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동아시아의 이해

동아시아의 이해. 제 4 강 . 동아시아의 정치구조.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동아시아 정치구조의 형성. 1) 동아시아 국가수립 (state-building) 의 배경 ○ 대내적 배경 : 1945 년 제 2 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식민지배의 유산 - 1945 년 일본의 패망 으로 인한 힘의 공백상태 는 동아시아 전역에서 민족주의 세력의 대응과 함께 새로운 정치권력의 편재 형성 - 식민지배를 겪지 않은 중국 , 일본 , 태국은 물론 서구 열강에 의해 식민지배를

zeph-nieves
Download Presentation

동아시아의 이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동아시아의 이해 제4강. 동아시아의 정치구조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2. 1. 동아시아 정치구조의 형성 1) 동아시아 국가수립(state-building)의 배경 ○ 대내적 배경: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식민지배의 유산 - 1945년 일본의 패망으로 인한 힘의 공백상태는 동아시아 전역에서 민족주의 세력의 대응과 함께 새로운 정치권력의 편재 형성 - 식민지배를 겪지 않은 중국, 일본, 태국은 물론 서구 열강에 의해 식민지배를 받은 동아시아 다수 지역은 과거 전통적 통치형태와 식민지배의 정치적 유산 에 따른 다양한 정치적 갈등구조 형성 - 각 국가마다 인종적/지역적/종교적 소수집단의 분리·독립운동에 맞선 통일 국가 형성의 정당성 확립을 위한 정치운동과 다각적 노력 전개 예]중국의 경우 한(漢)족을 중심으로 티벳, 신장, 내몽고, 동북지역에 대한 지배력 강화 인도네시아의 경우 17,000여개 섬들과 소수 민족을 하나로 묶는 통일작업 착수 - 과거 청산의 시대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과거 정치적 연관관계나 식민지배의 통치 유산에 따른 정치체제의 유입 예] 일본, 한국의 경우 미군정의 민주주의체제 이식 동남아 국가들의 경우 서구 열강의 정치체제 유입 - 과거 식민지배와 착취를 위한 서구 열강의 식민지배체제는 역설적으로 통일 국가를 수립하는 정치적 기초를 제공

  3. ○ 대외적 배경: 국제적 냉전체제의 형성과 정치구조의 갈등 -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더불어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대(vs) 사회주의 사이의 이념적 갈등은 국제적 냉전체제 형성 - 동아시아 각 지역의 국가수립 과정에서 냉전체제에 기인하는 이념적 갈등은 정치체제의 유형과 통합 결정 예] 한반도, 베트남의 경우 남북 정치체제의 분단 초래 중국의 공산화 이후 동남아 지역의 공산주의 도미노 현상 - 1950년 발생한 한국전쟁은 동북아 지역에 있어서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자본 주의 대 사회주의의 이념적 갈등과 정치체제의 경쟁 초래 -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 1975년 종결된 베트남 전쟁의 귀결은 동남아 지역에 있어서 새로운 군사/안보적 대치상태 유발 -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회주의 국가들은 중국과 소련의 비호 아래, 자본주의 국가 들은 미국의 지원 아래 각각 특유의 정치체제 형성 - 1960~70년대 국제적 냉전체제에 입각한 내부적 갈등을 겪으면서 동아시아 국가들은 저마다 냉전구조에 편승한 정치체제로 전환 ※ 국내적 정치구조의 갈등과 국제적 냉전체제의 영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동아시아 국가들의 국가형성 배경으로 작용

  4. 2) 동북아 국가들의 정치구조 형성 ○ 민족주의 세력의 등장과 통일국가 형성 - 일본 패망과 더불어 동북아 각 지역에서 민족주의 세력의 등장과 더불어 국가 형성을 위한 다양한 정치운동 발생 - 특히 소수민족이 존재하는 중국의 경우 이들의 거센 도전을 제압하고 다민족 통일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정치적 정당성 경쟁(예] 국민당 대 공산당) - 비교적 단일민족을 형성한 한반도의 경우에도 정치이념을 달리 하는 정치세력 사이의 갈등 속에서 남북한 각기 정치체제를 달리 하는 국가형성(이념적 갈등) ○ 동북아 지역에서 국가 형성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 독립운동 과정에서 채택된 정치이념과 국가형성을 지원하는 외부세력의 압력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 초래 - 제2차 세계대전과 태평양전쟁의 종결은 동북아 지역에서 정치이념을 달리 하 는 다양한 민족주의 세력의 등장과 더불어 정치적 갈등구조 형성 예] 중국의 경우 국민당 세력과 공산당 세력의 치열한 경쟁 한반도의 경우 공산주의 세력과 민족주의 세력, 자유민주주의 세력 사이의 갈등 일본의 경우 미군정의 영향으로 자유민주주의 이식 - 정치이념의 갈등은 외부세력의 지원과 결합되어 자본주의 대 사회주의 대결을 초래하여 각기 다른 정치체제 수립

  5. 3) 동남아 국가들의 정치구조 형성 ○ 다양한 다민족 사회를 구성해 온 동남아 국가들의 경우 식민지배 유산의 청산과 국가 수립이라는 이중적 목표 속에서 국가수립을 위한 역동적 정치과정 전개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등 다민족/다종교/다언어가 혼재된 국가들의 경우 국가형성을 위한 내부적 진통 경험 - 통일국가 형성을 위한 정치적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한 정치세력 사이의 다각적 갈등과 타협 속에서 주요 정치세력의 등장과 국가 형성 - 통일국가의 형성과정 속에서 민족적 정치지도자의 리더십과 역할을 통해 정치 체제의 기초 형성 (예] 미얀마 아웅산, 인도네시아 수까르노 등) ○ 국제적 냉전체제의 영향으로 베트남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1975년 전쟁의 종결은 동남아 지역에서 자본주의 대 사회주의 정치체제의 대결구도 형성 - 1950~60년대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사이의 정치적 갈등과 대립은 결국 국제 적 냉전체제에 입각한 이념적 갈등과 민족통일(해방) 전쟁으로 전환 - 1975년 베트남전쟁의 귀결은 인도차이나 반도의 공산화(캄보디아, 라오스 등) 와 이에 대응하여 미국의 지원을 받는 자본주의 세력의 결집 유도 (예] SEATO 등)

  6. 2. 동아시아의 사회주의 정치구조 1) 사회주의 정치구조의 특징 ○ 아시아의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대부분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독립운동과 저항 운동 과정에서 민족주의와 융합하여 대중적 지지 획득 - 중국의 경우 서구 열강과 일본의 식민지화 야욕을 배격하는 과정에서 마오쩌뚱 (毛澤東)이 이끄는 공산당의 대중적 인기몰이 - 북한의 경우 소련의 도움으로 정치권력을 잡게 된 김일성 세력이 일제시대 독립 운동의 경력을 위조하여 대중적 지지 획득 - 베트남의 경우 호치민(Ho Chi Minh)을 중심으로 한 공산당 세력이 1930년대 부터 민족주의를 대표하는 정치세력으로 부상 ○ 과거 식민지배 세력과 결탁된 지배세력에 대항하는 평등주의 사상과 토지개혁은 일반 대중의 정치적 지지를 획득 - 과거 지주세력이나 지배세력은 식민지배 세력에 결탁하여 일반 민중을 착취해 온 계급으로 묘사 - 반면 공산주의 세력은 토지개혁을 비롯하여 평등주의에 입각한 정치적 이념을 통해 일반 대중의 지지와 동원력 증대

  7. ○ 사회주의(공산주의)체제는 전체주의(totalitarianism)적 특성 아래 하나의 사회지도체제 이념과 강력한 통제력을 기반으로 지배체제 형성 - 사회주의체제는 단순한 정치체제라기보다는 하나의 지배원리를 중심으로 한 정치적 생활양식으로서 모든 인관관계를 지배하는 정치운동으로 작용 - 즉, 사회주의(공산주의)체제는 사회주의(공산주의)의 이념적 우월성 속에 국 가를 우위에 두는 사상운동이자 그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하는 정치체제 ○ 사회주의(공산주의)체제의 정치구조 ① 사회주의(공산주의) 국가이념: 개인에 앞선 국가(공동체)우위 아래 강력한 국가동원체제 수립 ② 단일한 대중정당: 사회당(공산당) 일당지배체제, 다른 정치적 이념과 정당의 존재 불허 ③ 경찰통제: 대중 통제의 수단 ④ 언론 독점과 선전: 언론통제와 정치교육 강화 ⑤ 군부 독점: 당에 의한 무력 독점 ⑥ 계획경제: 사회주의(공산주의) 경제체제의 주요 특징

  8. 2) 중국의 정치구조 형성 ○ 중국의 국부(國父)는 쑨원(孫文: Sun wen, 즉 孫中山: Sun zhong shan) - 쑨원의 삼민주의(三民主義): 민족(民族), 민권(民權), 민생(民生) ① 민족: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를 멸하고 한족에 의한 민족 정권 수립 ② 민권: 인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민주주의 ③ 민생: 국민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경제정책 -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의 성공과 중화민국 건립 - 1912년 쑨원은 중화민국의 대총통으로 추대, 국민당(國民黨) 창설 - 당시 국민당은 군부를 장악한 위엔스카이(袁世凱)와 타협 - 1924년 제1차 국공합작(國共合作) 추진: 국민당과 공산당이 협력 하여 군벌에 대한 북벌 진행 ○ 국민당-공산당 내전과 서안(西安)사건 - 1925년 쑨원 사망 이후 장제스(莊介石)의 권력 계승: 공산당 탄압 - 1927년 8월 저우언라이(周恩來: Zhou en lai), 쭈더(朱德: Zhu de) 등은 강서성 마오쩌둥(毛澤東)이 이끄는 농민부대와 합류 - 국민당의 소탕작전에 밀려 1만 2천 ㎞의 대장정(大長征) 수행

  9. - 1931년 일본이 만주를 침략하자, 공산당은 내전을 중지와 국민당과의 항일 공동전선 구축 제안 - 국민당에 합류한 만주군벌 지도자 장쉬에량(張學良)은 서안 지역에서 공산당을 토벌하다 공산당의 제안을 수용: 장제스와 저우언라이 사이의 극적 담판으로 제2차 국공합작 추진 - 1945년 일본 패망과 더불어 국민당은 200만 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공산당을 토벌하나, 대중적 지지에 힘입은 공산당은 1947년부터 전세를 역전하여 국민 당 군대와 충돌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건국 - 1949년 1월 공산당은 북경에 입성하고, 국민당 정부는 12월 대만으로 철수 - 1949년 10월 1일 공산당은 북경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 저우언라이가 중앙인민정부 정무원 총리, 마오쩌둥이 혁명군사위원회 주석, 쭈더가 인민해방군 총사령관으로 임명

  10. ○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산화 정책 - 1950년대 초까지 내전의 혼란 진정, 1951년 삼반(三反)/오반(五反) 운동 전개 예] 삼반: 국가기관 및 국가기업의 반탐오, 반낭비, 반관료주의를 통한 부패 근절 오반: 사기업에 대해 반뇌물, 반세금포탈, 반국가재산횡령, 반국가정보 등 유출 강화 - 1858년~1961년 대약진운동 전개: 중국공산당 영도 아래 사회주의 건설 총노선 을 정책노선으로 선정하여 경제회복 및 부흥을 추진 - 1966년~1976년 문화혁명(文化革命) 추진: 이 시기 중국공산당 내부의 당권 경쟁을 통해 자유주의 노선을 걷는 당권파와 마오쩌둥 측근의 4인방 사이의 권 력 갈등 3) 북한의 정치구조 형성 ○ 한반도 분단의 배경과 외세의 영향력 - 한반도 최초의 공산당: 조선공산당 창설(1925년 4월 서울에서 비밀조직 결성), 1926년 코민테른(Comintern)에 가입, 내부 분열로 1928년 12월에 축출 - 한반도 분단은 1943년의 전시회담과 카이로선언, 1945년 포츠담선언, 1946년 미․소 군사위원회 등 일련의 회담을 통해 외세의 영향력 증대 예] 1943년 카이로 선언에서 미국․영국․중국 등은 “조선을 적절한 시기에 독립시킨다” 고 명시함으로써 조선에 대한 신탁통치를 시사, 이후 미․소 양국의 정치․경제적 이해 관계에 따라 한반도의 분할통치가 최종 결정

  11. ○ 북한 정권의 탄생과 정치구조 형성 - 1946년부터 소련 군정은 본격적으로 정치화작업 추진: 북한 내 각종 공산주의 세력을 규합하여 대중동원, 당의 강화, 제도 수립 등 - 1946년 8월 북조선로동당 창당: 농민, 노동자 기반의 조선공산당과 더불어 연안파(지식인세력)와 신민당 등 민족주의 세력 흡수 - 1948년 9월 8일 최초 헌법 채택: 북한 정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 1949년 6월 24일 북조선로동당 + 남조선로동당 = 조선로동당 창당 ○ 1950년 한국전쟁과 공산주의 지배체제 강화 - 1953년 한국전쟁의 휴전과 더불어 내부적 숙청 단행: 북한은 주체라는 용어를 등장시켜 민족주의에 입각한 내부적 단결을 강조하고, 외부와 결탁된 정적 등 정치세력 숙청을 통해 자력갱생 도모 - 1958년~1972년 권력투쟁을 마무리하고 일인지배체제 완성: 주체사상의 본격 적 대두와 동원체제 정비, 독자적 자주노선 강조

  12. 4) 베트남의 정치구조 형성 ○ 1920~30년대 독립운동의 태동과 공산주의 유입 - 1920년대부터 일부 유학생 및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계몽운동 전개: 근대 민족주의자들에 의한 베트남국민당(Vietnamese National Party) 활동 - 1930년 호치민(Ho Chi Minh: 胡志明)에 의해 인도차이나공산당 창당: 게릴라 전을 기반으로 무장투쟁을 주도, 1941년 베트남독립동맹(Vietminh) 결성 - 1941년 일본의 침략에 대응하여 항일 게릴라전 전개 ○ 1945년 일본의 패망과 프랑스의 재점령 - 1945년 일본의 패망과 더불어 호치민은 베트남민주공화국(DRV: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수립하여 독립 선언 - 1945년 중국군의 북베트남에 입성하였으나, 1946년 중국-프랑스 조약에 의해 철수하고, 남베트남의 경우 영국군이 진주하였으나 프랑스 식민통치로 복귀 ○ 1946년~1954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북베트남에 의한 민족해방전쟁 - 1954년 휴전과 더불어 북위 17°선을 경계로북부 베트남민주공화국(DRV) vs. 남부의 베트남공화국(Republic of Vietnam) 대치 유도 - 1955년 미국의 지원으로 베트남공화국(RVN) 수립: 분단 형성 - 1956년 프랑스군의 철수와 남베트남의 정치적 불안: 부패와 잦은 쿠데타 등

  13. ○ 1961년~1973년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베트남전쟁): 미국의 공식적 개입 - 1964년 통킹만(Gulf of Tong King) 사건 이후 본격적 개입: 미국의 첩보 군함이 북베트남으로부터 공격을 받은 사건 - 1969년 호치민 사망: 북베트남군은 미군과 정글전과 게릴라전 지속 - 1973년 파리 비밀조약(Kissinger vs. Le Duc Tho)에 의해 1973년부터 점진적으로 미군 철수 및 1975년 남베트남 함락 ○ 베트남의 공산화정책: 1975년~1985년 - 1976년 1월 남북베트남 총선거를 실시하여 국민의회를 구성하고, 1976년 7월 남북을 통합한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SRV)수립 - 1959년 호치민에 의해 제정된 헌법을 국가헌법으로 채택 ① 법제상 입법․사법․행정 분리, 실질적으로 국민의회 상임위원회가 행정부의 내각평의회 및 사법부의 최고인민법원 감독 ② 국민의회를 통해 대통령, 부통령, 내각 선출 ③ 내각평의회는 국가의 최고집행기관으로서 국민의회에 법안 제출 권한 - 1977년 유엔(UN)에 의해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SRV) 정식 승인: 이것은 결국 국제적으로 베트남 전쟁이 민족해방전쟁이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인정

  14. 5) 미얀마의 정치구조 형성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버마 진출과 독립운동 - 일본의 버마 진출은 영국을 물리치고 버마의 독립을 지원한다는 표면적 이유였으나, 결국 식민지배의 야욕을 숨긴 결과 - 일본의 주선으로 아웅산 등 30인의 동지 조직: 1943년 1월 일본의 도조 내각은 미얀마의 독립을 허용한다 성명: 실질적으로 인도 침공의 교두보 마련 - 일본은 미얀마의 군대 편성 및 군수 지원: 영국에 대한 간접전쟁을 수행 목적 ○ 1945년 3월 연합군의 만달레이 점령과 아웅산의 정치적 전환: 연합군 지지 - 1945년 8월 28일 일본의 항복 선언과 더불어 아웅산은 반파시스트인민자유 연맹(AFPEL: Anti-Fascist People's Freedom League) 결성 - 영국과 독립 방안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아웅산은 공산주의 세력에 의해 암살 - 1947년 누-애틀리 협정 조약: 1948년 1월 4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 우누(U Nu)의 사회주의 시대: 1948년~1960년 - 버마 독립운동의 사회주의 도입(1930년대 이래): 공산주의와는 다른 개념으로 독립 이후 사회주의체제 건설

  15. ○ 네윈(Ne Win)의 버마식 사회주의 시대: 1960년~1988년 - 1962년 3월 16인 혁명위원회: 버마식 사회주의 노선(Burmese Way to Socialism)주장 - 네윈의 집권으로 유일당인 버마사회주의계획당(BSPP: Burma Socialist Programme Party) 창당 - 우누의 자유민주적 사회주의를 폐지하고, 국가 중심의 강력한 사회통제 실시 - 기업과 토지의 국유화 추진: 1962년부터 경제침체에 들어서 1970년대에는 마이너스(-) 성장 6) 캄보디아의 정치구조 형성 ○ 캄보디아의 경우 1953년 독립 이후 정치적 혼란과 내전 지속 - 1953년 미국의 도움으로 독립을 쟁취한 씨하눅 국왕은 개헌을 통해 입헌군주제 아래 본인을 총리로 한 정치체제 강화 - 미국과 중국을 오가는 긴밀한 외교관계 속에서 중립화를 추진하였으나 실패하고, 태국, 베트남, 미국과의 관계 악화: 외교적 악수(반공산 → 중립 → 친공산) - 1970년 론놀(Lon Nol)의 쿠데타가 발생하여 크메르공화국 수립: 1973년 미군의 베트남 철수와 더불어 캄보디아 공산주의 세력인 크메르 루즈의 득세

  16. - 1975년 크메르 루즈(Khmer Rouge)의 프놈펜 탈환과 민주캄푸치아 수립: 폴폿(Pol Pot)의 킬링필드(killing field) 학살과 내전 초래 - 1979년 베트남군을 앞세운 친 베트남 계열의 득세와 캄푸치아인민공화국 수립: 베트남의 군정과 내전 지속 3. 동아시아의 권위주의 정치구조 1) 권위주의 정치구조의 특징 ○ 동아시아의 권위주의체제는 군부가 전면에 등장하고 민족주의와 자본주의 (경제발전)를 강조한 독특한 정치구조 형성 - 초기 국가형성 과정에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체제를 채택한 다수의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군부쿠데타의 발생과 더불어 권위주의체제 형성 - 권위주의체제를 형성한 군부는 정치적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경제발전을 전면에 내걸고 국가 주도의 경제발전전략 추진

  17. ○ 동아시아의 권위주의체제는 국제적 냉전체제 속에서 반공주의 표방, 미국의 안보·경제적 지원을 받으며 안정적 정치체제 형성 - 군부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군부세력은 미국의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 강력한 반공정책을 전면에 내세워 국제적 지원 유도 - 군사안보적 동맹관계 속에서 동아시아 군부세력은 권위주의체제를 기반으로 하여 정치권력 향유 ○ 동아시아 국가들의 권위주의체제가 갖는 특성 - 동아시아 국가들은 대부분 군부쿠데타에 의해 집권한 군부세력이 반공주의와 경제성장을 전면에 내걸고 독재 권위주의체제 강화 -한국을 비롯하여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은 초기 민주주의체제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군부쿠데타나 계엄령을 통해 정권교체 이후 강력한 국가지도자를 중심 으로 독재 권위주의체제 강화 예] 한국의 박정희, 전두환 체제, 태국의 피분, 싸릿 정권, 필리핀의 마르꼬스 정권, 인도네시아의 수까르노, 수하르또 정권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은 군사쿠데타가 아닌 인종 간 갈등과 국가 위기 상황의 극복을 위한 권위주의체제 형성 예] 싱가포르의 리콴유,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18. - 미얀마의 경우 1988년 민주화를 무력으로 진압한 신군부 세력이 군부정권을 유지하여 권위주의체제 형성 - 캄보디아의 경우 1993년 유엔(UN)의 중재를 통해 민주선거가 실시되고 입헌 군주제를 실시, 1997년 훈센(Hun Sen)의 내부 쿠데타 이후 정치권력 강화 4.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정치구조 1) 동아시아 민주주의 정치구조의 특징 ○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민주주의체제는 초기 민주주의체제의 유입 이후 권위주의체제로의 전환, 그리고 다시 민주화에 따른 정치변동의 결과 - 1980년대 중반부터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 제3의 민주주의 물결(the third wave of democracy) 도래 예] 1986년 필리핀, 1987년 한국, 대만, 1992년 태국, 1998년 인도네시아 - 한국, 대만,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은 초기 민주주의체제의 수립 이후 독재 권위주의체제로 전락, 다시금 민주화과정을 거쳐 민주주의체제로 전환

  19. ○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이행과 공고화 과정에 들어선 이들 국가들은 정치개혁과 제도화 과정에서 다양한 위기와 도전에 직면 - 1997년 경제위기는 한국, 태국의 정치위기를 초래하였으나, 정권교체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였으며, 인도네시아는 1998년 민주화 초래 - 한국과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의 경우 대통령 탄핵과 더불어 정치적 혼란이 야기되었으나,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를 통해 위기 극복 - 태국의 경우 2001년 탁씬 총리의 집권 이후 정치 혼란과 2006년 군사쿠데타가 재발하여 정치적 위기 고조 2) 일본의 정치구조 형성 ○ 일본의 정치구조는 비록 민주주의체제를 형성하였다고 하나, 내부적으로 자유 민주당 중심의 파벌정치 심화 - 1945년 패전 이후 입헌군주제에 입각한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고, 자유당의 제 22회 총선거 승리로 내각을 구성하였으나, 정치적 혼란 지속 - 1947년 4월 제23회 총선거 실시로 요시다(吉田)가 재집권하여 민주자유당 탄생, 제24회 총선거를 통해 단독정권 수립

  20. ○ 1955년 11월 보수합동(保守合同): 각 정파들 사이의 합당이 결정되어 당명을 자유민주당으로 개칭 - 1955년 10월 의회의 좌파 의석수 증가에 따라 재계(財界)는 보수당 통합 요구: 여러 파벌들 사이의 난항을 극복하고 정당 통합 - 1955년 민주자유당의 집권 이후 1993년까지 55년체제 수립: 자유민주당 중심의 일당우위체제 - 1955년 55년체제의 수립 이후에도 1960년대까지 군소정당 및 다당화 현상 심화 3) 한국,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의 정치구조 형성 - 각 국가별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이행과 공고화 과정을 거쳐 민주주의체제 수립 - 한국,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는 대통령제에 입각한 정치체제 구성: 한국, 인도네시아는 단원제, 대만, 필리핀은 양원제 - 태국의 경우 입헌군주제에 입각한 의원내각제 구성: 양원제 의회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