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443 Views
제 2 부 호텔 영업부문의 경영관리.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영업 1 절 부대시설영업의 의의 2 절 멤버쉽클럽 3 절 칸트리 클럽 4 절 카지노 영업. 1/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제 1 절 부대시설영업의 의의. 호텔은 객실 , 식음료 , 연회 , 부대시설영업을 중심으로 수입부문이 구성 호텔의 지역사회 커뮤니케이션센터 기능이 강화되고 ,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호텔부대시설영업이 또 다른 소득원으로 부각
E N D
제 2부 호텔 영업부문의 경영관리 12장 호텔의 부대시설영업 1절 부대시설영업의 의의 2절 멤버쉽클럽 3절 칸트리 클럽 4절 카지노 영업 1/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제 1 절 부대시설영업의 의의 • 호텔은 객실, 식음료, 연회, 부대시설영업을 중심으로 수입부문이 구성 • 호텔의 지역사회 커뮤니케이션센터 기능이 강화되고,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호텔부대시설영업이 또 다른 소득원으로 부각 • 호텔기업은 부대시설영업에 많은 재원을 투자하여 시설을 고급화하고, 서비스를 표준화하여 영업의 활로를 찾아 가고 있으며, 이 부분의 학문적 뒷받침과 연구를 필요로 하게 됨 • 호텔의 위치, 규모, 영업의 형태, 경영방침, 이용하는 주고객층에 따라 부대시설의 종류와 규모의 차이는 있으나 초대규모, 대규모 호텔들이 보유한 시설은 헬스, 사우나, 수영장, 멤버쉽클럽 등이며, • 어떤 호텔은 칸트리 클럽, 카지노, 승마장 등도 갖추고 있고, 그 외에도 영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부대시설영업을 추진하고 있거나 구상하고 있음 2/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 1) 부대시설 운영의 필요성 • 사회적 측면: 라이프스타일 변화, 경제적 여력과 시간적 여유, 정보의 • 발달 • (2) 호텔경영관리측면: 호텔수익부문의 확대, 호텔 사업의 다각화 • (3) 호텔이미지측면: 헬스시설의 유무가 특급호텔의 이미지 및 등급에 • 영향을 줌 • (4) 운영 측면: 호텔의 규모, 위치, 종류, 경영형태 등에 따라 그 호텔에 • 어울리는 부대사업운영에 박차를 가하는 추세 3/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 2) 부대시설의 종류 • 호텔의 부대시설로는 헬스사우나, 카지노, 칸트리클럽, 나이트클럽, 각종 오락시설, 실내외 수영장, 연초신문소매점, 기념품상점, 문구류점, 양복점, 크리닉, 이미용실, 사진현상점, 승마장, 실내골프장, 스키장, 수상스키장, 보트장, 테니스장, 영화관 등 • 3) 호텔위치에 따른 부대시설의 종류 • (1) 바닷가의 휴양지호텔: 보트장, 수상스키장, 요트장, 해수욕장 등 • (2) 겨울철 휴양지호텔: 온천장, 스키장, 설매장, 사냥터 등 • (3) 도심호텔: 사우나, 헬스클럽, 실내골프장, 볼링장, 수영장 등 • (4) 리조트 관광지호텔: 카지노, 칸트릴 클럽, 승마장, 유기장 등 4/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2. 멤버십클럽 1. 멤버십클럽의 개요와 조직 • 1) 멤버십클럽의 개요 • 호텔의 멤버십클럽은 호텔영업의 다각화에 일조를 하고, 단골고객 확 보에 기여하고 있음 • 호텔이 보유한 멤버십클럽은 규모, 형태, 시설, 멤버십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며 호텔 내의 멤버십클럽으로 영업을 활성화하고 있는 시설들 은 헬스클럽, 사우나, 수영장, 멤버십 다이닝과 바 등이 있음 5/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 2) 멤버십클럽의 조직 • 멤버십클럽은 호텔 내외부 고객을 위한 다양한 시설, 기구와 휴게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고객이 이용목적에 맞게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기구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에 의해 전문적인 지도를 제공 • 멤버십관리, 일반고객관리 등의 서비스요원과 행정요원, 헬스클럽의 전문지도요원, 수영장의 전문안전요원 등으로 조직을 구성하게 되며, 클럽의 행정, 고객관리, 시설관리, 종업원 관리 등의 업무를 총괄하는 클럽지배인, 클럽지배인을 보좌하면서 각 부문별업무를 책임지는 부지배인이 있음 • 또한 각 조별로 현장에서 업무를 지휘하는 조장이 있고, 직접 고객에게 서브하는 고객접점종업원이 있음 6/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2. 헬스클럽의 운영 • 최근 우리 나라에도 특급호텔들에 의해 별도의 건물을 신축하여 헬스센터로 개장을 하고, 호텔고객뿐만 아니라 많은 외부 회원을 모집하여 영업을 활성화 시키는 곳도 있음 • 호텔의 헬스클럽이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기능: • ① 건강관리기능 • ② 레크리에이션 기능 • ③ 레저관광 생활의 기능 • ④ 동호인활동을 통한 대화의 창구 기능 • ⑤ 멤버십에 가입한 고객은 호텔의 구전홍보 기능 담당 7/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2. 헬스클럽의 운영 • 헬스클럽의 공간 구성 • ① 스쿼시 존 ② 카디오 존 • ③ 레지스턴스 존 ④ 프리웨이트존 • ⑤ 그룹 체련구역 ⑥ 골프연습장 • ⑦ 퍼팅장 ⑧요가 스튜디오 • ⑨ 운동처방실 ⑩ 놀이방 8/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3. 사우나 • 도심호텔이던 리조트호텔이던 호텔의 사우나는 부대시설의 핵심시설이며, 주로 멤버십에 의해서 클럽이 운영되면서 객실고객에게 무료 또는 할인가격으로 시설을 제공 • 1) 멤버십의 가입 및 양도 • 멤버십의 종류에는 평생회원, 연회원, 단기회원이 있으며, 멤버십가격은 일반적으로 가입비, 가입보증금, 연회비, 기타 회비 등으로 구성 • 멤버십을 양도하거나 인수를 하려는 고객은 멤버십 행정담당을 통해 클럽지배인에게 요청을 하며 호텔은 양도에 대한 규정을 설정하여 멤버십 구입자의 자격을 심사하게 되며, 심사에 통과된 멤버십에 대해 양도를 허가하게 됨 9/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 2) 멤버십의 프론트 데스크 업무 • 멤버십업무는 행정실에서 담당하는 회원관리업무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프론트 데스크에서 이뤄지는 일일 고객관리업무 • 멤버십클럽의 업무는 주로 오전6시부터 오후10시 사이에 이뤄지며 2개조로 나눠서 업무에 임하게 됨 • P348~349, 오전조와 오후조의 주요업무 내용 10/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4. 수영장 • 호텔의 수영장은 멤버십클럽의 일환으로 객실고객도 함께 이용하게 되며, 운영과 행정은 헬스와 사우나 부문에서 함께 진행 • 대부분의 호텔수영장은 무료로 운영되지만 수영장의 규모가 큰 몇몇 호텔은 수영장을 유료화 하고, 독자적으로 운영하며, 대대적으로 수강생을 모집하여 큰 수입을 올리기도 함 • 호텔이 운영하는 수영장은 청결과 위생 및 안전관리가 중요한 요소 • 1) 수질과 환경 위생 • - 여과기계, 환경위생기관의 행정감독, 고객편의 • 2) 수영장의 유지 • - 물의 위생적인 부문, 적절한 화학약품의 사용, 전염병의 예방 11/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5. 멤버십 다이닝과 바 운영 • 호텔이 운영하는 멤버쉽은 각종 체육시설, 레저시설, 휴게시설을 비롯하여 다이닝과 바가 있음 • 멤버십 다이닝과 바를 보다 세분하면 멤버십 다이닝, 전문가 다이닝 및 바, 비슷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모여드는 소셜클럽, 대학의 동창생, 교수, 학생들의 전용공간인 유니버시티클럽 등이 있음 • 호텔에서 운영하는 멤버십클럽은 호텔의 주고객으로서 사회적 명성과 부를 축적한 고객이 별도의 공간에서 그들이 초청한 인사들과 함께 식사를 즐기고, 칵테일을 즐기며, 사업을 논하고, 인생을 논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음 • 호텔은 멤버십에 가입할 수 있는 고객을 매우 제한적으로 고려하고 있어 매출보다는 호텔의 품격유지에 더 많은 기여를 하게 됨 12/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제3절 칸트리 클럽 • 호텔이 운영하는 부대시설 중 가장 규모와 면적이 큰 부대사업 • 칸트리클럽의 하우스에는 호텔의 식음료 서비스가 이뤄지며, 운영자체는 서비스산업의 주체들이 운영하기에 매우 합당한 부대시설 • 우리 나라의 경우 국토의 균형발전과 지방자치단체의 세원확보,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건설허가를 완화하고 있는 실정 13/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1. 칸트리클럽의 이해 1) 골프의 역사 - 골프는 잔디 위에서 자연을 즐기며 클럽으로 볼을 쳐서 홀에 넣는 스포츠 - 기원 : (1) 네덜란드에서 어린이들이 즐겨 하던 Korf라는 경기에서 유래 (2) 스코틀랜드에서 양치는 목동들의 민속놀이에서 비롯됨 2) 골프 경기 - 일정한 막대기를 사용하여 공을 쳐서 홀 안에 집어 넣는 경기이며, 여기서 가장 적게 쳐서 홀 컵 안에 공을 집어 넣는 사람이 승리 14/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2. 시설관리와 클럽하우스의 운영 • 1) 시설관리 • 칸트리클럽의 시설은 경기장인 잔디, 자연녹지, 진입로 등을 자연환경에 가장 근접하도록 관리하게 되며, 이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이 필요 • 클럽하우스의 관리는 호텔의 하우스키핑부서가 호텔의 건물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관리가 가능 • 2) 클럽하우스 운영 • 칸트리클럽의 클럽하우스는 로비, 락커룸, 식음료 영업장, 골프용품 판매장, 각급 사무실로 구성 • 식음료는 담당하는 클럽하우스에는 특급호텔의 식음료 영업장에서 서브되는 다양한 식사와 음료가 판매됨 15/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제4절 카지노 영업 1. 카지노영업의 의의 • 카지노의 어원은 이탈리아어의 “CASA”에서 발전되었으며, Gambling, Music, Show, Dance 등이 어울러져 고급 사교장을 이루었던 상류사회의 별관에서 시작되었다. • 카지노 사업은 관광객의 수요를 창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관광사업 중에서도 매출액 규모가 매우 큰 관광사업이다. 16/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 우리나라 관광진흥법에서 관광사업을 규정하고 있으며 관광진흥법 제3조 1항에는 “전문영업장을 갖추고 주사위, 트럼프 등 특정한 기구 등을 이용하여 우연의 결과에 따라 특정인에게 재산상의 이익을 주고 다른 참가자에게 손실을 주는 행위” 등을 하는 업으로 규정 • 카지노는 관광사업으로서 레저스포츠/위락형 오락으로 인식 • 우리나라 카지노 현황 : 서울3개, 부산 2개, 제주지역 8개, 인천/강원/ 경북 각 1개씩 운영하고 있음 17/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2. 카지노영업의 역사 • 해외: P358 참조 • 2) 우리나라: P359 참조 3. 카지노의 조직과 역할 • 1) 카지노의 조직 • 카지노는 호텔의 부대사업으로 분류를 하지만 영업의 특성상 별도의 조직을 구성하여 영업에 임하게 되며, 대표이사를 호텔의 대표이사가 겸하거나 완전 분리하여 영업에 임하기도 한다. • 카지노의 총지배인은 영업을 총괄하며, 쾌적한 시설과 고객지향적인 서비스를 이행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게 된다. 18/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2) 각 부서의 역할 ① 대표이사 ② 총지배인 ③ 영업담당임원 ④ 마케팅담당임원 ⑤ 관리담당임원 ⑥ 영업부무의 역할 ⑦ 마케팅부문의 역할 ⑧ 관리부문의 역할 ⑨ 안전관리부서의 역할 ⑩ 회계부서의 역할 ⑪ 전산부서 3) 카지노의 영업규칙 19/20
제 12 장 호텔의 부대시설 영업 4. 게임의 종류와 방법 1) 블랙 잭(Black Jack) 2) 바카라(Baccarat) 3) 룰렛(Roulette) 4) 다이사이(Tai-sai) 5) 빅휠(Big Wheel) 6) 포커(Pocker)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