으로 흥분제 역할 -운동, 동기, 사고, 감 조절에 관계함 3. 적용 -정신분열병과 다른 정신증과 관련 - 항정신성 약물은 시냅스 후 도파민 수용기에 도파민을 공급하고 추체외로 증상을 유발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적 증상
노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catecholamine) 1. 근원지 : 뇌간의 청반 도파민에서 합성 부신수질을 통해 분비됨 2. 효과 -분비되는 위치에 따라 흥분제 또는 억제제 -NE는 변연계, 대뇌피질, 척수 까지 비아드레날린성 통로 제공 3. 적용 -활동 저하시 우울증과 관계 - 항우울제는 기능적 활동 증가 -알츠하이머병이나 코사코프 증후군에서 고갈됨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적 증상
세로토닌(5-HT) 1. 근원지 : 뇌간의 봉선핵 아미노산에서 합성 1-tryptophan은 MAO로 대사됨, 24시간 소변으로 채취가능 2. 효과 -작용하는 부위는 변연계, 시 상하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의 연축이 됨 3. 적용 -활동저하는 우울증과 강박신 경증에 관련됨 -항우울제(SSRI 계열)는 재흡 수를 막아 기능적 활동 증가 시킴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적 증상
감마아미노뷰릭산 (GABA), 글루타메이트, 아스퍼레이트, 글리신(aminoacids) 1. 근원지 : 단일 근원지는 없음 말초신경과 척수의 시냅 스 말단 간극에서 분비되 기 전에 축삭돌기의 전기 적 상태 조절 2. 효과 -GABA와 글리신은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 뇌 의 전반적인 흥분상태 감 소 -작용하기 위해 N-Methyl D Aspartate 수용기가 있 어야 함 -글루타메이트는 흥분제이 며, 모든 세포에서 발견됨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적 증상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적 증상 • 감마아미노뷰릭산 (GABA), • 글루타메이트, • 아스퍼레이트, • 글리신(aminoacids) 3. 적용 -불안장애와 관련됨 -항불안제에 의해 활동이 감소됨 -전달물질 수용기의 기능은 장기간 알코올을 섭취하면 파괴됨
물질 P, 엔돌핀, 엔키팔린(peptides) 1. 근원지 -엔돌핀과 엔키팔린은 중 추신경계에 광범위하게 분포 -물질 P는 주로 척수와 통증과 연관된 감각뉴런 에서 발견됨 2. 효과 -물질 P는 흥분성임 -엔돌핀과 엔키팔린은 일 반적으로 억제성 3. 적용 -스트레스와 상처에 대한 반응을 활성화하고 조절 -통증의 지각과 반사 행동에 관여함 -모르핀과 헤로인은 아편선 엔돌핀임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적 증상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 축(HPTA) 1. 기능 -갑상선 호르몬 분비 조절 2. 정신과적 증상과의 연관성 -우울증 환자에 있어 TSH가 TRH에 둔감하게 반응한다. 뇌-내분비계 축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A) 1. 기능 - 부신수질의 호르몬 조절 2. 정신과적 증상과의 연 관성 -우울증 환자와 일부 불안 장애 환자에 있어 축 항진 -우울 환자에 있어 덱사메 타손 억제 검사에서 코티 졸이 억제되지 않음 -우울증에서 코티졸이 증 가됨 -우울증에서 CRH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이 증가됨 뇌-내분비계 축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HPGA) 1. 기능 - 난소와 고환의 호르몬 생산 조절 2. 정신과적 증상과의 연관성 -외인성 비만 환자에서 프 로락티 반응이 둔감해짐 -우울한 환자에서 테스토 스테론이 감소됨 뇌-내분비계 축
III. 신경면역학 • 중추신경계와 면역계는 서로의 활동으로 영향을 받게 되며, 성질상 양방향적이다. • 백혈구가 신경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 백혈구의 세포막에서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발견
IV.정신질환의 유전 및 가족적 요인 1. 유전학 -특정한 정신질환의 소인에 몇 가지 유전자나 염색체가 포함 2. 쌍생아 연구 -불안장애, 물질남용장애, 섭식장애, 양극성 장애, 정신분열병은 어느 정도 유전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V.정신질환의 유전 및 가족적 요인 3. 입양아 연구 -연구결과 유전적 영향이 환경적 영향보다 높 은 것으로 밝혀졌다. 4. 가족력 연구 -우울증,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섭식장애등이 특정 가계에 집중해서 나타남.
V.생체리듬 • 내적 또는 외적 환경의 자극, 리듬이나 반복적 패턴에 반응해 일어나는 심리적.생물학적 변화를 총괄하는 중추적인 통제과정 • 리듬의 패턴이 파괴되는 경우는 우울증과 양극성 장애에서 잘 볼 수 있다. • 첫번째 증상으로 수면-각성 주기에 장애를 경험한다. • 연간 주기 패턴은 양극성 장애와 계정성 정서장애에서 흔히 볼 수 있다.
VI.발화 • 간질발작과 비슷한 신경생리적 과정이다. • 변연계가 매일 반복해서 일어나는 역치이하는 전기적 충격을 받는 것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은 양의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 • 우울증, 양극성 장애, 물질남용, 정신분열병등의 신경생리적 질환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 • 약물에 중독된 대상자들이 초기에 보이는 갈망반응의 원인으로 생각됨
VII.신체사정 (신체검사와 병력조사) • 현재 보이는 증상이 비정신과적 이유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치료가 시작되기 전 반드시 실시해야 함(내분비적 이상, 신경과적인 상태, 암, 대사이상, 약물사용과 남용문제, 감염 등) • 이를 통해 강간, 교통사고, 최근의 수술을 받은 경험 물질남용이나 가정학대등 대상자의 현재 정신상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잇는 스트레스원 확인 • 대상자의 동의를 얻은 후 가능한 빨리 사무적으로 처리해야 함
VII.신체사정(임상병리적 검사) • 신경과적 내분비 검사들이 감별진단을 위해 사용됨 •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부신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 • 소변 내 MHPG수준 검사 :소변에서 노에피네프린의 대사를 측정 • 갑상선 호르몬 방출(TRH)자극 검사 :갑상선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
VII.신체사정(두뇌영상 기법) • 뇌파검사(EEG) • REM 잠재기 측정 • 컴퓨터 단층촬영(CAT, CT) •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 단일 광자 방출 단층 촬영(SPECT) • 국소 뇌혈류도(RCBF) • 자기 공명 영상(M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