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국 이 재 홍 (home.mic.go.kr/~spectrum/)

5GHz 대 주파수 이용 정책 방향. 2001. 10. 5. 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국 이 재 홍 (http://home.mic.go.kr/~spectrum/).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목 차. Ⅰ. 전파이용관리의 개요 Ⅱ. 전파이용 현황 및 전망 Ⅲ. 전파자원 이용발전 대책 Ⅳ. 5GHz 대 주파수 이용정책 방향. Ⅰ. 전파이용관리의 개요. 1. 전파관리 필요성 2. 전파이용관리의 원칙

von
Download Presentation

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국 이 재 홍 (home.mic.go.kr/~spectrum/)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5GHz대 주파수 이용 정책 방향 2001. 10. 5 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국 이 재 홍 (http://home.mic.go.kr/~spectrum/)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2. 목 차 Ⅰ. 전파이용관리의 개요 Ⅱ. 전파이용 현황 및 전망 Ⅲ. 전파자원 이용발전 대책 Ⅳ. 5GHz대 주파수 이용정책 방향

  3. Ⅰ. 전파이용관리의 개요 1. 전파관리 필요성 2. 전파이용관리의 원칙 3. 전파관리 체계

  4. 1. 전파관리 필요성 • 희소성 및 배분질서 • 이용자 증가 및 이용 질서 • 국제성 및 혼신 • 전파와 교통과 비교

  5. 2. 전파이용관리의 원칙 • 합리적 관리: RR(국제전파규칙), 전파법령 등 법규 준수 • 효율적 관리: 필요 최소한의 주파수로 최대성과 발휘 • 계획적 관리: 주파수 장기이용계획의 수립 한정된 주파수자원 기술개발 수요예측 주파수이용계획수립 및 분배•할당

  6. ITU (WRC) 업무(지역)분배 국내분배 각 국 주관청 (MIC) 할당(지정) 무선국 허가 3. 전파관리 체계

  7. 전파방송관리국 전파방송기획과 전파감리과 방송위성과 주파수과 지방체신청(8) 전파연구소 중앙전파관리소 지방분소 (10개소) 이천분소 <민간기관>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 국내 전파관리 조직

  8. 국제전파규칙(RR) 전파법 전파법시행령 전파법 시행규칙 무선설비규칙 무선설비형식검정 및 형식등록규칙 전자파적합등록규칙 각종 고시, 지침, 공고 국내 전파법령 체계

  9. 국내 전파자원 이용 체계 • 전파기획/연구 • 중장기 수요예측 • 이용계획 • 전파관리 행정 • 주파수할당, 무선국허가 • 기술기준, 표준화 • 전파관련 산업 및 사업 • 장비설계, 제조 • 서비스제공 정부 산업/사업자 연구소/학계

  10. Ⅱ. 전파이용 현황 및 전망 1. 국내 전파이용 현황 2. 전파이용 기술동향 3. 전파이용의 공통 방향 4. 세계 전파관리 정책동향

  11. 1. 국내 전파이용 현황 단위 : 백만 • ‘95년 약200만개이던 무선국수가 현재 2,700만에 육박 • ‘90년대 중반이후 상업용 무선국 수 급증(95%) - 상업용/자가용 비= 36 : 1

  12. 유선 및 무선 가입자 현황 • 2000년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수 = 2,700백만 • 통계적으로 국민 1.7명이 핸드폰 1대 보유 • 유/무선 가입자 비교(2000년말 기준) • 유선전화 = 2,187만명 • 무선전화 = 2,770만명(이동:2,690만명)

  13. 음성 및 데이터(인터넷) 동향 • 이동통신의 진화 • 1(음성:9.8K) 2(저속D:14.4K) 3(고속D:144/384K) • 무선인터넷 이용 • 세계 이용자 : 99년 4천6백  05년 10억2천만 • 광대역 무선 억세스망 요구 증대 • 불루트스, HiperLAN, 홈랜, BWLL 등 수요 확산 • 광대역위성망 : C(4-6G), Ku(12-14G)  Ka(20-30G)

  14. 국가경제에 전파산업 비중 증대 • 전파방송산업의 GDP 비중 • 전파통신기기 시장 • 생산 1.06%, 수출 3.34%, 고용 0.38% • 2005년 국내시장 20조원 전망(2000년 11.4조) • 2005년 고용인력 약 17만명(99년 11만명)

  15. 2. 전파이용 기술 동향 • 주파수이용 기술 : 다대역화, 고주파화, 광대역화 • 서비스기술 : 멀티미디어화, 개인화, 다양•융합화 • 시스템 기술 : 초고속화, 지능화, 통합화 • 단말기 기술 : 소형화, 안전화, 인간화

  16. 위성 고정통신 사무실 항공 구내 실외 교외지역 선박 차량 기술동향(2) • 유선망과 무선망의 융합 • 글로벌화 • 디지탈화

  17. high Cellular PCS 차세대광대역이동통신 이 동 성 Broadband WLL walking IMT-2000 High speed LAN-II High speed LAN-I movable 100Mbps 전송속도 100K 10K 10M 1M 1GHz 3GHz 20GHz 주파수 대역 기술동향(3) • 무선망 발전 전망

  18. 3. 전파이용의 공통 방향 • 가입자계 네트웍 ====> 무선망 • 이동통신망 ====> 6GHz대역이하 • 멀티미디어 수요 ====> 광대역화 • 전파부족대비 ====> 미 이용주파수 개발

  19. 4. 세계 전파관리 정책동향 • 전파를 국가경제의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 • 전파관리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 공학적 관점(전파간섭의 최소화) → 경제적, 산업정책적 관점(희소자원의 효율적 배분) • 전파자원 관리의 효율성 추구 및 전파관련 정보의 신속제공 • 주파수 배분의 객관성과 효율성 증진 → 할당방식의 개선 추진 • 미국 등은 경매제를 통한 사업용 주파수 할당 추진 • 전파관리정책의 투명성 확보와 이용자 편익 • 전파자원 이용 현황과 절차 공개 추진 • 전파활용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및 규제완화 • 신속한 기술개발과 신규서비스 제공의 촉진 • 주파수 사용의 유연성 부여, 비면허용 주파수 확대 • 무선국 통합허가 추진, 허가업무의 전산화

  20. Ⅳ. 전파자원 이용 발전 대책 1. 목표 및 비전 2. 기본 방향 3. 주요 추진내용 4. 중•장기 주파수이용 방향

  21. 1. 목표 및 비젼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되는 나라 유•무선 네트워크가 잘 구축된 나라 새로운 전파산업 창출이 활발한 나라 New WAVE 기반 달성 • 새로운 무선시장(Wireless Market) 확대 • 새로운 주파수 할당체제(Assignment of Frequency) 구축 • 새로운 주파수 가치(Value of Frequency) 창출 • 새로운 주파수이용 환경(Environment of Freq-Use) 구축

  22. 2. 기본방향 • 전파이용과 기술개발, 서비스 보급 연계 강화 ===> 경쟁력 강화 및 복지 지식정보사회 선도 • 시장 수요에 적극 대처 및 배분 체계 합리적 개선 ===> 전파의 가치 및 생산성 향상 극대화 • 이용자 중심의 주파수 이용 및 정보화 추진 ===> 전파이용 고효율화 및 신규 산업 창출 촉진

  23. 3. 주요 추진내용 • 산업발전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주파수정책 기능 강화 • 시장 중심의 효율적 주파수 분배 및 할당 • 주파수이용 효율성 제고 • 이용자중심의 주파수 관리체계 구축

  24. 4. 중•장기 주파수이용 방향 초고속 무선인터넷 사회구축 미래 이동통신 서비스 고도화 목 표 안전하고 풍요로운 사회 구현 주파수이용 효율 & 가치제고 • ☞ WRC 회의 개최 주기(2-3년)에 맞추어 정기적으로 이용계획 보완•공개

  25. 이용방향(1) • “세계적인 조화, 생활편익 증진, 이용가치 향상” 을 기조로 주파수이용의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 • 복지 지식정보사회에 기반이 되는 초고속 이동인터넷, 공공안전을 위해 - 광대역 주파수 중점 확보 및 이용 지원 • 시장수요, 기술발전 추세, 전파특성을 고려 - 800MHz ~ 6GHz 대역은 이동통신 위주로 이용

  26. 이용방향(2) • 3 ~ 30GHz 대역에 걸쳐 산만하게 사용되는 고정 M/W 중계시설은 광통신 및 위성망 확산, 경제성, 수요를 고려 - 타 통신망으로 대체 또는 6GHz이상 대역으로 재배치 • 다양한 무선응용기기 창출을 위해 - 소출력 주파수 이용제한을 대폭 완화 • 전파 이용효율 제고를 위해 - 디지털화, 협대역화 등 신기술의 개발•적용 강화 • 주파수이용의 국가 산업•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 위해 - 주파수와 연동한 표준화 및 기술개발 강화

  27. Ⅳ. 5GHz대역의 주파수 이용 정책 방향 1. 5GHz대의 이슈 배경 2. 5GHz 주파수이용 현황 3. 향후계획

  28. 1. 5GHz대 이슈 배경(1) • ITU • WRC-2000 회의에서 5.150-5.350GHz 및 5.470-5.725GHz대역을 세계공통으로 무선LAN 등 고정접속시스템(FAS)용으로 분배검토 결정 • 각 국은 WRC-2003 회의에서 분배될 것으로 전망 - 무선LAN을 포함한 무선접속망으로 활용 기대 • 미국 • 초고속 무선접속인프라(NII) 구축을 위해 주파수분배 사용중 ※ U-Nll : 5150-5250, 5250-5320, 5725-5850MHz

  29. 5GHz대 이슈 배경(2) • 유럽 • ERC는 무선멀티미어 활용을 위해 5GHz대역을 검토중 - 5.15-5.250GHz : HiperLAN-1 - 5.250-5.350, 5.470-5.725GHz : HiperLAN-2 • 일본 • 데이타통신을 위해 5.15-5.250GHz대역을 할당하고 추가적으로 검토중 - 5.250-5.320, 5.725-5.850GHz

  30. 5GHz대 이슈 배경(3) • 국내 • 5GHz 대 주파수를 이용하는 접속사업 요구 증대 • 통신사업자 및 제조업체 등 관심 고조 - 무선인터넷 사업 : 5GHz대 주파수 사용희망 ※ 물리적 특성이 무선접속망용으로 사용에 적합 - 부분적 이동성(semi-mobile) 가능 - 초고속(최대 54Mbps) 전송가능 - 회절성 강함• 강우감쇄 적음 - 옥내•외 장소에서 이동 가능

  31. 항공항행 고정위성. 무선표정 지구탐사위성 우주연구 항공무선항행 지구탐사위성 무선표정 무선항행 무선표정 해상무선항행 무선표정 무선표정 아마추어 우주연구 무선표정 아마추어 아마추어위성 분배현황 U-NII(200MHz) U-NII(100MHz) • 미국 HIPERLAN (200MHz) HIPERLAN (255MHz) • 유럽 R- LAN (100MHz) BMAS (100MHz) FWA (검토중) • 일본 종합 연구중 종합 연구중 R- LAN (100MHz) • 한국 5150 5250 5350 5470 5550 5570 5725 5825 MHz *U-NII : Unlicensed-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HIPERLAN: High Performance LAN *BMAS : Broadband Mobile Access System 2. 5GHz대역 주파수이용 현황(1)

  32. 5GHz대역 주파수이용 현황(2) • 국내 5GHz대 사용현황 • 기상레이더, 선박레이더, 국가 레이더용 • 방송사의 M/W 중계용 등으로 사용중 • 무선접속망 등 활용을 위해서는 5GHz대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 • 기존 업무와 공유 가능 여부 ? • 공유 불가한 기존업무의 주파수대역 이전여부? • 무선접속망에 필요한 적정 대역폭은 ?

  33. 3. 향후계획(1) • 5GHz대 주파수 이용 연구 지속 추진 • 전파연구소를 중심으로 산.학.연 전문가들 하여금 주파수이용방향 연구로 합리적인 결과 도출 유도 • 필요할 경우 시범구역 및 대역 선정 연구 • 2002년까지 연구완료 • 기존 업무와의 전파간섭 및 공유 방안 • 적합한 5GHz대 무선접속망용 주파수 대역 및 대역폭 도출 • 연구결과 를 토대로 국내 주파수이용정책 수립 • 주파수 분배 및 할당 계획 등

  34. 향후계획(2) • 주요 정책 과제 • Unlicense or License ? • License 의 경우 몇 개 사업자에게 할당할 것인가 ? • 사업자당 적정 소요 주파수폭은 ? • 할당 대가 산정?

  35. 감사합니다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