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likes | 1.31k Views
3 장 우리나라의 표준화. 표준화강좌. 목 차. I. 한국산업표준. II. 산업발달과 KS. III. 표준화의 추진 체계. IV. 표준화의 추진 사례. V. 표준화의 미래. 5. KS. 한국산업표준 (Korean Industrial Standards). Ⅰ . 한국산업표준㉿ (KS). ◈ 한국산업표준 이란 ?. “ 산업표준화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제정된 국가표준을 말한다 ”. 다른 표준은 “ 한국산업표준 ”이란 명칭을 사용할 수 없음.
E N D
3장 우리나라의 표준화 표준화강좌
목 차 I 한국산업표준 II 산업발달과 KS III 표준화의 추진 체계 IV 표준화의 추진 사례 V 표준화의 미래
5 KS 한국산업표준 (Korean Industrial Standards)
Ⅰ. 한국산업표준㉿ (KS) ◈ 한국산업표준 이란? “ 산업표준화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제정된 국가표준을 말한다” • 다른 표준은 “한국산업표준”이란 명칭을 사용할 수 없음 “국가의 산업 및 경제 활동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질서 법” •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각종 법률의 개념 상품 및 서비스의 품질・생산효율・생산기술을 향상시키고 거래를 단순화・공정화하며 소비의 합리화를 위하여 제정(법적 의미)
Ⅰ. 한국산업표준㉿ (KS) ◈ 제정절차 • 신제품 개발 및 국제표준 제정 등 • 이해 관계인들의 제정 요청 대상품목 선정 • 국가가 직접 작성 •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표준(안) 작성 • 관계행정기관 협의 • 공청회 등 이해관계인들의 의견 수렴 입안예고 • 관보 등에 60일 이상 예고 산업표준심의회 심의 공포
Ⅰ. 한국산업표준㉿ (KS) ◈ KS는 어떤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는가? KS C7601(형광램프)제정:1966.3.10, 개정:2004. 5. 27. 1) 적용범위 2) 인용규격 3) 용어의 정의 4) 종류(스타트형 등4종) 5) 형식 및 종별(FL40D등) 6) 안전성능(절연저항,내전압, 온도상승 등 9개 ) 7) 안전성능 시험방법 8) 제품성능(시동,밝기,수명 등 8개) 9) 치수 10) 제품성능 시험방법 11) 표시사항
Ⅰ. 한국산업표준㉿ (KS) ◈ KS는 어떤 형식으로 작성 되는가? • KS A0001(표준의 서식 및 작성방법)에 따라 template화 되어 제품 별로 동일한 형식으로 작성 • 일반원칙 및 구조 • 작성 원칙 • 기본 참고자료 • 구분 및 번호부여 • 용어의 정의 및 표현방법 • 특허권 관련 •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항목의 호칭 • 문장 말미의 형태 • 양과 단위 • 서식 • 문장쓰는 법 • 해설서 작성법 등
Ⅰ. 한국산업표준㉿ (KS) ◈ 실제의 KS표준
Ⅰ. 한국산업표준㉿ (KS) ◈ KS 총 목록(찾아보기) 목록 내용별 의미 ㉿ KS C 7601 : 04 형광램프(일반조명용) MOD IEC 61195 66.3.3 04.5.27 표시지정여부 부문 표준번호 최종제개정년 표준명 부합화정도 대응국제규격 제정일자 최종개확인
Ⅰ. 한국산업표준㉿ (KS) ◈ KS 분류 21개 전문 분야별로 영어 알파벳 대문자로 나타냄 기본 전기 KS 기계 KS KS D:금속M : 화학 E:광산 P : 의료 F:토건 Q : 품질관리 G:일용품 R : 수송기계 H:식료품S : 서비스 I : 환경 T : 물률 J : 생물 V : 조선 K:섬유 W : 항공 L:요업 X : 정보 ☞ KS C 7601(형광램프)1000단위는 중 분류
Ⅰ. 한국산업표준㉿ (KS) ◈ KS 수준 산업화의 초기 JIS를 참고로 KS 제정 최저수준 현 재 99.9% 국제표준과 부합화 합리적 경제적인 수준 생산자 소비자 전 세계는 하나의 표준을 지향 국제적인 수준
Ⅰ. 한국산업표준㉿ (KS) ◈ KS표준 보유 현황 연도별 1962년 300종 1970년말 1,846종 1980년말 7,029종 1990년말 8,5520종 2000년말 10,845 2008년말 23,062종
Ⅰ. 한국산업표준㉿ (KS) ◈ KS표준 보유 현황 형 태 별 방법:시험,분석,검사,검정,측정방법등 전달: 용어,기호,부호,기준(소음,조도,환경),픽토그램
Ⅰ. 한국산업표준㉿ (KS) ◈ KS준 보유 현황(2008.12) 주요 전문 분야별 기계:4,201 화학:4,090 정보산업:1,918 전기전자:3,395
Ⅰ. 한국산업표준㉿ (KS) ◈ 국가표준 정보망 국가표준 검색 기술표준원 홈페이지(www.kats.go.kr)
Ⅰ. 한국산업표준㉿ (KS) ◈ 국가표준 정보포탈서비스 국가표준 검색 홈페이지(www.standard.go.kr)
Ⅱ. 산업발달과 KS 산업발달과 KS
Ⅱ. 산업발달과 KS ◈ 공업화의 시작(1960년대) 제1차 (62~67년), 제2차 (67~71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전통적인 농업국→신생 공업국 • 외자도입 및 수출증대로 공업화의 기본 전략 마련 • 공업화를 통한 경제발전을 최우선시 하여 연평균 9%이상 성장 • 화학섬유 산업의 급속한 발전 • 기계공업 진흥법 1967년 경공업 국제적인 수준으로발전 시작 중화학공업 • 전자공업진흥법 1969년 • 석유화학공업육성법 • 자동차공업육성계획
Ⅱ. 산업발달과 KS ◈ 표준화의 도입(1960년대) 공업표준화법 제정(1961. 9. 30) • 상공부 표준국, 산업표준심의회, 한국규격협회 설립등 • 정부주도의 공업화 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한 기초적 수단 • 용어,기호, 소재류, 부품류, 공통시험방법, 생필품 위주의 표준화 • KS 제1집 43종 발간・보급(1962년7월)
Ⅱ. 산업발달과 KS ◈ 표준화의도입(1960년대) 1963년 KS인증제도 도입 KS인증제품 우선 구매제도 도입 KS 보급 확산 1965년 제1회 KS표시품 전시회(10월, 시청앞 광장) 1963년 가 입 국제표준화기구 ISO , IEC, ITU
Ⅱ. 산업발달과 KS ◈ 1960년대에 제정된 주요 KS 섬유용어(K0001) 품질관리용어(A3001) 고철분류기준(D2101) 샘플링검사통칙(A3101) 전기용 기호 및 단위기호(C0101) 미터보통나사((B0201) 신문용지(M7101) 땜납(D6704) 철필용등사원지(G2502) 연지금(D2302) 에나멜선(C3107) 철공용줄(B3151) 도자기질타일(L1001) 펜치(B3001) 외부포장용골판지(A15020) 보통합판(f3101) 구멍탄(E3731) 위생도기(L1551) 전기다리미(C9201) 백열전구(C7501) 화장비누(M2701) 조합페인트(M6020) 점토벽돌(L4201) 수도꼭지(B2331) 형광램프(C7601) 피아노(G8003)
Ⅱ. 산업발달과 KS ◈ 중화학공업의 집중적 육성 (1970년대) 중화학공업의 집중적 육성 석유화학, 철강, 금속제품, 기계, 전기・전자, 조선, 자동차 제조업중 중화학의 비중을 72년35%, 81년51%, 수출65%를 목표 수출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인 향상도 괄목할만한 진전(77년도100억불 돌파) ◈ 경제환경 악화 (1970년대) 1,2차 오일쇼크로 인한 각국의 보호 무역정책 강화 제조업의 노동임금 상승(약30%)
Ⅱ. 산업발달과 KS ◈ 체계적인 표준화 추진(1970년대) 중화학 공업 육성 및 에너지절약 정책을 지원하는 표준화 추진 • 공업진흥청을 발족 • 공업표준화 10개년 계획 수립 실시 1973년 매년 500여종의 표준을 제정 70년대말 6,700종 보유 중화학과 에너지 관련 표준을 집중적으로 제정
Ⅱ. 산업발달과 KS ◈ 1970년대에 제정된 주요 KS • 원유및석유제품-황분석시험방법(M2027) • 연질폴리염화비닐 콤파운드(M3156)등 696종 중화학분야 • 철및강의형광X선분석방법통칙(D1654) • 자동차구조용열간압연강판 및 강대(D3519)등 317종종 철강 및 금속분야 • 디젤기관용연료분사펌프성능시험방법(B6003) • 포트식기름연소 보일러(B8000)등757종 기계분야 • 정보처리용어(X0001) • 전기진공청소기(C9101)등396종 전기・전자분야 • 선박용청동글로우밸브(V7311) • 선박용전기기구의방수시험통칙(V8011)등 323종 조선분야 • 자동차주행 시험방법통칙(R1006) • 자동차 기관용 피스턴(R3003)등196종 자동차분야
Ⅱ. 산업발달과 KS ◈ 첨단 산업 육성 및 대외적인 요구 증가 (1980년대) 수출 및 산업구조 고도화 • 국내시장의 대외개방 요구 • 수출장벽 중화학산업 정보산업, 첨단산업 등 기술집약적 산업 확충 지속적인 수출 증가로 국제수지 흑자 컬러TV, VTR, 전자레인지, 완성자동차의 본격 생산 GATT 협정에 따른 비관세 장벽 해소 결의 산업표준의 국제화의 필요
Ⅱ. 산업발달과 KS ◈ 국제 및 선진 표준과 부합화(1980년대) KS의 국제화 사업 본견 추진(1984년) • 국제 및 선진공업국 수준으로 KS수준을 상향 조정 • 국내 제품의 품질향상과 무역에 있어서 불이익 최소화 공업표준화 중장기 5개년 계획 수립 시행(1987년) • 정보산업,생명공학,로봇,광섬유 등 신기술 분야 표준화 추진
Ⅱ. 산업발달과 KS ◈ 1980년대에 제정된 주요 KS 산업용로봇 용어,기호(B0067,0068) / 생물현미경용 렌즈(B5615) / 반도체소자 통칙(C5212) / 대기 중 일산화탄소 측정기(B5358) / 의료용 내시경장치(P1215) / 광섬유통칙(C6920) / 인체측정방법(A7004) / 개인용컴퓨터(X5001) / 항공우주기기의 환경시험방법(W0811) / 광전송용 부품 통칙(C6900) / 로봇의 모듈화 설계 통칙(B7086) / 환경시험방법(C0220 등 다수) / 프로그램언어(X2002등 다수) / 광섬유 커넥터(C6970 등 다수) / 주유기(B6602), / 신용카드(X6501) / 자동차연료탱크 모양과 치수(R2051) / 로봇의 안전 통칙(B7083) /
Ⅱ. 산업발달과 KS ◈ 기술집약형 산업으로 전환 (1990년대) • 부가가치가 높은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전환 재화 정보 • 기술드라이브 정책 본격 추진 ◈ 민간 부문 역할 증대 원활한 경제활동 경제활동 증대 민간분야 민간 경제활동의 주체 • 직접 법규로 정하고 있는 규제는 최소화 • 민간단체 활동 강화 정부 지원 및 조정 기능
Ⅱ. 산업발달과 KS ◈ 표준화의 주체성 확보(수용자→제정자,1990년대) 우리의 표준 1 2 3 표준을 따르는 자 표준을 만드는 자
Ⅱ. 산업발달과 KS ◈ 표준화의 주체성 확보(수용자→제정자,1990년대) 산업표준의 선진화 5개년 계획 (1993년~1997년) • 환경,물류,신소재,서비스 등 신수요분야 KS제정 확대 • 한국산업표준연구원을 설립 우리주도의 표준 개발 준비 • 민간 수요자들이 중심이되어 창조적인 표준 개발 확대 우리나라의 위상제고 • 국제회의 국내 유치 • 국제기구에 주재관 파견 등 국제표준화 활동
Ⅱ. 산업발달과 KS ◈ 1990년대에 제정된 주요 KS 태양열집열기(B8203) / 수정진동자(C6508) / 광섬유심선(C6931) / 발광다이오드(C7120) / 액정표시판 측정방법(C7101) / 김치(H2169) / 배기가스 분석방법(M2304등 다수) / 의료용인공호흡기(P6125) / 산업폐기물의 시료채취방법(M0040) / 물류모듈체계(A1609) / 창고환경기준(A1614) / 무인운반차설계(A1641) / 표준파렛트(A2204) / 통장의 자기띠(X6308) / 카펫의 항균성시험방법(K0823) / 금융업의암호화절차(X6314-2등 다수) / 생화학시약(M8501등다수) / 증권업의증권버호체계(XISO9019등 다수) / 재활용품(M2506등다수) / 놀이시설 검사표준(B6800등다수) / 수질측정(M9104등 다수) / 토양의질 측정(M9702등 다수) / 대기질 측정(M9421등다수) / 의족의 강도시험(P8421-1등다수) / 정보보안(X1209등다수) / 지리정보(X6801-1등 다수) / 인간공학(A5554등 다수)
Ⅱ. 산업발달과 KS ◈ 지구촌이 하나의 표준 시대(2000년대) 냉전 종식 단일 시장화 IT산업의 급속한 발달 One Product, One Test, Accepted Everywhere • 국제표준화기구의 위상 높아지면서 선진국들이 주도 • 표준 후진국들은 상대적으로 소외 기술경쟁 표준 선점 경쟁 후발자들에게는 부담 국가표준정책을 주요정책의 하나로 부각
Ⅱ. 산업발달과 KS ◈ 지구촌이 하나의 표준 시대(2000년대) KS 국제표준화 완료 국제표준과 일치(부합화) 99.9% 적극적인 국제표준화 활동 신성장동력 산업등 우리기술의 국제표준으로 제안 증가 국제회의 의장,간사,컨비너등 진출 확대 각종 국제표준회의 국내 유치 및 참석 증대
Ⅱ. 산업발달과 KS ◈ 2000년대에 제정된 주요 KS 김치냉장고(C9321) / 유흡착제(K1600) / 정보기술(X2216-1등 다수) / 전기자동차주행시험방법통칙(R1133) / 비파괴검사(BISO3058등다수) / 항공우주-합금강볼트(W1507등다수) / 반도체소자(CIEC60747등다수) / 관광서비스(A0911등다수) / ID카드(XISO/IEC10373-3등 다수) / 외과용임플란트(PISO5832-1등다수) / 외과용이식재(PISO5833등다수) / 지능형교통시스템(XISO14815등다수) / 문헌관리(XISO6438등다수) / 미생물학(HISO4831등다수) / 그래픽기술(XISO12636등다수) / 영화기술(BISO10284등다수) /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CIEC61988) / 유기발광다이오드디스플레이(CIEC62341-1) / RFID기술(XISO/IEC15961) / 연료전지기술(CIEC62282-1등다수)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1. 기술표준원(1) 국가표준 기본법 운용 - 국가표준제도 확립을 위한 기본법으로, 각 부처들이 수행하는 표준업무를 효율적으로 조정 - 국가표준 심의회 구성・운영 - 국가표준기본계획 수립・시행 ・ 5년 주기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심의회 심의를 거처 확정 ・ 중앙행정기관의장은 연도별로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추진 국가품질경영대회 운영 - 품질경영 우수 기업 및 개인 등을 선정 포상 - 전국분임조 경진대회 등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1. 기술표준원(2) ▪ 표준,품질,안전,계량 업무를 수행 - 국가의 정책 개발 및 추진 - 각종 민간 실무 추진 기구들의 조정・감독 역할 ▪ 한국산업표준 제정 및 관리(5년다마 적부확인) - 산업표준 심의회 구성・운영 - 보급, 이행, 확산 정책등 수행 ▪ 국제표준화기구(ISO,IEC등)우리나라 대표기구(NSB) - 대표부에 관계관을 파견하고 각종 국제회의 참가・유치 - 국제표준 초안에 대한 투표 및 TBT대응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1. 기술표준원(3) ▪ 각종 산업활동을 위한 지원 - 신제품 인증(NEP ; New Excellent Product)→신기술 적용 - 신뢰성 인증(Reliability)인증→부품 및 소재류 - 우수재활용제품 인증(GR ; Good Recycled) - 물류표준설비 인증→운송,보관,하역,포장의 기계장치 등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1. 기술표준원(4) ▪ 품질경영 보급・확산 - 매년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을 선정하여 발표하고 지원 - 국제인증(ISO9001등)제도 운영(KAB 지정 및 관리) ▪ 안전관리 제도 운영 -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의한 안전관리(가정용 전기제품) - 공산품안전관리법에 의한 안전관리(생활용품18종) 등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1 기술표준원(5) ▪ 계량제도 운영(계량에 관한 법률) - 계량기 형식승인(18종) - 계량기 검정(출하 전 검사) - 계량기 정기검사(2년마다) ▪ 시험소 인정제도(KOLAS) - 시험・교정・검사기관에 대한 국제 기준에 의거 심사(공인)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2. 한국표준협회(1) ▪ 각종 표준 보급 - 국제표준, 국가표준, 단체표준 등 지구촌의 모든 표준에 대하여 상대표준 보급기관과 MOU를 체결하고 국내・외에 보급 ※ www.kssn.net (주요표준은 web으로 실시간 보급) ▪ 표준 연구・개발 - 차세대 신성장 동력산업 등 표준 수요를 파악하여 신규 개발 ▪ 표준 지원 - 민간표준 활동(표준화포럼,기업연구소,단체표준,교육 등) - 국제표준화 활동(회의참가,회의유치,각종 최신 정보제공 등)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2. 한국표준협회(2) ▪ 표준화 및 품질경영 보급 - 품질경영 및 표준화 보급 확산을 위한 교육 - 국가표준 제・개정 등 적용을 위한 설명회 등 - 품질경영 중앙 추진 사무국 역할 수행 ▪ 각종 인증 - KS마크 인증 - ISO인증 - JIS마크 인증 등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3. 정부 각 부처의 표준화 ▪ KS는 일반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분야에 대한 표준 - 국민 생활의 질서와 조화를 유지하여 편익과 경제성 추구 ▪ 특정・특수 분야에 사용되는 표준(정부규격) 방위산업청/8419, 식품의약품안전청/6165, 지식경제부/1632, 농림수산식품부/725 방송통신위/594, 경찰청/518 환경부/272, 농촌진흥청/225 국토해양부/175 소방방재청/101, 노동부/77 교육과학기술부/42 조달청/39, 산림청/15 행정안전부/12 보건복지가족부/9 문화체육관광부/4 중소기업청/3 기상청/2, 해양경찰청/1 ※ 20개 부처 19,030종(기술표준 통계)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4. 전문 분야별 표준화 추진기관(1) ▪ 민간 시험・연구원 - 표준의 연구・개발에 분야별로 참여 - 각종 인증심사에 참여하고 제품시험을 실시 - 화학시험연구원, 기기유화시험연구원, 전기전자시험연구원, 건자재시험연구원, 생활환경시험연구원, 의류시험연구원, 원사직물시험연구원 등 ▪ 연구기관 - 첨단산업에 대한 표준 제정 및 국제표준으로 제안 - 국가의 지원을 받아 신제품 및 신기술을 개발하고, 특허→표준화 추진 - 전자부품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산업기술시험원, 각 대학교 등
Ⅲ. 표준화의 추진 체계 4. 전문 분야별 표준화 추진기관(2) ▪ 각 전문분야별 단체 - 국가표준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당해 단체의 이해관계인들이 표준을 제정 - 산업표준화법에 의하여 단체표준으로 등록하고 인증사업 수행 - 전기공업협동조합 등 생산자단체와 비영리법인 등 70 여 개 단체
Ⅳ. 표준화의 추진 사례 1. Size Korea 사업(1) ▪ 한국인의 인체치수 조사 보급 - 인체치수와 체형을 주기적으로 측정 표준정보로 데이터화 - 산업계의 제품개발과 생활공간 디자인 등에 활용 ▪ 인체표준 정보실 보유 현황 - 디지털 측정 데이터 36,000종 - 직접측정 데이터 170만종 - 동적 측정데이터 95,000종 등 280만종의 인체치수와 36,000종의 3차원 디지털 이미지 정보 보유
Ⅳ. 표준화의 추진 사례 1. Size Korea 사업(2) ▪ 인체표준 정보실 운영(기술표준원) - 인체치수 원 자료 검색 - 3차원 인체형상 DB 제공 - 인체표준 정보 통계처리 서비스 - 활용기술 이용 방법 - 본인 인체치수 직접 측정 체험 등 ※ http;//sizekorea.kats.go.kr
Ⅳ. 표준화의 추진 사례 2. 공공안내 그림표지(pictogram)(1) ▪ 언어,민족,문화,종교 및 습관차이 관계없이 그 의미를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합의에 의하여 결정한 그림기호 - 일상 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호, 도안, 안전관련 경고 - 언어가 통하지 않은 외국에서도 그림기호로 식별 가능 ▪ 그림표지의 분류 - 시설관련 : 공공, 교통, 상업, 관광문화, 스포츠 등 - 안전관련 : 안전유도, 화재, 금지, 경고, 지시 등
Ⅳ. 표준화의 추진 사례 2 공공안내 그림표지(pictogram)(2) ▪ ISO9186을 존중하여 각 나라마다 국가표준의 채택 보급 - KS A 0901(공공안내 그림표지)에 300종의 그림기호를 보급 화장실 지하철 출입금지 맹견주의 ▪ 표준화된 그림표지를 사용함으로써 국민의 편익과 안전성 증대 기대 - KS를 따르지 않은 공공시설 등이 많아 불편함
Ⅳ. 표준화의 추진 사례 3. 한국표준 색채집 제작 보급(1) ▪ 우리 색 감성에 맞는 표준색 이름 체계 완성(2005년) - 색표, 색이름, 색표시방법 등 색표시체계를 통일 - 의류, 도료, 디자인 등 색채관련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 - 기본색 이름에 분홍, 갈색을 추가 - 살색, 꼭두서니색, 연단색 등을 제외 - 병아리색,수박색,쥐색,키위색등 추가 ▪ 정밀한 색채의 재현, 전달, 표현을 위한 표준색채집 보급 확대 - 전국 국공립 관련기관에 배포 색채지정 및 관리 시 활용 - 3,200부를 제작하여 의류, 도료, 디자인 등 색채관련업체에 배부 - 전 산업분야로 확대를 위하여 제작기술을 민간에 이양 계속 보급
Ⅳ. 표준화의 추진 사례 3. 한국표준 색채집 제작 보급(2) ▪ 색표집 및 색견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