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likes | 717 Views
3 . 서정 문학의 수용과 생산 [1] 운율과 형식. 02 장수산 1. 정지용의 생애와 작품 세계. 1. 정지용의 생애. 1902 년 6 월 20 일 충청북도 옥천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3 년 송시열의 후손인 송명헌의 딸 송재숙과 결혼 . 1914 년 옥천공립보통학교 졸업 . 그 후 휘문고보 진학 전까지 서울 처가 친척집에서 한문을 공부한 것으로 알려진다. ▲정지용 생가. 정지용의 생애.
E N D
3. 서정 문학의 수용과 생산[1] 운율과 형식 02 장수산1
정지용의 생애와 작품 세계
1. 정지용의 생애 • 1902년 6월 20일 충청북도 옥천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 1913년송시열의 후손인 송명헌의 딸 송재숙과 결혼. • 1914년 옥천공립보통학교 졸업.그 후 휘문고보 진학 전까지 서울 처가 친척집에서 한문을 공부한 것으로 알려진다. ▲정지용 생가
정지용의 생애 • 1918년 휘문고보에 입학. 이 무렵부터 문학적 소질을 발휘하며 "요람" 동인을 결성하기도 했다. • 1919년 휘문고보 학내 문제로 야기된 휘문 사태에 관여해 정학을 당했다가 복학. "서광" 창간호에 그의 유일한 소설 '삼인'을 발표한다. • 1922년문우회 학예부장을 맡아 "휘문" 창간호의 편집위원이 되었다.
정지용의 생애 • 1923년 일본 도시샤 대학 예과에 입학. 이 무렵 대표작 '향수'를 발표했다. • 1926년 도시샤 대학 영문학과에 진학. "학조"에 시 '카페·프란스'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시작 활동을 펼쳤다. ▲도시샤 대학에 있는 정지용 시비
정지용의 생애 • 1933년 "가톨릭 청년" 편집고문으로 있으면서 이상의 시를 시단에 소개하고, 구인회 창립 회원으로서 기관지 "시와 소설" 간행에 참여했다. • 1933년 시문학사에서 첫 시집 "정지용 시집" 간행. "가톨릭 청년" 1933년 10월호▶ 제1권 제5호
정지용의 생애 • 1939~1940년 "문장"의 시 부문 추천위원으로 활동하며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의 청록파 시인과 김종한, 이한직, 박남수 등을 등단시켰다. • 1941년 문장사에서두 번째 시집 "백록담" 간행. • 1945년광복이 되자 이화여전으로 옮겨 한국시, 영시, 라틴어를 강의했다. ▲"백록담" 초판본
정지용의 생애 • 1946년 조선문학가동맹의 중앙집행위원에 추대되었으나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이 무렵 을유문화사에서 시집 "지용 시선"을 간행하고, 경향신문사 주간으로 취임했다. ▲교사 시절의 정지용 • 1947년 경향신문사 주간을 사임하고 이화여대 교수로 복직.
정지용의 생애 • 1948년 이화여대를 그만둔 뒤 녹번리의 초당으로 이사해 소일하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보도연맹에 가입해 전향 강연에 종사했다. • 1950년6·25 전쟁이 일어나자 정치 보위부에 구금되었다가 평양 감옥으로 이감된 후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다. 정지용 문학관▶
2. 정지용의 작품 세계 • 예리하고도 섬세한 언어적 감각 • 정지용은 현대시사(史)에서 언어에 대한 자각을 각별하게 드러낸 시인이다. 그는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선명한 심상과 절제된 언어로 포착했다. 감각적 심상으로 정신적 고요의 공간을 시적 표현과 구성의 긴밀성을 통해 보여 준 '장수산', 그리고 영혼을 비추는 물의 명징성으로 시적 인식의 객관화에 도달한 '백록담'은 매우 뛰어난 수준의 것이었다.
정지용의 작품 세계 • 정지용의 언어적 인식은 자신의 시를 단순히 복고적인 취향에서 벗어나게 했다는 점에서 현대적 의의를 지닌다. 그는 서구를 따라 하는 이미지즘이나 모더니즘을 넘어서서 우리의 오랜 시적 전통에 근거한 산수시의 세계를 독자적인 현대어로 개진함으로써 한국 현대시의 성숙에 결정적인 기틀을 마련했던 것이다. 그의 시는 생활 속의 일상어를 시의 언어로 채용하여 사물의 상태와 움직임을 예리하게 포착하고 있다.
정지용의 작품 세계 • 감정의 절제와 정서의 균형 • 정지용의 시에 나타나는 또 하나의 특징은 감정의 절제와 정서의 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개인적이고 감정적인 것을 철저히 배제함으로써 사물과 현상을 순수한 관념으로 포착, 이를 시로 형상화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시적 표현은 사물의 언어에 대한 그의 독특한 감각을 바탕으로 기존의 언어 감각을 해체하고 새롭게 재구성하려는 의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지용의 작품 세계 • 정지용은 대상에 대한 언어적 소묘를 통해 하나의 독특한 시적 공간을 형상화한다. 이 시적 공간은 일제 말기 '산수시'라는 새로운 형식을 창조하게 된다. 그는 자연과 거리를 두어 오히려 '존재하는' 자연을 새롭게 형상화하고 있다. 이때의 자연은 인간이 존재하거나 동화하는 세계가 아닌 인간이 범접하지 못하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자연'으로 이미지화한 것이다. 따라서 정지용이 시를 통해 발견한 자연은 '존재 자체'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정지용의 작품 세계 • 정지용 시 세계의 변모 과정 • 습작~1925년 향토적 시: '고향', '향수' 등 • 1926~1932년 모더니즘 시: '아침', '유리창' 등 • 1933~1935년 가톨릭을 바탕으로 한 종교시: '불사조', '은혜', '별' 등 • 1936~1941년 동양적 관조 시 : '옥류동', '구성동', '장수산', '백록담' 등
3. 서정 문학의 수용과 생산 [1] 운율과 형식02 장수산1 작품 정리
학습 목표 • ‘장수산 1’은 산중의 고요를 다양한 심상과 예스러운 어투를 통해 정밀하게 형상화한 작품이다. 산문적인 진술 속에 녹아 있는 운율을 느끼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연구 • 갈래: 자유시, 서정시, 산문시 • 성격 : 관조적, 의지적, 서술적 • 제재: 장수산의 겨울 정경 • 주제: 세속과 절연된 순수한 삶에 대한 동경 • 특징 • 독백적인 어투를 사용함. • 시행의 종결을 의도적으로 거부함.
작품 연구 • 구성 문장 ①, ② 울창한 산의 정경 기 문장 ③ 산중의 고요함과 화자의 적막감 서 문장 ④, ⑤ 때마침 떠오른 보름달과 웃절 중의 탈속적 모습 결 문장 ⑥, ⑦ 때마침 떠오른 보름달과 웃절 중의 탈속적 모습 결
핵심 강의 • 표현상의 특징 • 순간의 상황을 포착하여 시로 표현함. • 선경 후정의 기법으로 시상을 전개함. • 의문과 영탄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전달함. • 의고형 어미를 사용하여 신비스럽고 동양적인 분위기를 조성함.
핵심 강의 • 작품의 의미 구조 장수산 고요와 탈속의 공간 웃절 중 세속적 욕망과 집착의 초월 시적 화자 탈속의 공감에서 시름과 슬픔을 극복하고자 함.
핵심 강의 • ‘고요’의기능 • 장수산이라는 시적 대상을 하나의 정밀의 세계로 형상화 • 시적 대상과 대응하는 시적 화자의 내면 의식을 함께 제시 장수산의고요 인간과 자연이 일체화되는 과정 시적 화자의 깊은 시름 견인의 정신으로 극복
핵심 강의 • ’장수산’의 상징적 의미 장수산 • 하얀 눈과 달빛만 있는 절대 고요의 공간 • 이곳에서 화자는 세상과 단절된 느낌을 받으면서 무욕의 삶과 탈속의 경지를 추구함. 내화(內話)
3-[1] 운율과 형식 • ‘장수산 1’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1) 이 시의 화자가 공간적 배경인 ‘장수산’으로 오게 된 동기를 짐작하게 해 주는 시어를 찾아보자. 예시 답| ‘시름’ – 화자는 장수산에서 시름을 잊어버리고 마음의 평화를 얻고 싶어 한다.
(2) 이 시에서 ‘장수산’은 어떤 공간으로 묘사되고 있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절대 고요의 공간, 세속적 가치와 단절된 무욕의 공간, 탈속의 공간 • (3) 이 시의 화자가 ‘장수산’과 ‘웃절 중’을 통해 배운 정신적 태도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무념무상(無念無想)의 탈속적 경지
정지용의 산문시를 설명한 다음 글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 유사한 통사 구조를 반복 ㉡ 띄어쓰기의 여백을 일반적인 경우보다 두 배 이상 크게 한 곳 ㉢ 동일 시어의 반복 • (1) ㉠~㉢에 해당하는 표현을 ‘장수산 1’에서 찾아보자.
예시 답| ㉠ 의고형 어미(–이랬거니, –고녀, –이란다?, –는다?, –노니 등)의 반복 ㉡‘벌목정정(伐木丁丁)이랬거니 아람도리’,‘하이 골이’, ‘소리 쩌르렁 돌아옴’,‘하이 다람쥐도’,‘않어 깊은’,‘저리우는데 눈과’,‘희고녀! 달도’, ‘뒤 조찰히’, ‘줏는다? 시름은’,‘흔들리우노니 오오’,‘견듸랸다 차고’,‘올연(兀然)히 슬픔도’,‘없이 장수산(長壽山)’ ㉢ ‘즉도 하이’, ‘–랸다’등과 같은 시어의 반복
(2) ‘장수산 1’이 산문 형식을 취하고 있음에도 시인 이유를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청각, 시각, 후각 등 감각적 이미지의 활용,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 동일 시어의 반복, 의도적인 띄어쓰기의 여백 강화, 시행 종결의 의도적 거부 등 다양한 기법으로 운율의 효과를 살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에서 형상화한 장수산의 이미지를 잘 살려, 이를 널리 알리는 글을 써 보자. 그리고 이를 자신의 누리집에 올려 친구들에게 소개해 보자. 예시 답| 정적과 순결의 공간 장수산 장수산은 황해도 재령군에 있는 매우 높고 웅장한 산이다. 겨울밤장수산은 다람쥐도 돌아다니지 않고 산새도 울지 않는 절대 고요의 공간으로, 시인 정지용은 자신의 시 ‘장수산 1’에서 이 산의
고요가 뼈에 저리울 정도라고 말한다. 아무것도 움직이지 아니하고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 그 공간은 인간사 · 세속사의 모든 것을 떨쳐버린 신비로운 초절의 공간이다. 겨울밤의장수산에는 이처럼 아무런 소리도 없고 아무런 움직임도 없지만 순백의 공간을 함께 이루는 정신의 어떤 높이가 있고 텅 빈 듯한 산의 여백에 동참하는 마음의 너그러움이 있다. 세속의 명리나 현실적인 욕망으로 인해 마음이 어지러운 사람들이 있다면, 장수산의 겨울 산행을
권하고 싶다. 눈이 내린 겨울 달밤, 정적과 순결의 공간 장수산 속에서 자연과 하나 되어 있다 보면시름, 슬픔과 같은 개인적인 감정은 잊혀지고 자족적이며 여유 있는 삶, 무욕의 삶의 자세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ㆍ배경 음악: 동양적이며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양방언의뉴에이지 음악 ‘forbidden feathers’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