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likes | 176 Views
Exposure Assessment. 현재 존재하는 원인물질에 대한 인간 또는 인체 노출의 강도 , 빈도 , 기간 및 노출경로를 평가하고 환경으로 방출되는 새로운 화학물질들로부터 발생 가능한 노출평가 1) 잠재노출인구의 확인 2) 잠재노출경로의 확인 3) 노출농도 측정 4) 화학물섭취량 측정 - 인체 섭취방법 : 섭취 , 흡입 , 피부접촉 - 일일 섭취량 산정 평균시간 (AT): 발암물질 ; 70yr X 365d/yr 비발암물질 ; 노출시간 yr X 365d/yr.
E N D
Exposure Assessment • 현재 존재하는 원인물질에 대한 인간 또는 인체 노출의 강도, 빈도, 기간 및 노출경로를 평가하고 환경으로 방출되는 새로운 화학물질들로부터 발생 가능한 노출평가 1) 잠재노출인구의 확인 2) 잠재노출경로의 확인 3) 노출농도 측정 4) 화학물섭취량 측정 - 인체 섭취방법 : 섭취, 흡입, 피부접촉 - 일일 섭취량 산정 평균시간(AT): 발암물질; 70yr X 365d/yr 비발암물질; 노출시간yr X 365d/yr
Toxicity assessment • 발암물질과 비발암물질 다른 형태의 독성반응 → 다른 형태의 위해성모델 • 독성 평가의 문제점 • 인체에 대한 독성 평가의 문제점 (동물실험) • 동물실험의 결과를 사람에게 적용할 때 두 가지의 안전인자 필요 • 동물데이터를 인간에게 적용한 데에서의 불확실성 • 인간 집단 내에 존재하는 독성에 대한 민감도 변이 • 저농도 장기노출에 대한 독성평가 (고농도 단기실험) • 고농도 평가결과를 외삽(extrapolation)하여 저농도 독성 추정 • 독성 정도는 시간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
Risk characterization • 최대노출과 평균노출을 각각 사용 • 발암위해도 결정 일생동안 암에 걸릴 확률 = I x SF • 비발암 위해성 위험도 지수 = I / RfD 위험도 지수가 1 이하면 : 허용가능 • 복합 위해성(다수의 대용물질 존재할 경우) 총 발암위해도 (개별 물질별 발암율을 더하기) 총 위해도 지수 (개별 물질별 위해도 지수 더하기 : 총 위해도 지수가 1 이하인 경우 수용가능) 불확실성 : 잠재적 synergy 효과 배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