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likes | 324 Views
건즈 패치과정. 컴파일 작업 리소스 카피 - copy_runloc.bat, copy_share.bat , copy_xtrap.bat( Xtrap 경우 ) 3) 암호화및 퍼블리싱 - NPGE( 게임가드 , 미국 . 일본 ), Xprotect ( Xtrap , 한국 . 브라질 ) - Xtrap 의 경우 pubilsh.bat 과정에 자동으로 되있음 - 게임가드의 경우 직접 npge 로 인크립트 한후 publish.bat 실행해야함 패치될 파일 찾기
E N D
건즈 패치과정 • 컴파일 작업 • 리소스 카피 • - copy_runloc.bat, copy_share.bat , copy_xtrap.bat(Xtrap경우) • 3) 암호화및퍼블리싱- NPGE( 게임가드, 미국.일본 ), Xprotect( Xtrap, 한국.브라질) • - Xtrap의 경우 pubilsh.bat 과정에 자동으로 되있음 • - 게임가드의 경우 직접 npge로 인크립트한후publish.bat 실행해야함 • 패치될 파일 찾기 • - UpdateBuilder를 이용한 다른파일 비교하여 패치될 파일들을 찾는다. • 5) 패치 파일 준비하기 • - 건즈런쳐일 경우 ( 미국,브라질) • ZPatchBuilder로 파일정보 patch.xml 에 저장하기 • - 퍼블리셔런쳐( 한국,일본) • 바뀐바일들을 각퍼블리셔의 정책에 따라 준비
건즈런쳐 패치과정 흐름도 리얼 서버에 접속해 현재서비스 중인 건즈(1) 받고 순수 건즈 클라 파일만 남기고 다 지운다. 패치가 끝난후(5)번폴더는폴더명을 날짜로 바꾸어 건즈데이타서버에 올린다. 현재서비스 중인 건즈(1)에 바뀌게될 리소스파일(2) 과 리소스가 아닌 파일(3)을 합치면 새로운 건즈클라이언트 폴더(5)된다. (5)폴더에서 Zpactch Builder를 실행한다. Patch.xml(4) 바뀌어야 될 리소스 파일들은 Update.mrs(2)로 만든다. 새로 빌드된건즈(0) UpdateBuilder (3) 리소스가 아닌 가야 할파일 (Gunz폴더의 파일들) 파일서버 패치파일: (2) + (3) + (4)
퍼블리셔런쳐 패치과정 흐름도 리얼 서버에 접속해 현재서비스 중인 건즈 받고 순수 건즈 클라 파일만 남기고 다 지운다. 패치가 끝난후(0)과 (2)번을 합쳐 폴더명을날짜로 바꾸어 건즈데이타서버에올린다. 바뀌어야 될 리소스 파일들은 Update.mrs(2)로 만든다. 패치파일: (2) + (3) 퍼블리셔 전달 새로 빌드된건즈(0) UpdateBuilder (3) 리소스가 아닌 가야 할파일 (Gunz폴더의 파일들)
1. UpdateBuilder • UpdateBuilder는 두 Gunz파일들을 비교해서 바뀐파일만 뽑아주는 프로그램이다. 이 때 바뀐 파일들을 확인하고 바뀐 리소스 부분이 그 파일의 원래 mrs에서 작은 부분일 경우 Update1~ UpdateXX번까지로 압축한다음mrs패키징하여패치될 파일로 한다. 바뀐 리소스 부분이 그 파일의 원래 mrs에서 많은부분을 차지하면 이때는 Update.mrs 에넣지 않고새 빌드버전에서 직접 해당 mrs파일을 패치파일로 나가 바꾸어 준다. • UpdateX.mrs 파일: 건즈는모든 리소스 파일을 검색할때 해당파일을 자신의 폴더가 압축된 mrs가 아닌 Update.mrs 를 먼저 뒤진후 그곳에서 찾으면 자신의 폴더mrs를 찾지않는다. 그렇기때문에바뀐 파일을 Update.mrs 에 넣으면 바뀐파일을 건즈가 읽게 된다. • 주의할 점: RAS 암호화한 파일들(.mef) 은 빌드가 나갈때마다 암호화를 하기때문에 내용이 바뀌지않아도 언제나 바뀐파일로 나온다.
2. ZPatchBuilder & GunzLauncher • ZPatchBuilder를 실행시Local 폴더에서 부터 하위폴더의 모든 파일 ( 나라별로 몇몇확장자파일은 제외된다.) 의 용량과 CRC 값을 patch.xml 파일로 저장한다. 이것은 Gunz파일과 함께 파일서버에 올라간다. • GunzLauncher를 실행하면 ZPatchBuilder와 마찬가지로 Local 폴더에서 부터 하위폴더의 모든 파일의 용량과 CRC를 구하여 patch.xml 을 만들고 파일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서버에 있는 빌드당시의 파일구조와 자신의 현재 실행되면서 만든 patch.xml 을 비교하여 파일서버의 파일들을 동일하게 맞춘다.
3. NPGE 인크립트하기 • ID: NPGE • PW: NPGE!@# • 미국: Runtime\NPGEClient.exe • 일본: Runtime\NPGEClient_JP.exe • 로그인후 level2 check 하고 Dllcenyption & radata protection 체크한다. • 암호화될 건즈 파일을 선택한후waiting for game executing 이 되면 게임실행 • 게임실행후 바로 나오면 암호화성공메세지창을 닫고 암호화된 gunz.exe 와 암호화 전파일인 gunz.exe.bak파일이 생성됨 • 암호화는 게임을 실행만하면 되므로 실행되는 건즈폴더를 복사하여 exe파일만 바꾸고 npge로 인크립트한후 실행시킨다. 그리고 게임을 시작하지않고서버고르는 화면에서 그냥 나오면 인크립트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