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0 likes | 902 Views
서버운영체제. 7 장 . 원격접속서버. 2013 년도 2 학기 6 주차. 서버 / 클라이언트 [P297]. 서버 / 클라이언트 기초 개념 서버 (Server) –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클라이언트 (Client) – 서비스를 요청하는 프로그램 서버 OS 가 Windows 라고 클라이언트 OS 도 반드시 Windows 일 필요는 없다 . 즉 , 서버의 OS 와 클라이언트의 OS 가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 각각의 서버 프로그램은 자신에 맞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E N D
서버운영체제 7장. 원격접속서버 2013년도 2학기 6주차
서버/클라이언트 [P297] • 서버/클라이언트 기초 개념 • 서버(Server) –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 클라이언트(Client) – 서비스를 요청하는 프로그램 • 서버 OS가 Windows라고 클라이언트 OS도 반드시 Windows일 필요는 없다. 즉, 서버의 OS와 클라이언트의 OS가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 각각의 서버 프로그램은 자신에 맞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웹 서버(IIS) ↔ 웹 클라이언트(Internet Explorer, Firefox 등) • 텔넷 서버 ↔ 텔넷 클라이언트(telnet 명령어 , Putty 등) • FTP서버(IIS) ↔ FTP 클라이언트(알FTP, wsFTP, ftp 명령어등) • VNC 서버 ↔ VNC 클라이언트 (vncviewer, TightVNC 등)
Window Server에서 전형적인 서버 구축 방법 • 서버 설치 • 관리 도구 – 서버 관리자 – 기능 – 기능 추가 또는 • 관리 도구 – 서버 관리자 – 역할 – 역할 추가 또는 • 서버 가동 및 부팅 시 자동 시작 • 관리 도구 – 서비스 • 원격 접속 허용 • 제어판 – Windows 방화벽 – Windows 방화벽을 통해 프로그램 허용
원격접속서버 • 원격접속서버 • 멀리 떨어진 장소의 컴퓨터에서 서버컴퓨터에 접속하여 서버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서버 프로그램 • 텍스트 원격접속서버 • 텔넷 서버 • SSH 서버 • 그래픽 원격접속서버 • VNC 서버 • 터미널 서버
텔넷 서버 [P298] • 텔넷 서버 개요 • 오랫동안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원격 접속 방법 • 전송되는 내용이 암호화되지 않으므로 보안에 취약 • 대부분의 OS는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내장 • 텔넷 서버 포트번호는 23번
<실습1> 텔넷 서버 구축 [P298] • Brain Server 초기화 • 6장에서 Brain Server를 망가뜨렸던 사용자라면 • 하드 디스크를 모두 제거 • 새 하드 디스크를 부착할 때 “Select a Disk”화면에서 “Use an existing virtual Disk” 선택 • “Select an Existing Disk” 화면에서 <Browse…>를 눌러 “Brain Server.vmdk” 파일을 선택 • 6장에서 Brain Server를 망가뜨리지 않았던 사용자라면 • 100GB 하드 디스크를 제외한 나머지 하드 디스크를 모두 제거하고 부팅 • 이도 저도 안되는 사용자라면 • 예전에 받았던 Brain Server.zip 파일의 압축을 다시 푼다.
<실습1> 텔넷 서버 구축 [P298] • 텔넷 서버 기능 설치 • [관리도구] – [서버관리자] – [기능] – [기능추가] • [기능선택] 화면에서 ‘Telnet 서버’ 체크 • [설치선택확인] 화면에서 <설치> 클릭
<실습1> 텔넷 서버 구축 [P298] • [관리도구] – [서비스] 에서 ‘Telnet’ 더블 클릭. 속성 창에서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시작>과 <적용> 버튼을 차례대로 클릭
<실습1> 텔넷 서버 구축 [P298] • [제어판] – [Windows 방화벽] 에서 ‘Windows 방화벽을 통해 프로그램 허용’ 클릭한 후 ‘Telnet’이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
<실습1> 텔넷 서버 구축 [P298] • [실행]에서 “cmd”를 입력해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ipconfig 명령으로 ip 주소가 192.168.111.10 인지 확인
<실습1> 텔넷 서버 구축 [P298] • 호스트 OS에서 Brain Server에 텔넷 접속하기 •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추가하기 위해 [제어판]-[프로그램및기능]에서 ‘Windows 기능 사용/사용안함’클릭한후 ‘텔넷 클라이언트’체크
<실습1> 텔넷 서버 구축 [P298] • [실행]에서 “cmd”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 열기 • 명령 프롬프트에서 “telnet <서버IP>”로 접속 • 암호관련 경고가 나오면 ‘y’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름 만약 호스트 OS에서 안되면 WinClient로 작업한다. [관리도구]-[서버관리자]에서 Telnet 클라이언트 설치
<실습1> 텔넷 서버 구축 [P298] • Login 창이 나오면 아이디에는 “administrator” 암호는 “p@ssw0rd” 입력 (암호를 입력하는 것이 안보여도 입력)
<실습1> 텔넷 서버 구축 [P298] •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모든 명령을 사용할 수 있음. 몇 개를 테스트해보자 Capture
SSH 서버 [P303] • SSH 서버 개요 • Telnet과 용도는 동일하지만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Telnet보다 보안을 강화함 • SSH 서버 포트번호는 22번 • Windows Server 2008은 SSH 서버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
SSH 암호화 원리 (1) • 비밀 키 암호화 방식 • 공개 키(public key) 암호화 방식 사용 장점: 속도 빠름 단점: 키 배포 및 키 관리에 문제가 있음 비밀 키로 암호화된 글을 비밀 키로만 해독할 수 있음 공개 키로 암호화된 글을 개인 키로만 해독할 수 있음 공개 키와 개인키가 다름 장점: 키 배포 및 관리가 쉬움 단점: 공개 키는 비밀키에 비해 길어 속도 느림
SSH 암호화 원리 (2) • 공개 키 암호화 방식으로 비밀 키를 교환한 후, 비밀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하여 전송 • 비밀 키도 일정 주기로 계속 바꿈 세션 키라 함 앨리스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받으면 앨리스도 밥의 비밀키를 알게 된다. . 이제 밥은 앨리스의 비밀키를 알게 된다.
SSH 프로토콜 • 프로토콜 1 SSH1 • 암호화 방식 – RSA 알고리즘 • 데이터 무결성 지원 - CRC • 프로토콜 2 SSH2 • 암호화 방식 – asymmetric DSA와 DH 알고리즘 • 데이터 무결성 지원 – HMAC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CRC • SFTP (Secure FTP) • 파일교환 프로토콜인 FTP도 Telnet과 같이 암호화가 없음 • SFTP는 FTP에 SSH의 원리를 결합시킨 것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WinSSHD 서버(개인에게 무료) 설치 • http://brain.hanb.co.kr/win2008/자료실에서 다운로드 • 내려받은 파일을 실행해 라이선스에 동의하고 <Install> 클릭해 설치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에디션은 ‘Personal edition’을 선택 • 이름은 아무거나 입력해 설치 • 설치 후 실행되어 설정 창이 나오면 [1. Server Settings] 탭에서 포트가 22인지 확인하고 <Next> 클릭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설치 후 실행되어 설정 창이 나오면 [1. Server Settings] 탭에서 포트가 22인지 확인하고 <Next> 클릭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2. Windows accounts] 탭에서 <Add> 클릭한 후, 새 창의 ‘Windows account name’ 에 administrator를 입력하고 <OK> 클릭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3. Virtual accounts] 탭에서 <OK> 클릭 • [Server management]에서 ‘Start WinSSHD’를 클릭해 서비스 가동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WinSSH 서버 설정 추가 • [관리도구]-[서비스]에서 WinSSHD가 시작되었는지 확인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제어판]-[Windows 방화벽]에서 SSH 서비스 포트 허용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호스트 OS에서 SSH 클라이언트 설치 • 설치 전 텔넷을 실행 해 SSH 서버로 접속로 접속되나 확인 • 위처럼 나오면 접속이 된 것이므로 창을 닫음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http://brain.hanb.co.kr/win2008에서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다운받아 설치 • 실행 해 라이선스에 동의하고 설치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자동으로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 서버의 IP, Username, Initial Method, password를 아래처럼 입력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자동으로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 서버의 IP, Username, Initial Method, password를 아래처럼 입력 • [Hot Key Verification] 창이 나오면 <Accept and Save> 클릭
<실습2> SSH 서버 구축 [P303] • 서버에 접속한 창이 나오면 텔넷 서버에 했던 것과 똑같이 해본다. • SSH 외에 SFTP 도 지원 • Exit 명령으로 창 종료 Capture
VNC 서버 [P310] • VNC 서버 개요 • 원격지에서 Windows 환경자체를 사용할수 있도록 제공 • Windows Server 2008에서는 VNC 서버를 제공안함 • 오픈 소스로 제공되므로 자유롭게 사용 • 텍스트만 전송하는 Telnet에 비해서 속도가 많이 느림
<실습3> VNC 서버 구축 [P311] • 여러 VNC 서버 중 TightVNC 사용 • http://brain.hanb.co.kr/win2008에서 tightvnc-2.0.2-setup.exe 다운로드 • 설치를 기본값으로 진행하되 [Service Configuration]에서 암호 4개를 모두 ‘12345’로 입력 외부 접속용 암호 관리용 암호
<실습3> VNC 서버 구축 [P311] • [제어판] - [Windows 방화벽]에서 ‘Windows 방화벽을 통해 프로그램 허용’에서 TightVNC Server가 예외 허용이 되어 있나 확인 • [관리도구]-[서비스]에서 TightVNC Server가 작동 중인지 확인
<실습3> VNC 서버 구축 [P311] • 호스트 OS 또는 WinClient에서 VNC 클라이언트로 서버에 접속 • http://brain.hanb.co.kr에서 TightVNC 다운로드 • 설치 시 [Choose Componets]에서 ‘Viewer Only’를 선택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만 설치
<실습3> VNC 서버 구축 [P311] • [시작]>[모든 프로그램]>[TightVNC]>[TightVNC Viewer] 실행하여 Brain Server IP 주소 입력하고, 암호를 입력해 접속 • 접속되면 Brain Server에서와 동일한 화면으로 작업할 수 있음
<실습3> VNC 서버 구축 [P311] • 접속되면 Brain Server에서와 동일한 화면으로 작업할 수 있음 Capture
터미널서버 [P314] • 터미널 서버 개요 • VNC 서버는 화면을 캡쳐해 보내기 때문에 느림 • VNC 서버와 용도는 동일하지만, Windows Server 2008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고, 화면이 아니라 신호를 보내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Windows의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성능이뛰어남 • 무료가 아니며, 라이선스 비용을 별도로 지불해야 함
터미널 서비스 역할 서비스 선택 [p.317] • 터미널 서버 • TS 라이선스 • 터미널 서비스용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 • TS 세션 브로커 • 사용자가 부하가 분산된 터미널 서버 팜의 기존 세션에 다시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줌 • TS 게이트웨이 • 권한이 부여된 원격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내부 회사 네트워크 리소스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줌 • TS 웹 액세스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터미널 서비스 연결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줌
터미널 서비스 라이선스 모드 [p.318] • CAL (Client Access License) Mode • 장치 단위 • 클라이언트 PC 한 대에 접속권한을 줘서 그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터미널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것 • 사용자 단위 • 한 명의 사용자(사람)에게 접속 권한을 줘서 그 사용자가 이용하는 PC를 옮기더라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CAL CAL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Brain Server에 터미널 서버용 사용자 생성 • [컴퓨터관리]-[로컬사용자및그룹]-[사용자]에서 ‘tUser1’, ‘tUser2’ 사용자 생성 • ‘다음 로그온할 때 암호변경’은 체크 해제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Brain Server에 터미널 서비스 설치 • [관리도구]-[서버관리자]-[역할]-[역할추가]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서버역할선택]에서 ‘터미널서비스’체크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터미널서비스]에서는 <다음> 클릭 • [역할 서비스 선택]에서는 ‘터미널 서버’와 ‘TS 라이선스’ 두 가지만 체크 • [호환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제거 및 재설치]에서는 <다음> 클릭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터미널 서버에 대한 인증방법 지정]에서는 ‘네트워크 수준 인증없음’ 선택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라이선스 모드 지정]에서는 ‘나중에 구성’ 선택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이 터미널 서버에 대해 액세스가 허용된 사용자 그룹 선택]에서는 아까 만들어 둔 tUser1, tUser2 추가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TS 라이선스 검색범위 지정]에서는 ‘이 작업그룹’만 선택할 수 있음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설치선택확인]에서는 내용 확인하고 <설치> 클릭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설치 중 재부팅을 요구하면 재부팅 • 다시 부팅되어 Administrator로 로그인하면 설치가 마무리 됨
<실습4> 터미널서버 구축 [P315] • [제어판]-[Windows 방화벽]-[Windows 방화벽을 통해 프로그램 허용]에서 터미널 서비스가 허용되어 있는 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