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400 Views
폐목재와 폐 PE 을 이용한 목질계 연료개발. 발표자 : 97006029 김시형 99006001 강명희. 목 차. 서 론 폐목재와 폐 PE Film 을 이용한 연료개발 본 론 폐목재와 폐 PE Film 발생 및 처리현황 조사 및 실험 특성조사 ( 물리 . 화학적 특성 ) 발열량 단독 연료와 혼합연료 압력에 따른 성형여부 조사 각종 혼합연료의 성질 최적의 혼합연료 및 결론 결과 및 고찰. 서 론. 에너지 자원의 외국 의존 대체에너지 개발
E N D
폐목재와 폐PE을 이용한 목질계 연료개발 발표자 : 97006029 김시형 99006001 강명희
목 차 • 서 론 • 폐목재와 폐PE Film을 이용한 연료개발 • 본 론 • 폐목재와 폐PE Film 발생 및 처리현황 • 조사 및 실험 • 특성조사(물리. 화학적 특성) • 발열량 • 단독 연료와 혼합연료 압력에 따른 성형여부 조사 • 각종 혼합연료의 성질 • 최적의 혼합연료 및 결론 • 결과 및 고찰
서 론 • 에너지 자원의 외국 의존 • 대체에너지 개발 • 태양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풍력, 폐기물에너지 • 국내 대체에너지 이용량의 약 62.5%가 폐기물에너지 • 폐목재와 폐PE를 이용한 연료 개발(WDF) •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
폐목재 발생량 • 산림청 자료를 토대로 톱밥과 목피의 발생율 조사 (unit : 1000m3) • 벌목량은 국내 목재공급량의 일정비율로 추산
Selling 68.9% 산업폐기물 17% Incineration 4.3% 농업폐기물 13% 42,600T 생활폐기물 61% Sawdust 26.8% 폐PE Film 발생종류 및 처리현황
폐목재와 폐PE 물리적성질 • 겉보기 밀도 = 시료의 무게와 부피측정후 계산 • 입도=Tyler Sieve로 분석 (폐목재만 적용) • 톱밥 = 0.847mm • 폭피 = 1.223mm
폐목재와 폐PE 화학적 성질 • 시성분석, 열량분석, 원소분석으로 조사 • 시성분석 : 환경오염공정 시험법 폐기물편에 의거 분석 • 원소분석 : YAMAHA XT3000으로 측정 • 흙이 붙어있는 PE는 활용 불가능 • 흙의 회분율 46%
압력에 따른 성형여부조사 단독연료 • 수동식 압축 성형기 • 150Kg/cm3 압력 • 0.78g/cm3 압축 • 기계식 압축 성형기 • 60Kg/cm3 압력 • 1g/cm3까지 압축 • 결과 • 기계식이 아주 우수함 • 성형화 및 감량화 가능
혼 합 연 료 • 혼합연료의 고유번호 • 회분식 압축성형 혼합연료 • 원료성분조성, 작용 및 작용압력변화에 따른 겉보기 밀도 측정
혼합시료의 압축강도 조사 • 350Kg/cm2에서 660Kg/cm2로 상당히 높음
결 과 압축성형기로 만든 PE 20-30%로 첨가된 목질계 혼합연료가 가장양호함
결 론 • 폐 목재 발생량은 약 5.6%의 년평균 증가율을 보였다. • 폐 PE발생량중 농업용 폐기물이 13% 그중 야적(보관)24%로 처리 및 재활용 대책이 필요 • 압력 변화에 따른 성형화와 감량화 • 10Kg/cm2일 때 120-140도가 적당 • PE의 조성은 20-30%일때 양호한 연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