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 likes | 743 Views
서양 윤리의 전개. “ 좋은 책을 읽는 것은 과거의 가장 뛰어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다 . ” -Descartes-. TEXT PP.110~115. 학습 목표. 근대 경험론과 합리론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근대 이상주의와 공리주의 윤리 사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현대 윤리 사상의 특징과 형성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 人間 中心의 윤리 로의 전환. 인간의 현실적인 삶 중시. 근대적 사고 방식의 특징. 과학적 합리적 세계관
E N D
서양 윤리의 전개 “좋은 책을 읽는 것은 과거의 가장 뛰어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다.” -Descartes- TEXT PP.110~115
학습 목표 • 근대 경험론과 합리론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근대 이상주의와 공리주의 윤리 사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현대 윤리 사상의 특징과 형성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 人間 中心의 윤리 로의 전환 인간의 현실적인 삶 중시
근대적 사고 방식의 특징 • 과학적 합리적 세계관 • 경험론 : 경험적 관찰과 실험→ 귀납적 방법 • 합리론 : 이성에 의한 논리적 추론→ 연역적 방법
경험론(經驗論) 함께 하기1 경험론의 대표적인 윤리 사상가와 그들의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베이컨(Bacon, F.) • 과학적 지식의 유용성 강조 → “아는 것이 힘이다.” → 지식의 자연을 지배하는 도구 • 우상(偶像:선입견과 편견)의 타파 → 올바른 지식의 습득
홉스(Hobbes, T.) • 자연 상태 : 무정부 상태 →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 (사회 계약 → 법과 규범 제정) → 정부 구성 → 주권자에게 절대권 부여 • 국민 주권 사상, 근대 시민 국가 형성의 이론적 토대
흄(Hume, D.) • 도덕적 판단과 행위의 기준 : 감정 → 사회적 공감(共感)을 통한 쾌감 → 선(善) • 사회적 차원의 이익을 부각시킴 → 공리주의 윤리의 모태
합리론(合理論) 함께 하기2 합리론의 대표적인 윤리 사상가와 그들의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데카르트(Descartes, R.) • 이성에 의한 진리 탐구 강조 → 경험적 지식은 주관적, 단편적, 우연한 것 • 방법적 회의(懷疑) 전개 → 사유의 제1 원리 : “나는 생각 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범신론적 자연관 스피노자(Spinoza, B.) • 우주는 인과(因果)의 필연적 질서에 따라 움직이는 거대한 기계 • 인간의 유한성과 불충분한 지식 → 불안(不安) • 이성적 관조 → 마음의 안정과 행복(→최고의 선) ※해탈의 윤리 사상
이상주의(理想主義) 함께 하기3 이상주의의 대표적인 윤리 사상가와 그들의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칸트 (Kant, I.) • 행위의 결과 보다 동기(動機) 중시 • 도덕 법칙 제시 → 정언(定言) 명령 1. 행위의 주체 → 보편적 타당성 2. 자율적 인격체 → 인간 존엄성
헤겔(Hegel, G. W. F.) • 인륜(人倫) : 공동체의 윤리 • 인륜의 변증법: 가족 → 시민 → 국가(=최고의 인륜) • 개인은 국가의 일원으로서만 참된 존재의 의미(→ 행복한 삶)
공리주의(功利主義) 함께 하기4 공리주의의 등장 배경과 대표적인 윤 리 사상가에 대하여 알아보자.
공리주의의 등장 배경 • 산업 혁명 후, 자유 방임주의의 미명하에 무절제한 자유 경쟁과 개인적 이윤 추구 현상 심화 • 개인의 이익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조화시키려는 노력
벤담(Bentham, J.) • 쾌락, 즉 ‘고통이 없는 상태’가 행복 • 양적 공리주의 : 쾌락의 양 중시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 행위의 기준 : 쾌락, 공리성 • 법적 · 신체적 · 외적인 제재 강조
밀(Mill, J. S.) • 질적 공리주의 : 쾌락의 질적 차이를 고려해야 • 정신적 쾌락 강조 → 내적인 양심(良心)의 제재를 주장 → “배부른 돼지가 되기보다는 배고픈 인간이 되는 편이 낫고, 만족스러운 바보가 되기 보다는 불만족스러운 소크라테스가 되는 편이 낫다.”
현대 윤리 사상의 특징 • 배경 : →인간의 생명과 존엄성 유린 → 인간의 비인간화와 생태계 파괴 • 특징 : →이성적이고 관념적인 철학 반대 →인간의 현실적 삶 자체를 중시
생(生) 철학 함께 하기5 생 철학의 대표적인 윤리 사상가와 그들의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생 철학의 등장 • 생명의 역동적인 힘을 믿고, 충실한 삶 속에서 인간의 궁극적인 가치를 찾으려고 함 • 이성보다는 감정과 의지, 지식보다는 직관과 체험을 중시
쇼펜하우어 (Schopenhauer, A.) • 인간의 본질 : 생(生)의 의지 • 맹목적인 생존 의지 단절→ 고통스러운 현실 세계에서 벗어남 • 무의지(無意志) , 금욕(禁慾) 강조
니이체(Nietche, F.) • 생의 본질 : 권력 의지 → 보다 나은 삶을 지향하는 의지 • 초인(超人) 사상 : 운명애(運命愛)의 실천을 통한 권력 의지의 구현 강조 → “신(神)은 죽었다.”
실존주의(實存主義) 함께 하기6 실존주의의 특징과 대표적인 윤리 사 상가에 대하여 알아보자.
실존주의의 등장 • 현대 과학 기술 문명과 전쟁 속에서 비인간화 되어 가는 인간의 현실 고발 • 인간 주체성을 강조하는 인간 회복의 철학
키에르케고르(Kierkegaard) • 인간의 본질: ‘신 앞에 단독자(單獨者)’ • 주체적인 자기 결단 강조 →불안과 죽음의 문제 극복 → 참된 실존의 회복
사르트르(Sartre, J. P.) •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각 개인의 주체적인 삶 강조
하이데거(Heidegger, M.) • 인간의 본질 : ‘내던져진 현존재(現存在)’ • 시간의 흐름 속에서 죽음 직시→본래적 실존 회복
실용주의(實用主義) • ‘지식은 생활의 도구’ →(가치 판단 기준 : 유용성) • 대표자 : 듀이(Dewey, J.) → 도덕 윤리도 변화하고 성장 → 고정적이며 절대적인 가치는 존재하지 않음
생명 존중 사상 • 인간 중심적인 생명관, 과학 만능주의 → 인간의 타락 초래 • ‘살아 있는 모든 존재에 대한 사랑과 자비’ 역설 • 대표자 : 간디(Gandhi, M. K.),슈바이처(Schweitzer, A.)
베이컨의 4대 우상 종족 우상 종족(인간) 고유의 특성 동굴 우상 개인의 특수성 부적절한 언어의 사용 시장 우상 극장 우상 역사적 전통, 권위
Descartes의 방법적 회의 일체의 사물에 대하여 의심(=懷疑)할 수 있고, 또 의심해야 한다. 여기에서 회의는 의심하기 위한 의심이 아니라, 확고 부동한 진리를 획득한 다는 목적을 위한 회의이다.
Spinoza의 범신론적 자연관 - 자연이란 우리가 눈으로 보거나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세계 혹은 우주가 아니다. 그것은 이 모든 것과 정신을 포함하여 존재하는 일체의 것이다. 따라서 자연 외에 존재하는 것이라고는 아무 것도 없다. - 신은 곧 자연이며, 자연이 곧 신이다.
칸트의 도덕 법칙 • 네 의지의 격률(格律)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 • 너 자신과 다른 모든 사람의 인격을 결코 단순히 수단으로 취급하지 말고,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대우하도록 행위하라.
칸트의 윤리설 자율 도덕 추구 → 인격주의 의무론적 윤 리 설 실천 이성 명 령 도덕적 행 위 의무의식 선의지
변증법의 근본 법칙 Hegel의 변증법 합(合) 종합 Synthese 하나의 사상(A)은 반드시 모순 대립되는 다른 사상(非A)을 낳고, (지양止揚) 이들은 다시 정 반 합 의 원리에 따라 보다 고등한 다른 사상(B)으로 발전해 간다는 논리 정(正) 정립 These 반(反) 반정립 Antithese (모순 대립)
물질계의 변증법적 근본 법칙 점진적 양적 변화 갑작스런 질적 변화 긍정적인 면 대립자 상호간 투 쟁 고차의 형태로 전환 발전 자연 현상 부정적인 면 부정(否定)의 부정(否定)
슈바이처(Schweitzer,A.) “우리는 살려고 하는 생명들로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는 생명(生命) 이다.” 생명의 외경(畏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