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likes | 236 Views
한국의 중선거구제가 선거결과에 미친 영향. 2400513 최인권. I. 서론. II. 한국에서 예상되는 중선거구제의 효과. III. 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IV. 결론. 목차. 1. 서론. 중선거구제의 관심 배경 - 한국 선거정치에 뿌리깊은 지역주의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기대와 예상. 2. 한국에서 예상되는 중선거구제의 효과. 긍정적 효과 유권자 표의 비례성향상과 사표의 감소 정치 약자 , 소수 정당의 의회진출 기회 제공. 2. 한국에서 예상되는 중선거구제의 효과.
E N D
한국의 중선거구제가 선거결과에 미친 영향 2400513 최인권
I 서론 II 한국에서 예상되는 중선거구제의 효과 III 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IV 결론 목차
1.서론 • 중선거구제의 관심 배경 -한국 선거정치에 뿌리깊은 지역주의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기대와 예상
2.한국에서 예상되는 중선거구제의 효과 • 긍정적 효과 • 유권자 표의 비례성향상과 사표의 감소 • 정치 약자, 소수 정당의 의회진출 기회 제공
2.한국에서 예상되는 중선거구제의 효과 • 부정적 효과 • 표의 등가성 훼손 • 정당 간 득표율과 의석점유율 사이의 왜곡 • 계파정치나 금권정치의 심화 가능성 • 정당체계의 파편화와 불안정 초래
1)중선거구제와 지역주의 3.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 1.제9대~제12대 국회의원선거
2)소수정당의 국회진출 3.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3)정치신인의 의회진출 3.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4)여성의 의회 진출 3.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2.제4회 지방선거 3.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 1)중선거구제와 지역주의
2)소수정당의 기초의회진출 3.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3)정치신인의 기초의회진출 3.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3.한국의 중선거구제와 실제 작동 • 4)여성의 기초의회진출 제4회 기초의회선거 총 2513명 중 110명(4.4%) 제3회 기초의회선거 총 3485명 중 77명(2.2%)
4.결론 • 한국의 중선거구제의 효과 • 소수정당의 의석점유율 증가에 영향 • 이념정당의 성장에 정치적 토양 제공 • 한국의 중선거구제의 제도적 과제 • 정치신인의 의회진출 • 여성의 의회진출 • 지역주의 완화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