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논제 Issue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논제 Issue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e United States. David J. Silva <david@uta.edu>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텍사스 주립대학교 알링톤 캠퍼스 언어학과 학과장 Korea Foundation / Kyung Hee University 한국국제교류재단 연구지원 / 경희대학교 영어학부 초빙교수. ~18%. 미국에서의 외국어 사용 통계 (2000 년 ).

Download Presentation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논제 Issue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e United State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논제Issues in Korean Language Teachingin the United States David J. Silva<david@uta.edu>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텍사스 주립대학교 알링톤캠퍼스 언어학과 학과장Korea Foundation / Kyung Hee University한국국제교류재단 연구지원 / 경희대학교 영어학부 초빙교수

  2. ~18% 미국에서의 외국어 사용 통계(2000년)

  3. 미국 고등학교의 외국어 교육 • 고등학교에서 외국어를 공부하는 학생은 전체 고등 학생의 약 44% • 그 중에서: • 스페인어: 69% • 불어: 18% • 독일어: 5% • 기타: 8%

  4. 미국 대학교의 외국어 교육 • 대학교에서 외국어를 공부하는 학생은 전체 대학생의 약 8.6% • 그 중에서: • 스페인어: 53% • 불어: 14.5% • 독일어: 7.5% • 한국어: 0.4% • 기타: 24.6%

  5. 한국어 수업에 등록한 미국 학생수

  6. 한국어 과목이 개설된 대학교 • 한국어 수업이 개설된 미국대학교는 91곳 • 전체 미국대학교의 3%에 해당 • 위의 91 대학교중에서: • 미국서해안 주에 있는 학교: 50% • 미국북동부 주에 있는 학교: 23% • 이외: 27%

  7. 한국어를 듣는 학생의 4가지 유형 • 교포 학생들 (Heritage Students) •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접해봤음 • 약간의 한국어를 말하고 읽을 수 있음 • 한국어를 좀 더 완벽하게 하는데에 목적을 둠 • 한국어 무경험자 (True Beginners) • 각자의 경험과 동기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수강 • 한국인 혼혈 또는 입양된 학생들 (Mixed-heritage / Adopted Students) • 한국문화 전통과 연결고리를 만들기 위하여 한국어 수강 • 다른아시아 언어를 하는 학생들 (Speakers of other East Asian languages) - 동아시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늘리기 위함

  8. 한국어를 공부하는 주된 동기는? • Heritage Students • 도구적 동기<Instrumental Motivation> • 필수 학점을 따기 위하여 • 쉽게 A를 받기 위하여 • 직업을 위하여 (취직의 가능성이 많아짐) • 정의적 동기<Integrative Motivation> • 가족 또는 한국 문화에 좀 더 가까워질 수 있음 • True Beginners • 정의적 동기: 친구들과의 관계를 위하여 • Mixed Heritage / Adopted Students • 정의적 동기: 문화를 접하고 배우기 위함 • Speakers of Other Asian Languages • 도구적 동기: 취직을 위하여

  9. 한국어 공부하는 학생이 적은 이유는? • 한국어를 공부할 기회가 적음 (한국어가 개설된 학교가 한정되어 있음) • 한국 문화-사회-역사 대한 인식 부족 • 한국어를 배움으로써 돌아오는 이익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생각함

  10. 한국어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세가지 • 수업 교재 (Teaching Materials) • 미국에서의 수업 방식을 반영해야 함 • 형식과 문법에만 치중하지 않아야 함 • Authentic material 을 더 개발하고 수업에서 사용해야 함 • 수업 환경 (Classroom Culture) • 교포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을 나누어서 가르쳐야 함 • 수업이 학습자 중심 교육이어야 함 • 학교의 원조 (Cultivating Institutional Support) • 한국 문화를 접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함 • 한국어에 대한 전망을 마케팅 해야 함

  11. 결론 • 미국의 (또는 전 세계의) 학생들에게 한국어나 한국 문화 교육의 가치를 인식시키기 위하여는 도구적 동기와 정의적 동기를 모두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한 한 수단으로는 학생들에게 한국 문화와 직접 접촉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연결 고리를 만들고 이로 인하여 소속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의적 동기를 시작으로 좀 더 실용적이고 도구적인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발표는 세 영역, 즉 context, critique, and language-learning motivations 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며 따라서 좀 더 성공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좀 더 현명하고 부지런하게 노력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