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likes | 1.23k Views
치면열구전색. 치면열구전색. 구치 교합면의 좁고 깊은 소와나 열구를 복합레진으로 전색하여 우식증을 예방하는 술식. 치면열구의 개발과정. 1895 wilson 치과용 cement 을 사용 1929 bodecker 법랑 질 성형술 round bur 를 이용하여 깊고 좁은 열구를 넓이는 술식 1923, 1936 hyatt 우식증 전에 소와와 열구를 미리 삭제하고 충전 그 이후 염화아연 , 황시안칼륨 , 질산은 , 동아말감 등을 이용하였지만 효과적이지 않음
E N D
치면열구전색 • 구치 교합면의 좁고 깊은 소와나 열구를복합레진으로 전색하여 우식증을 예방하는 술식
치면열구의 개발과정 • 1895 wilson치과용 cement을 사용 • 1929 bodecker 법랑질 성형술 • round bur를 이용하여 깊고 좁은 열구를 넓이는 술식 • 1923, 1936 hyatt우식증 전에 소와와열구를 미리 삭제하고 충전 • 그 이후 염화아연, 황시안칼륨, 질산은, 동아말감 등을 이용하였지만 효과적이지 않음 • 1960 후반; resin을 전색제로 사용
Filling vs sealant • 충전 ( filling ) • 우식이 진행된 치질을 삭제하고 와동 형성 후 충전제를 채워 넣는 치과술식 • 전색 ( sealant ) • 우식이 없는 건전치질의 소와와열구를 치질 삭제 없이 전색재로 메워주는 예방적 술식
치면열구전색의 대상치아 • 적응증 • 좁고 깊은 소와 열구을 가진 치아 • 충전된 소와가 아닌 다른 소와 • 맹출된 치아 • 우식증이 우려되는 건전치아 • 초기 우식병소가 있는 경우 • 설측, 협측의 소와
비적응증 • 시술 과정 중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 우식병소가 있는 와동 • 수복 시 전색제의 손상이 예상되는 경우 • 얕고 넓은 소와, 열구
대상자 • 유치 완성(만 3세)~영구치열 완성 (만 15세) • 25세 청소년, 청년도 대상 • 우식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 • 설탕 자주 섭취 • 구강건조증 • 교정장치 장착자 • 정신박약 및 지체부자유자
전색재의 종류 • 광중합형전색재 • 전색 후 광조사을 실시 하여야 중합됨 • 중합시간이 짧고, 압축강도 좋으며, 활택한 면을 가짐 • 자가중합형전색재 • monomer와 catalyst을 혼합하면 중합이 개시됨 • 경화시간은 3~5분
유색 전색재 • 전색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 • 유치에 적용 • 투명 전색재 • 심미적 • 청소년, 영구치에 사용
광조사기 • 400 ~ 500 mm의높은 강도 광원 사용 • 푸른색 필러를 사용 or 푸른색 LED 사용 • 무선, 유선 광조사기 • 조사시간은 20~30초 • 도포된 전색재와2~3mm 위에서 직각으로 조사
전색 과정 • 치면 청결 • 치아격리 • 치면건조 • 산부식 • 세척 • 건조 • 전색재 도포 • 경화 ( 광조사) • 교합 및 검사
개량전색과정 • 진행 중인 우식병소의 경우 충전치료 • 우식병소가 아주 얕고 작은 부위에 국한된 초기 우식의 경우 우식병소 제거 후 전색 • 우식병소 삭제 후 복합레진으로 충전 후, 복합레진 위에 전색재를 도포
G I ( glass ionomer )를 이용한 전색 • 우식병소 삭제 • 충전용 G I 를 우식와동에 충전 • 전색용 G I 를 충전재 위에 전색
glass ionomer • Type I – For luting cements (접착용) • Type II – For restorations • Type III – Liners and bases • Type IV – Fissure sealants • Type V – Orthodontic Cements • Type VI – Core build up
전색상태 평가 • 탐침을 사용하여 전색재변연이 매끄럽지 않거나 탈락 유무를 탐지하여 평가한다 • 탈락된 경우 재도포한다 • 3~6개 주기로 구가검사를 통하여 검사
전색재 유지 요구조건 • 치아 표면과 접촉면적을 증가 • 산부식처리 • 깊고 불규칙안 소와나 열구일 수록 유지력이 높다 • 법랑질 표면이 청결 • 도포 전에 충분한 건조되야 함 • 전색재는 교합되지 않도록 한다
우식예방효과 • 65 ~ 90 % 우식예방효과 • 치면세균막 관리, 불소도포, 식이조절 등을 병행하여 적용한다면 더 높은 치아우식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