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0 likes | 1.22k Views
09. 청동불구. 기술교육과 200703133 이기택. 목 차. 청동불상 청동대불 범종 당간 사리함. 청동불상. 불상의 개념. Buddha 의 가르침을 기초로 한 불교 교리에 의한 예배의 대상을 시각적인 조형 매체를 통하여 표현한 조각상. 불상의 개념. 좁은 의미 : 부처의 존상 넓은 의미 : 부처의 상 , 보살상 , 천왕상 , 명왕상 , 나한상등을 모두 포함. 불상의 종류. 청동불상 : 청동으로 제작.
E N D
09. 청동불구 기술교육과 200703133 이기택
목 차 • 청동불상 • 청동대불 • 범종 • 당간 • 사리함
불상의 개념 • Buddha의 가르침을 기초로 한 불교 교리에 의한 예배의 대상을 시각적인 조형 매체를 통하여 표현한 조각상
불상의 개념 • 좁은 의미 : 부처의 존상 • 넓은 의미 : 부처의 상, 보살상, 천왕상, 명왕상, 나한상등을 모두 포함
불상의 종류 • 청동불상 : 청동으로제작 • 금동불상 : 동으로 만든 표면에도금하여 제작 • 금불 : 순금으로 제작
청동불상의 제작 • 고구려에서 4세기 말부터 중국 불상이 유입 • 우리나라 불상 VS 중국 불상 중국 : 속을 비우고 주조 우리나라 : 꽉 차게 통으로 주조
청동불상의 재료 • 청동 = 동 + 주석 • 동, 금, 은, 수은 : 국내 조달 • 주석 : 당나라에서 수입 주석
청동불상의 제작 방법 • 납형제작법
청동불상 • 삼국시대 • 통일신라시대
청동불상 • 시기 : 통일신라 • 시기 : 당나라
일본 쓰시마에서 한국 문화재 절도단이 훔쳐온 국보급 불상이 최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당초 불상은 장물인 만큼 일본에 반환될 것 같은 분위기였지만, 과거 충남 부석사에 있다가 왜구에 의해 약탈된 것이라는 증거들이 속속 드러나면서 반환 여론이 거세졌다. 결국 법원이 일본 반환에 제동을 걸었고, 이제는 한일 간 외교문제로까지 번지면서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청동대불 • 대불이란 불신(佛身)이 1장(丈) 6척(尺)(4.8m) 이상인 불상을 의미 • 이중에서 청동으로 만들어 진 것이면 청동 대불이라고 한다.
대불 제작과정 • 뼈대 만들기 : 목재를 이용해 기본 뼈대를 만든다. • 모형 만들기
대불 제작과정 • 주형 만들기 • 모형의 바깥 틀의 흙을 포개서 하나의 주형으로 만든다. • 주형 만들기 • 주형이 굳으면 바깥 틀을 떼어낸다.
대불 제작과정 • 주형 만들기 • 흘려 넣을 구리의 두께만큼 깎아 낸다. • 주형 만들기 • 주물의 표면 이 되는 부분을 녹은 구리가 들어가기 쉽게 굽는다.
대불 제작과정 • 주형 만들기 • 외형을 코어에 맞추어 조립한다. • 코어 받침못은용탕이 흘러 들어가는 공간을 유지한다. • 주형 만들기 • 대불 공사는 기본적으로 아래에서부터 흙을 쌓아가며 부분부분 작업을 하는데 청동 대불은8등분하여 제작되었다.
우리나라의 대불 • 신흥사 통일대불 법주사 금동미륵대불 동양 최대의 미륵불 입상 높이 : 33m
일본의 3대 대불 • 다카오카 불상 • 높이 16m, 무게 65t 도다이지 불상 높이 16m, 얼굴 길이만 5m에 달하고 제작에 사용된 동(銅)만 해도 500t
일본의 3대 대불 가마쿠라 불상 높이 13.4m, 무게 121t 가마쿠라시대[鎌倉時代] 전반기의 불상형식을 잘 보여 주는 작품으로, 송나라 불상의 영향을 받았다. 대불이면서도 매우 정교하고,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잡힌 일본 최고(最高)의 불상
의 의 • 국가적 대사업 • 일본의 발전된 주조기술 • 그 기술의 밑바탕은 우리 선조들의 기술력
범종의 개념 • 절에서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시각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종 • 불교를 의미하는 ‘범’자를 붙인 것 • 경종, 당종, 조종이라고도 불림
우리나라의 범종 • 학명으로 ‘한국종’ • 독자적인 양식 - 항아리 모양 - 음통 - 명동 상원사 동종
범종의 구조(1) • 용뉴 용의 모양을 하고 있는 범종의 가장 윗부분으로 종을 매다는 고리의 역할을 한다. • 음통 종을 쳤을 때 잡소리 없이 한 가닥 맑은 소리를 나게 하는 역할 • 종문양 비천상과 상.하대문양, 유곽 등에 섬세하면서 아름다운 문양
범종의 구조(2) • 당좌 종을 치는 부분으로 종구의 밑에서 1/3정도이다. • 명동 종 밑부분에 항아리를 묻거나 반달 모양의 홈을 파주는 것으로 타종시 종소리의 공명효과 극대화
동서양 범종의 특징 한국종 김치독형 일본종 컵형 중국종 튤립형 동남아종 와인잔형
범종의 시대적 특징 • 삼국시대 - 한국 범종의 전형 - 용뉴: ∩형 - 종신 : 주악천인상 한쌍 - 당좌 : 있음 상원사 종
범종의 시대적 특징 • 고려시대 - 장식적인 의미를 강조 - 용뉴: S자형 - 종신 하부 : 점차 밖으로 벌어짐 - 종신 : 연화좌 위의 불상, 보살상 - 당좌 : 3~4개 내소사 종
범종의 시대적 특징 • 조선시대 - 고려시대 범종 + 중국 종 - 용뉴 : 쌍룡 - 음통 제거 - 종신 : 명문 기록, 보살입상 - 당좌 : 없어지거나 일정치 않음 원효사 종
범종 제작 과정 1. 진흙으로 내형을 만듦 2. 그 위에 밀랍으로 만들고 싶은 범종과 똑같은 범종 을 만듦
범종 제작 과정 3. 이것을 진토로 매몰 4. 숯불로 열을 가해 밀랍을 녹임
범종 제작 과정 5. 그 빈 속에 쇳물을 부어서 성형
신라 범종의 음향학적 원리 • 종소리 : 종을 치면 은은하게 울려 펴지고 아늑하게 사라지며 길고 긴 여운이 남는다 (맥놀이 현상) • 이 유 : 종 표면의 조각문양들이 각각 두께와 질량이 달라 종을 치면 진동에 의해 각각 다른 파동이 진행하면서 합쳐진 파동의 세기가 커졌다 작어졌다 하기 때문 성덕대왕신종 종소리 : http://www.youtube.com/watch?v=7YEyMLX3sD8
신라 범종의 수학적 비례 • 황금분할비: 1 : 1.618 • 상원사종의 하단부 외경과 하단부에서 천판까지의 높이의 비 : 1 : 1.47 • 봉덕사종의 하단부 외경과 하단부에서 천판까지의 높이의 비 : 1 : 1.36 상원사종봉덕사종
성덕 대왕 신종의 특징 • 밀랍형 주조 공법을 이용해 종을 제작 • 피리 모양의 음통을 만들어 잡음을 거름 • 맥놀이 현상으로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 • 명동을 만들어 긴 종소리
당 간 (幢竿) • 한국 사찰에 설치되었던 시설물 • 사찰의 입구에 세워 법회나 기도등의 행사가 있을 때나 불전을장엄하게 하기 위하여 당(幢)이라는 이름의 기를 내거는 기둥
당간지주 • 당간이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당간의 좌우에 세우는 지주
당간과 당간지주의 의미 • 당간과 당간지주는 사찰의 존재를 알려준다. • 사찰을 장엄하고 수호하며 위상을 높이고자 당을 건다. • 사바세계와 불가의 세계를 경계 지으며 불심을 유도한다.
당간의 구성 • 당 -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달아두는 깃발 - 천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존하지 않음 • 당간 - 당을 걸어주는 장대 - 대나무 형상으로, 나무, 돌, 쇠로 이루어짐 • 당간지주 -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 - 화강암으로 이루어지며, 현존함
당간의 구조(당간) • 비단으로 된 깃발을 달음 • 철, 금동, 나무 등으로 만들기도 했으나 대게 돌 • 꼭대기는 용, 봉황, 사람의 머리 등의 모양으로 장식
당간의 구조(당간지주) • 당간을 지탱하기위해 세우는 지주 • 두개의 돌기둥이 대칭으로 마주봄 • 기둥의 적당한 위치에 간공을 2개씩 뚫어 당간을 고정 • 기둥의 면에는 장식이 없거나, 간단하게 선을 나타내는 등의 장식
현존하는 당간 • 삼국시대 - 공주군 계룡면 갑사 철당간 (보물 256호) • 고려시대 - 청주시 남문로 용두사지 철당간 (국보 41호) - 나주시 성북동 동문 밖 석당간 (보물 49호) - 담양군 읍내리 석당간 (보물 505호)
갑사 철당간 • 보물 256호 • 공주군 계룡면 갑사 • 통일신라 중기 문무왕20년(680)에 건립 • 당간 : 철통지름 50cm 길이 15m(철통24개) • 당간지주 : 소박한 평면 사각석주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