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0 likes | 720 Views
한 미 FTA 교육서비스 협상 에 대한 올바른 이해. 2006. 8. 차 례. 1. FTA 란?. FTA 의 의미. 2. 왜 한미 FTA 인가?. 3. 한미 FTA 교육서비스 협상이란?. 4. 한미 FTA 교육서비스 협상전략. 5. 한미 FTA 의 향후 추진계획. FTA ( 자유무역협정) 이란?. 1. 현재(90년대 후반 이후): 서비스,투자, 지적재산권, 등 대상범위 확대. 과거 : 주로 상품분야의 관세 철폐가 대상. FTA 란 무엇인가?.
E N D
한미 FTA교육서비스 협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 2006. 8
차 례 1 FTA란? FTA의 의미 2 왜 한미 FTA인가? 3 한미 FTA 교육서비스 협상이란? 4 한미 FTA 교육서비스 협상전략 5 한미 FTA의 향후 추진계획
현재(90년대 후반 이후): 서비스,투자, 지적재산권, 등 대상범위 확대 과거 : 주로 상품분야의 관세 철폐가 대상 FTA란 무엇인가? • FTA : Free Trade Agreement 1. FTA 란? • 회원국간에 관세 및 기타 교역장벽을 철폐 • 완화함으로써 상호간 교역 증진을 도모하는 지역무역협정(RTA) • ※ 공통대외관세를 설치하지 않는 점에서 EU등의 관세동맹(Customs • Union)과 차이 2. FTA 의 범위
연도별 지역협정 체결 건수의 변화 추이 분석 193건 ’06.3월 현재 WTO에 통보된 193건의 지역협정 중 133건이 90년대 후반이후 체결 102건 60건 27건 17건 6건 3건 1960 1970 1980 1990 1995 2000 2006년 3월 * 자료출처 : WTO
FTA의 이익은 무엇인가? WTO수준보다 높은 서비스 시장 개방을 통해 서비스 부문의 효율성 증대 상호간 및 제3국으로부터의 투자유치 활성화 국내규제 제도의 합리적개혁의 계기 소비자 이익 증대를 통해 국익을 증진 경제 상호의존성 증대 통해 상호협력체제 구축
한마디로 말하면? • FTA는 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제공 ! 경제의 효율성 제고 경쟁심화를 통한 소비자 이익 제고 국가간 협력체제 증진
FTA의 의의 • 전쟁은 Winner와 Loser가 정해지는 Zero-Sum Game ! • FTA는 서로 새로운 기회를 찾아 상호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Win-Win Game!
주요국의 FTA 추진 동향 46 43 39 15 14 6 미 국 중 국 E U 멕시코 칠 레 한 국 (’05년말 현재 타결국 수 기준)
주요 국가별 FTA 교역비중 FTA의 확대 경향
` 「FTA 추진 로드맵」(03’) 주요 교역상대국과 동시다발적 FTA 추진 (multi-track approach) : 아세안, 캐나다, 멕시코, 일본, 미국 등 06. 7월 현재 발효 2건(칠레, 싱가포르) 타결 2건(EFTA, 아세안-상품분야) *EFTA: 아이슬랜드, 스위스,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협상중 5건(캐나다, 멕시코, 인도, 미국, 일본) 공동연구중 1건(남미 공동시장) 우리나라의 FTA 추진 동향
’06.7.10 ~14 2차 협상(서울) ’06.6.5 ~9 1차 협상(워싱턴) 23개 부처 ’06.2.3일 한•미FTA 협상 공식 출범 발표 (미국기준 2.2일) 3차례 사전실무점검회의 개최 ‘ FTA 추진 로드맵 ’ 수립–전략적단계적 추진 설문조사 : ’04.11 전경련(87%), 12월 한국갤럽(80%) ’05년 ’03년 이래 우리 “FTA 정책”의 궁극적 지향점으로 미국과의 FTA 추진 가능성 모색 <민간분야> ’00년 제13차 한·미 재계회의에서 한미 FTA 추진문제가 최초로 제기됨 한미FTA 어떻게 준비했나? 한·미 FTA 추진 경과
교육,법률서비스 농산물교역 • 제외품목의 범위 • TRQ운영방식,농산물세이프 • 가드, 수입국영무역, • 수입부과금 • 고등교육, 성인교육 서비스 개방 • 법률서비스의 개방 폭 • 국제경쟁력 강화 • 규제체제의 upgrade • 최소한의 공공성 확보 금융∙통신 ∙사회보장 서비스 지재권 보호 • 저작권 70년 보호, 일시적 복제권 인정 • 의약품 특허권 강화 • 제출자료 영업비밀 보호 강화 • Risk 관리가 중요: - 신금융서비스,국경간 금융거래 • 기간통신 지분 제한 • 공공사회보장서비스 제외문제 • - “민간과 경쟁” 한-미FTA의 주요이슈
한-미FTA의 주요이슈 개성공단 생산품 원산지 문제 전자상거래 • 영구적 무관세 조치 • Open regionalism approach 분쟁해결 의약품 의료기기 분야 의약품 의료기기 분야 분쟁해결 의약품 의료기기 분야 의약품 의료기기 분야 • 금전배상(monetary assessment) 인정 • 금전배상(monetary assessment)인정 • Standstill 의무 여부 • 실질적 차별문제 • 시장접근 제한 문제 • 투명성 문제 • Standstill 의무 여부 • 실질적 차별문제 • 시장접근 제한 문제 • 투명성 문제 • Standstill 의무 여부 • 실질적 차별문제 • 시장접근 제한 문제 • 투명성 문제 • 국민 건강보험 제도 개혁 • Standstill 의무 여부 • 실질적 차별문제 • 시장접근 제한 문제 • 투명성 문제 한-미FTA의 주요이슈
2. 한미 FTA, 왜 해야 하나?
노동생산성 제고 판매시장유지 ·확대 외국인투자 유도 시스템 Upgrade Global Standard FTA 필요성新성장동력확보 IMF 이후 한국경제 • ‘97 경제 위기의 성공적 극복 한단계 도약 필요한 시점 • 저출산·고령화 잠재성장률 저하 • 90년대 이후의 대내적 경제성장률 저하 현상, 대외적 Global화 및 정보화 경향의 심화 생산성 향상을 위해 경제·사회 시스템의 upgrade및 Global standard화 필요 잠재성장률 예상 (%) 6 4.9% 4.3% 5 4 2.9% 3 1.8% 1.4% 2 1 0 2006~2010 2011~2020 2021~2030 2031~2040 2041~2050
1980년대 1960~80년 수출주도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입자유화, 외국인 투자 자유화 2000년대 1990년대 경제 체질개선, FTA적극추진, DDA 적극참여, 세계 1등상품 육성, 서비스산업 진흥 수입자유화 확대, WTO/UR, OECD 가입 및 금융 자유화 한국경제발전 = 개방의 역사 개방사례 : 한강의 기적
미국 : 세계 최대시장 전세계 수입중21.8% 소화 2001~2005 국가경쟁력 1위 ‘05 GDP규모 :우리나라 16배 [중(8%)+일(6.5%)+ASEAN(7%)< 미] [WEF/IMD 발표] 한국 39위(’05년) [12.5조불vs.7,880억불]
BRICs 등 후발국들의 맹추격 주변국가로 전락(marginalized)할 가능성 대미수출 증가율(‘05, %) 국산품 미국수입시장 점유율(%) 23.8 20.9 4.6 3.1 2.6 2.6 0.6 -5.2 한국 중국 대만 인도 ‘88 ’98 ‘01 ’05 한·미 FTA:우리 경제의 생존전략 닛케이 신문, 일본 정부도 한미 FTA 협상을 계기로 더 늦기 전에 미국과의 경제연대에 적극 나설 것을 주문 위기감 느끼는 일본
한미 FTA의 기대효과 2. 생산, 고용, 교역 및 FDI의 증대 - 실질 GDP(7.75%증가, 352억불) - 고용(3.3%증가 55만명) * 한미 FTA의 경제적 효과(KIEP, ’06.4) 1. 세계 최대시장의 안정적 확보 3. 경제·사회 시스템 선진화의 계기 - Global standard 정착 -서비스부문의 획기적인 개선 * 서비스 생산성(’00년, 한국 = 100) :미국(219.2), 일본(195.3), 프랑(199.9) 4. 국민의 삶의 질 향상 5. 대외신인도 개선
미국시장에서의 차별 방지를 위해서도 필요 FTA 이스라엘, 캐나다, 멕시코, 요르단, 싱가폴, 칠레, 중미공동시장, 호주, 모로코, 도미니카, 바레인, 페루 + FTAA, UAE, 태국, 파나마, 콜롬비아, 말레이시아, 오만, 남아프리카(SACU) + 대만, 파키스탄, 뉴질랜드, 쿠웨이트, 이집트 등
한-미FTA 반대논리 분석 1 반대논리 1 반대논리 1 반대논리 1 반대논리 1 반대논리 1 분석/대응 반대논리 1 미국의시장규모 가우리의 16배 이므로 우리로서는 최대4.9%x16의 시장접근 개선 효과 를 보게 됨을 간과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한-미FTA 반대논리 분석 2 반대논리 2 분석/대응 농업부문에 대한 피해가 크다는 것은 우리 농산물 소비자의 이익 (값싼 농산물 소비) 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함을 전혀 고려치 않음 농업/서비스업의 피해는 큰 반면 제조업의 이익은 적으므로 한-미 FTA는 불필요 • 낙후된 국내서비스업의 국제경쟁력 증진의 계기가 됨을 간과 • 서비스 산업의 성장은 고용 창출을 위해서도 필요함
한-미FTA 반대논리 분석 3 반대논리 3 분석/대응 양극화의 궁극적인 해소를 위해서는 사회안전망 및 고용보험 제도의 정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막대한 재원확보를 위해서는 개방을 통한 경제전체의 성장이 필수적으로 뒷받침 되어야 함을 간과 제조업 부문의 대기업의 이익 증진, 영세상인 및 농수산업 종사자에 대한 피해 - 양극화가 심화됨 • FTA는경제성장을 • 위한 필수적인 선택임
한-미 FTA의 의의 • 한-미간 새로운 교역기회를 찾아 이익을 극대화, 경제 체질개선 및 구조조정을 통한 생산성 증대, 동반적 안보협력관계 강화 => Win-Win Game!
3. 한미 FTA 교육서비스협상이란?
한미 FTA 교육서비스 분야 UN 분류 (CPC 코드)
FTA 서비스 거래유형 국경간 공급 –서비스 자체가 국경이동 유형 1 유형 1 유형 2 해외 소비 –소비자가 국경 이동 상업적 주재 –자본이 국경 이동 유형 3 자연인 이동 –공급자(자연인)가 국경 이동 유형 4
FTA 서비스 거래에 대한 유보 분야별 서비스의 개방여부를 협상을 통해 합의 개방하기로 합의한 부문에 대해서도 - 4가지 서비스 거래 유형에 따라 유지하고자 하는 규제의 내용을유보함으로써 각각의 유형에 대한 규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가능 각국의 국내사정 및 정책우선순위에 따라 개방 및 유보사항에 대한 ‘package deal’이 얼마든지 가능
Negative List 방식 유보(reservation) 방식 • 협상을 통해 • 개방하지 않는 분야 및 유지하고자 하는 규제의 내용(예 : 비영리 학교법인 제도)을 부속서 유보리스트에 기재 할 수 있음 • - 미기재시 자동 개방 • 현존 규제를 유지할 수 있는 권리 유보 (현재유보) • 2. 향후 규제를 도입할 수 있는 권리 유보 (미래유보) • 각국이 이러한 • 유보사항을 제시하고 협상을 통해 상호 합의 협상 한미 FTA 교육서비스 유보 방식 Negative list 방식 Negative list 방식 유보(reservation) 방식 • 협상을 통해 개방하지 않는 분야 및유지하고자 • 하는 규제의 내용 (예 : 비영리 학교법인 제도)을 부속서 유보리스트에 기재 할 수 있음. • - 미기재시 자동 개방 • 협상을 통해 개방하지 않는 분야 및유지하고자 • 하는 규제의 내용 (예 : 비영리 학교법인 제도)을 부속서 유보리스트에 기재 할 수 있음. • - 미기재시 자동 개방 • 현존 규제를 유지할 수 있는 권리 유보 (현재유보) • 2. 향후 규제를 도입할 수 있는 권리 유보 (미래유보) • 각국이 이러한 • 유보사항을 제시하고 협상을 통해 상호 합의 분류
교육시장의 세계적 추세 경쟁력 제고 국제화 수요자 만족 교육시장 규제완화 경제발전
한국의 교육서비스 산업규모 • 한국의 교육서비스 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추세
한국과 미국의 교육경쟁력 비교 • 미국 (고등) 교육의 경쟁력 • 전체 미국내 외국인 유학생 586,323명 중 인도, 중국에 이어 한국은 3위(8.8%)의 • OECD 주요국가의 교육서비스 수지 2004, 단위 : 백만달러
한국의 교육서비스 경쟁력 • 한국의 교육수지(유학, 연수) 적자규모 계속 증가 자료 : 한국은행(www.bok.or.kr) ** 세계 100위권 대학순위(The Times, 2005) - 베이징대 15위, 도쿄대 16위, 서울대 93위
미국과 체결한 외국 개방사례 공교육이 미개방 나머지 개방 캐나다 멕시코 초중등교육 미개방 고등교육은 의과대학 외 개방 싱가폴 중등교육이상 개방 호주
5. 교육서비스 협상전략은?
교육시장개방 교육서비스 협상 방향 1. 목표 - 고등, 성인교육 중심 - 국제경쟁력 제고 및 교육제도 upgrade • 2. 기본원칙 • - 원칙적으로 WTO DDA 개방수준에서 대응 • - 공공성이 강한 초중등교육 미개방 • - 고등 및 성인교육 분야 중 • 국내법상의 제한(예, 비영리학교법인) 내 개방 • 기타 규제개선을 통한 교육제도 개선 및 • 서비스 질 향상의 계기로 활용
외국대학과 교육과정 공동운영 자율화, 외국대학 취득학점 인정범위확대 등- 적절한 유보를 통해 대학의 질 담보 및 국제경쟁력 강화 • 원격교육, 테스팅 서비스 등 미래유보 - 현재 별도 정부규제는 없으나, 공공성 확보와 서비스 질 관리 차원에서 향후 정부의 규제권한을 확보 • 공공성을 고려하여 미개방 ** 미국도 1,2차협상시 공교육제도에 관심없음 표명 교육서비스 협상 대응전략 초중등 고등 성인 ** 우리는 자발적 제도개선의 계기로 활용 ! ** 우리 속도와 환경에 맞는 고등교육 국제화 전략 추진 기타
교육서비스 협상 대응전략 초• 중등교육부문의 공공성 유지 미개방 미래유보 고등교육부문의 국제화 + 수요자 만족도 향상 규제 필요 사항 유보 현재유보
한-미FTA 교육서비스협상 반대 논리 분석 1 반대논리 1 분석/대응 초중등교육의 미개방 -미래규제권리를 포괄적으로 유보함으로써 우리 기초 공교육체제 보호 우리 공교육 체계를 무너뜨리는 단초 제공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 비영리학교법인제도 유지 고등교육 및 성인교육 분야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일부 개방 • . 따라서 한-미FTA가 공교육 체계를 무너뜨린다는 것은 과도한 우려
한-미FTA 교육서비스협상 반대 논리 분석 2 반대논리 2 분석/대응 고가의 외국교육서비스의 국내진입 허용 및 국내 사교육 활성화 교육분야의 양극화 현상 심화 고등교육 및 성인교육 분야의 일부 개방은 그동안 부유층 자녀들이 해외유학을 통해 선진교육의 혜택을 독점해온 에 대한 개선효과 가능 외국교육기관과의 교류 활성화를 통해 국내 대학교육 수준 제고 기대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양질의 교육제공으로 양극화 해소에 도움 가능
한-미FTA 교육서비스협상 반대 논리 분석 3 반대논리 3 분석/대응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평균관세율이 한국이 미국 보다 높으므로 (11.9% v. 4.9%) 상호 관세철폐로 인해 한국이 손해 협상을 통해포괄적 미래유보조항을 마련,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에 대한 국내규제의 권한을 포괄적으로 확보 원격서비스, 테스팅서비스 등 각종 새로운 서비스의 무분별한 진입을 허용 새로운 서비스 출현시 이러한 규제권한을 합리적으로 행사함으로써 교육서비스의 질 보장
한-미FTA 교육서비스 협상의 의의 • 한-미FTA는 교육분야의 Zero-Sum Game 을 하려는 것이 아니고 • 상호 교육의 공공성을 인정한 상태에서 교육협력을 도모하는 Win-Win Game 추구
6. 향후 추진계획은?
향후 추진일정 6~8주 단위로 후속협상 진행 ’06. 8월 9월 ’06. 10,12월 3차 협상 세부논의 협상준비 상세 요구안 교환 후속협상 추진 협상진행과 국내 보완대책 마련 병행 우리측 협상대표단 구성 및 주요 쟁점별 검토 6월 7월 9월 10월 12월 1차 2차 3차 4차 5차
투명한 협상 추진 정부는 각계각층의 폭넓은 국민적 참여와 의견수렴을 중시합니다! 국민의견을 다각적으로 수렴하고 협상의 투명성을 최대한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 2월~현재 인터뷰, PCRM 등 대국민 홍보 • 전문가 기고, 간담회 수시 추진 • 6.1, 7.6 1/2차 매 협상전 의견수렴 • 우리부 홈페이지 ‘자료실 및 의견수렴방’ 운영 등 • - 한미 FTA 관련 각종 link를 통해 다양한 의견수렴 및 자료제공
Thank You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