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16 차시 : 썩었다니요 ? 천만에요 .

기관검수 1. 기관검수 2.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 개선. 16 차시 : 썩었다니요 ? 천만에요. 기획자. 심 경 희. 내부검토자. 박 영 신. 문서이력. 2008. 11. 12.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 천만에요. 001. 화면구성. 화면내용. 목차. 미리보기 : 상한 음식을 조심하세요 ! 학습목표 1) 미생물이란 ?. 2) 미생물의 종류를 이해한다 . 3) 미생물의 발견을 알아본다 . 4) 백신의 개발과 예방접종을 이해한다 학습내용 1. 미생물의 종류

yin
Download Presentation

16 차시 : 썩었다니요 ? 천만에요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기관검수1 기관검수2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 개선 16차시 :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기획자 심 경 희 내부검토자 박 영 신 문서이력 2008. 11. 12.

  2.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001 화면구성 화면내용 목차 미리보기 : 상한 음식을 조심하세요! 학습목표 1)미생물이란?. 2)미생물의 종류를 이해한다. 3)미생물의 발견을 알아본다. 4) 백신의 개발과 예방접종을 이해한다 학습내용 1. 미생물의 종류 2. 미생물의 발견 3. 미생물의 성격 4. 미생물의 쓰임 5. 백신과 예방접종 보충학습 세균과 바이러스

  3.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002 화면구성 화면내용 미리보기 힘버거 김치찌개 피자 아이 우동 김밥 남자아이: 아… 배고파..맞다. 저번에 먹다 남은 케잌이 있지? 냉장고문을연다. 케잌이 있다. 남자아이: 와..맛있겠다.. 어서 먹어야지 남자아이:앗. 그런데 뭐야? 곰팡이가 폈잖아? 엊그제까지 멀쩡했는데..대체 이 곰팡이는 어디서 온거지??

  4.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003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목표 • 학습목표 • 1)미생물이란?. • 2)미생물의 종류를 알아본다. • 3)미생물의 발견 과정을 이해한다. • 보충학습 • 1) 예방백신과 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본다 내레이션: 이번에 우리가 함께 공부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5. 004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1_미생물이란? 아이가 여기저기를 둘러본다. 눈에는 아무것도 안보인다. 여기저기서 미생물이라는 글씨가 나타났다 사라진다. 어깨를 으쓱하는 아이 미생물 미생물 미생물 여기 저기를 둘러보는 아이 미생물 미생물 내레이션: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곰팡이는 미생물이라고 해요. 곰팡이는 씨를 가지고 있어요. 그런데 그 씨는 아주 작아서 우리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이렇게 작은 씨앗을 가지고 있는 것을 우리는 미생물 이라고 하지요.

  6. 004_02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1_미생물이란? 실험실 느낌 또는 방안 아이들이 고개를 두리번 두리번 미생물은 보이지 않고 오른쪽 상단에 돋보기 가져다 대면 미생물 보이고 미생물들은 떠돌다가 식빵으로 내려앉는다. 식빵이 곰팡이가 생기고 거기서 화살표 현미경렌즈로 보이는 곰팡이 사진 눈과 바람 공기 중에 현미경 또는 돋보기 렌즈 표시 미생물이 테이블 위의 식빵으로내려앉는다 아이 두 명 현미경으로 보이는 곰팡이균 푸른 곰팡이 검은 곰팡이 테이블 위의 식빵 (미생물이 붙은 후 곰팡이가 생김) 내레이션: 그렇다면 미생물인 곰팡이의 씨앗은 어디에 있을까요? 어디에 있다가 빵에 곰팡이를 피게 하는 것일까요? 곰팡이의 씨앗은 공기 중에 떠다니고 있습니다. 여기도 저기도… 곰팡이 씨앗이 떠다니고 있는 것이죠. 그러다가 온도와 양분 그리고 습기가 적당한 곳에 내려앉습니다. 그리고 나서 번식을 시작하는데 아주 무서운 속도로 늘어난답니다.

  7. 005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2- 미생물의 종류 아이가 침실에서 벼개를 집어들면 집먼지 진드기 현미경 나타나고 이어서 결핵균 콜레라균 바이러스 실사 나타난다 현미경 집먼지 진드기 집안 침대가 있고 베개를 집어드는 아이 현미경 결핵균 현미경 바이러스 현미경 콜레라균 나레이션 곰팡이 외에 미생물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여러분 집의 이불, 베개, 천 소파 등에 집먼지 진드기가 있습니다. 집먼지 진드기는 우리 몸이나 동물의 피부에서 떨어지는 각질을 먹고 살지요. 그리고 세균들 중에는 우리 몸에 병이 나게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결핵이나 콜레라 등은 세균 감염으로 일어나는 병입니다. 환절기가 돌아오면 우리 몸을 귀찮게 하는 감기는 그 원인이 바이러스인데요. 감기를 일으키는 각종 바이러스 들도 미생물의 일종이랍니다.

  8. 005_02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2_미생물의 종류 한 남자가 장독에서 표주박으로 술을 퍼서 마시면 술에서 화살표 –누룩 곰팡이 사진 –곰팜이 현미경으로 본 모습 그리고 나서 와인, 김치, 고추장 된장, 치즈 등이 차례로 나타난다. 와인 술 룩곰팡이 (현미경) 장독에서 술을 한 바가지 퍼서 마시는 사람 술 룩곰팡이 (사진) 김치 치즈 된장 고추장 내레이션: 그렇다면 미생물들은 인간의 생활에 해로움만 주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미생물은 인간의 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인간의 생활에 도움을 주는 대표적인 미생물이 효모입니다. 유럽에서는 효모를 발효시켜 포도주를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효모를 번식시킨 누룩으로 술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이 이외에도 우리가 좋아하는 먹을 것 중에 미생물을 이용한 식품들이 많이 있지요. 우리들이 좋아하는 김치 역시 세균으로 발효를 시킨 발효식품 입니다. 김치 외에 된장, 고추장 역시 발효식품이지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치즈 역시 우유에 미생물이 번식하면서 만들어 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미생물은 우리 생활에 도움을 주기도 한답니다.

  9. 005_03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2_미생물의 종류 호수 안에 동말, 아메바 물벼룩 등이 현미경 표시에 차례로 나타나고 꽃이 피어있는 곳에 꽃가루 현미경으로 자세히 표시된다. 호수가 주변에 나무와 꽃들 내레이션: 그 외에 미생물로는 호수와 강, 바다 등에 살면서 물 속 생물의 먹이가 되는 단세포 동물인 돌말과 아메바. 식물성 플랑크톤과 그것을 먹고 사는 물벼룩,등이 있습니다. 이런 것들 역시 미생물의 종류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10. 006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3_미생물의 발견 레벤후크와 파스테르 차례로 나옴 파스퇴르와 파스퇴르의 목이 가늘고 길게 구부러진 병 자막 : 파스퇴르 (1822~1895) 미생물이 공기중에 떠따니꼬 있다는 사실을 증명함 현미경으로 빗물을 관찰하는 레벤후크 자막 : 레벤후크 (1632~1723) 미생물을 처음 발견하다 내레이션: 그럼 언제부터 사람들은 미생물의 존재를 알게 되었을까요? 1673년 네델란드의 과학자 레벤후크는 현미경을 만들어 물체를 관찰하던 중 미생물의 존재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사람의 눈에 깨끗하게 보이는 빗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해 보니 투명해 보이는 빗물 속에 무언가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 보였습니다. 레벤후크의 발견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엄청나게 작은 생물들이 이 세상에 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미생물의 발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한명의 과학자는 파스퇴르입니다. 프랑스의 과학자 파스퇴르는 발효와 부패에 관한 연구를 하였으며 공기 중에 미생물이 떠다니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11. 006_02 타이틀명 화면번호 썪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03_미생물의 발견 침대에 누워있는 아이 이를 간호하는 코흐 뒤돌아 연구를 하다가 아 이거야 하는 표정 병의 원인인 결핵균 현미경 사진 보이고 이어 콜레라 균 사진 나타난다 자막 : 병의 원인 결핵균 사진 결핵균 열이나 침대에 누워있는 아이 물수건을 머리에 하고…. 그 옆에서 연구하는 코흐 콜레라균 사진 내레이션: 미생물을 발견한 과학자들은 병의 원인이 병원균을 보유한 세균에 의한 감염임을 밝혀내고, 미생물을 이용해 세균을 예방하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1843년부터 1910년까지 살았던 독일의 과학자 로케르트 코흐는 콜레라와 결핵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밝혀내었습니다. 코흐는 결핵에 관한 연구로 1905년 노벨의학상을 받기도 했습니다.코흐가 결핵이나 콜레라 등 병의 원인이 세균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밝히기 이전 사람들은 모든 병을 악마의 소행으로 여겼으며 치료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세균이 병의 원인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의학이 발달하게 된 것입니다.

  12. 007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학습내용 : 04 - 예방백신 예방접종신 옆에 아이 만세 부르고 나면 각각 예방 가능 병명 나타난다 주사기 크게 주사기 작아지며 예방접종하는 사진 찡그리는 아이 자막 : 병이 무섭지 않아 옆의 아이 만세 부른다 장티푸스 콜레라 페스트 뇌염 독감 내레이션: 코흐, 파스퇴르 등 과학자들의 세균에 대한 연구 덕분에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 병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고 뒤이어 병을 예방하는 백신을 개발했습니다. 백신이란 우리가 알고 있는 예방접종을 하는 약입니다. 우리 인체에 약화시키거나 죽인 미생물을 접종하여 그 미생물에 대한 면역력을 생기게 해주는 것이 예방 접종입니다. 예방접종을 하고 나면 해당 균에 대한 면역성이 생겨 감염 되었을 경우 병을 이겨낼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백신의 개발은 세균을 연구한 파스퇴르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장티푸스, 콜레라, 페스트, 파상풍, 뇌염 등의 백신이 개발되었습니다. 겨울이 되기 전에 흔히 접종하는 감기 예방주사 역시 이러한 백신의 일종입니다.

  13. 008_01 타이틀명 화면번호 썪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보충학습: 바이러스 바이러스 그림 하나씩 나타난 이후 암 에이즈 자막 경고처럼 뜬다 담배잎 매경에 동그란 편미경 모양 안에 담배잎 바이러스 바이러스 그림 세포 안에 침투한 바이러스 다시 세포 밖으로 나온 바이러스 암 에이즈 (AIDS) 내레이션: 세균과 비슷한 병원체로는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작은 병원체인데 그 크기가 워낙 작아 전자현미경으로만 확인할 수 있답니다. 이 병원체의 특징은 전염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바이러스가 어떤 과정을 통하여 생겨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바이러스는 수가 점점 늘어나고 유전이 된다는 특성은 밝혀졌습니다. 바이러스는 살아있는 세포에 침투하여 기생생활을 합니다. 그리고 나서 세포를 죽이고 또 다른 세포를 찾아 다시 세포를 죽입니다. 더욱 끔찍한 일은 바이러스는 세포가 지닌 유전자를 자기 마음대로 변화시킨다는 것입니다. 이런 바이러스에 의해 암 등 치료 불가능한 병이 발생합니다. 전세계에 불치병으로 알려진 에이즈 역시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입니다.

  14. 008_02 타이틀명 화면번호 썩었다니요? 천만에요 화면구성 화면내용 보충학습: 곤충들의 겨울나기 이를 안 닦은 사람 이 벌리면 냄새…냄새 이를 깨끗이 닦는 사람 이 벌리면 반짝반짝 주변도 반짝반짝 내레이션: 공기에 떠 다니는 수많은 세균들…그 세균들에 의해 우리는 병에 감염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에 살고 있는 미생물과 더러운 상태에 살고 있는 미생물은 서로 다르답니다. 예를들어 이를 깨끗이 닦는 사람의 이에서 발견되는 미생물과 이를 한 번도 닦지 않은 사람의 이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은 서로 다르답니다. 그러니 주위를 청결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아시겠죠!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