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수 학 문 화 연 구 소

수학과 언어학 - 한일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 Mathematics and Linguistics :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Korean-Japanese Numerals. 수 학 문 화 연 구 소. 수학과 언어학은 같은 발전과정을 밟았다. Realism 에서 구조주의로 , 미적분에서 Burbaki 까지의 수학과 언어학의 역사. 수 학 문 화 연 구 소. W. Jones : 1786 년

yetta
Download Presentation

수 학 문 화 연 구 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수학과 언어학 - 한일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 Mathematics and Linguistics :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Korean-Japanese Numerals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 수학과 언어학은 같은 발전과정을 밟았다 Realism 에서 구조주의로, 미적분에서 Burbaki까지의 수학과 언어학의 역사 수 학 문 화 연 구 소

  3. W. Jones : 1786년 • 그리스어, 라틴어, 산스크리트어의 • some common source 발표 • R.C.Rask : 1818년 • 아이슬랜드어, 그리스어, 라틴어의 • 同계통설 • J. Grimm : 그림의 법칙(음운대응의 법칙) • 코드어(고대 게르만어), 그리스어, • 라틴어의 관계, • 언어학은 역사적 관찰의 대상 수 학 문 화 연 구 소

  4. <구조언어학> • 언어학에 있어서 역사적 연구는 의미가 없다 • Ferdinand de Saussure(脫歷史, 共時的), • N. Chomsky(보편문법) • M. Swadish(言語年代學) • i) 安本美典 : 한일어는 5000, 6000년경에 갈라졌다 • ii) 金 容 雲 : 한일어는 1500년전에 갈라졌다고 주장 • <20세기 수학의 대업적:1970년 IBM 발표> •     Gödel: 불완전성정리 • Levy-Strauss : 문화인류학 • Chomsky : 언어학 수 학 문 화 연 구 소

  5. <한일어 관계의 특수성> • 음운: 삼국시대까지 한일어의 발음 수는 • 거의 같다. • 현재 한국어발음의 종류수가 30대1로 •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 문자: 고대 한일문자는 공통적으로 이두, • 향찰(萬葉문자)에서 출발했다. • 문법: 같음 수 학 문 화 연 구 소

  6. <라틴어 수사와 게르만어의 수사> • 발음 양에 큰 변화가 없었음 • <한일어의 수사와 인도.유럽어의 수사> • W.G.Aston(1841~1911)의 한일어에 대한 견해 • : 같은 계통의 언어이면서 공통 수사가 • 없는 이상한 관계 • <필자의 주장> • 한일어 사이는‘게와 새우’의 현상이며 • 하나의 조어(祖語)를 가졌다 수 학 문 화 연 구 소

  7. < 결 론 > 한일어의 수사는 한국어가 크게 변했고, 고대 낱말들은 오히려 일본어에 많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한일어의 조어(祖語)는 같다. 수 학 문 화 연 구 소

  8. <고대 한국 수사와 일본어 > 수 학 문 화 연 구 소

  9. 『三國史記』「地理志」 三峴縣 一云 密波兮 七重縣 一云 難隱 十谷縣 一云 德頓縣 五谷郡 一云 (弓次)干次忽(新村 出)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0. 『鷄林類事』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1.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2.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3. (발음변화) <언어역학의 가능성 > 「삼국시대의 한국어의 발음 」- 洪起文 한글 모음 10, 합성모음11, 자음19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4. <현 50음 >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5.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6.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7. <게와 새우 > (和歌山縣 串本市)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8. 수 학 문 화 연 구 소

  19.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0.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1.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2.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3. <1, 2, 4, 6, 7, 8, 9 > hitotsu(ひとつ) - hanatsu(はなつ) - hatsu(はつ) - hajime(はじ(初)め)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4. 7의 일본어 なな(nana) 고구려어 難隱(naneun), 만주어 nadan nana, naneun, nadan의 na가 [ na → nil → il ]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5.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6. <10, 100, 1000, 10000 > 八十 ― やそ(yaso) ( みそ(miso) : 손이 3개 = 30 )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7.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8. < 순서수 > 수 학 문 화 연 구 소

  29. 한자어 발음 연구 Bemhard Karlgren : 중국 음운 연구

  30. 연 구 과 제 원 한국어 - やまと ことば 일본의 あて字

  31. 일본어 증식 과정 『삼국유사』: 朴赫居世 (弗矩內)

  32. 일본어 あか와 관련된 한자 明, 驗, 燈, 丹 朱, 紅, 緋, 赫 赤, 開, 空, 現 表, 諦, 飽, 呆

  33. 한*일본의 갈림길 漢字의 入聲

  34. 한*일본의 갈림길

  35. The End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