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likes | 227 Views
2011 Fall Seminar on Technological Innovation. When are technologies disruptive? A demand-based view of the emergence of competition RON ADNER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3, 667-688(2002). 2011.10. 19 김정현 , 고윤미. Summary. How to get the disruptive technology?. …. …. ….
E N D
2011 Fall Seminar on Technological Innovation When are technologies disruptive? A demand-based view of the emergence of competition RON ADNER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3, 667-688(2002) 2011.10. 19 김정현, 고윤미
Summary How to get the disruptive technology? … … …
Discussion #1 • □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sruptive technology • 일반적으로 Disruptive Technology는 “와해성(혁신) 기술. 업계를 완전히 재편성하고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게 될 신제품이나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정의에 비추어 볼 때, Disruptive Technology라고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은 무엇인가? Disruptive Technology를 Dominant Technology로 정의할 수 있을까? • 본논문에서는 Disruptive Technology의 동적 특성을 크게 3가지 정도로 언급하고 있다. 과연 Disruptive technology는 항상 low performance로 시작되는가? 기존의 market을 침범하여 다른 기술로 대체되면 이것이 disruptive technology인지(Amazon.com, digital camera, DVD)? • Technology이 본질적으로 disruptive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인가? 아니면 disruptiveness는 기술변화에 직면한 기업 관점에서의 개념인가? • Disruptive Technology는 Demand Structure 안에서만 설명될 수 있을까? Technological disruption 영향은 market segment의 구조에 의존하는가? 다른 영향 요소나 설명 가능한 개념들에는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 • - size, heterogeneity, evolution
Discussion #2 • □ Failure or success of incumbents • 기존 기업이 적정한 시점에 Disruptive Technology에 대응하지 못한 경우에는 언제나 실패하는 것일까? 반대로 늘 성공할 수 있을까? 그리고 언제나기존 기업은 disruptive technology에 대해 회의적인가? • - resource allocation process(organizational resources, processes, values) • - disruptive technology를 가진 진입 기업이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 기존 기업이 disruptive technology에 직면하게 되었다면, 기업의 성패를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까? • □ Merits of being customer-oriented under disruptive technological change • 고객 중심의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서 기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기업의 생존력은 고객 중심 정도와 비례할 수 있는가? Technological disruption에 대한 적응 또는 방해요소로서 customers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 - current customers,potential customers, lead customers의 구별 • Technologically inferior 또는 sufficiently lower unit price이라고 해서 항상 core market을 점유하는 것인가?
Discussion #3 • □ prediction of disruptive technological change •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Simulation Model을 통해서 Disruptive Technology의 등장 시점 등에 대해서 예측이 가능한가? 산업별로 적용 가능/불가능한 경우가 있다면 어떤 것일까? 고객과 경쟁자를 예측하는 것으로 기술 예측이 가능한가? • - analytical research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