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Ch.23 Anesthesia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Ch.23 Anesthesia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전공의 1 년 노지성. Introduction. 마취 동안 과 수술 후 에 이미 존재하던 pulmonary disease 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 Pulmonary risk factors 6 risk factors Atelectasis, pneumonia, pulmonary embolism, respiratory failure 가능성이 꽤 높다 .

espen
Download Presentation

Ch.23 Anesthesia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Ch.23 Anesthesia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전공의 1년 노지성

  2. Introduction • 마취 동안 과 수술 후 에 이미 존재하던 pulmonary disease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 Pulmonary risk factors • 6 risk factors • Atelectasis, pneumonia, pulmonary embolism, respiratory failure 가능성이 꽤 높다. •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2가지 가장 강한 predictors는 op site와 dyspnea 기왕력이다. • Smoking은 MMEF rate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키는 초기반응을 나타냄 • PFT는 흡연자에게 시행하여 pulmonary compromise를 가정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pulmonary disease와 closing capacity가 증가한다. • Obesity: FRC감소, WOB증가, DVT가능성 증가 • Diaphragm근처의 수술은 diaphragmatic dysfx.과 restrictive ventilatory defect를 초래하여, FRC를 감소시키고, microatelectasis, loss of lung volume을 일으킨다.

  3.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Asthma, emphysema, chronic bronchitis, cystic fibrosis, bronchiectasis, bronchiolitis 를 포함한다. • 처음 보이는 특징은 resistance to airflow이다. • MMEF(FEF25-75%)<70% : 초기 나타나는 abnormality • 정상적으로 남자는 >2.0 ,여자는 >1.6L/s • FEV1, FEV1/FVC 둘 다 70% 아래로 떨어진다. • Airway resistance 와 air trapping • V/Q imbalance를 증가시킨다. • residual volume, TLC 모두 증가한다. • Progressive obstruction시 처음엔 expiratory wheezing이 생기며, 진행되면 insp.and exp. Wheezing이 생긴다.

  4.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Asthma Preoperative consideration • 5-7%유병률이며 , • Airway inflammation, hyperreactivity, generally reversible이라는 세가지를 특징으로 한다. • Airborne substance, pollens, animal danders, dusts, pollutants등에 의해 촉진되고 , • 일부 환자에서는 aspirin, NSAID, sulfiting agents, tartrazine등에 의해 develop 된다. • Exercise, emotional excitiement, viral infetions 또한 bronchospasm을 촉진한다. • Extrinsic (allergic) asthma와 intrinsic asthma로 나뉘는데 많은 환자에서 두가지 특징을 함께 보이며, chronic bronchitis와 흔히 overlap 된다.

  5.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Asthma • Pathophysiology • 부교감신경의 과민반응에 의해 bronchial mast cell에서 chemical mediators를 내서 bronchospasm을 일으킨다. • Classic allergic asthma에서는 mast cell 표면의 IgE에 Ag이 붙어 degranulation histamine을 방출하여 bronchoconstriction • 부교감신경은 bronchial tone을 유지하는데 주요 역할을 하며 , diurnal variation이 있다. • 아침 6시에 peak airway resistance를 보인다. • Bronchi에 있는 Vagal afferents는 histamine, cold air, inhaled irritants, instrumentation에 sensitive하여, reflex vagal activation이 bronchoconstriction을 초래한다. • Asthma attack시, Bronchoconstriction, mucosal edema, secretion이 lower airway의 resistance to gas flow 를 증가시킨다. • phagocytose된 allergen 중 소화되지 못한 allergen이 mast cell에 있다가 이후에 degranulation을 일으켜 재발 • Attack이 해결됨에 따라 모든 기능이 정상으로 reversible된다. • Prolonged or severe attack은 WOB 증가시키고, hypoxemia, tachypnea, hypocapnia 를 보이며, PaCO2가 정상이거나 높다면 환자는 더 이상 WOB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 Pulsus paradoxus와 ECG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6.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Asthma • Treatment • B-adrenergic agonist, methylxanthines, glucocorticoids, anticholinergics, leukotriene blockers, mast cell stabilizing agents • Prevention: cromolyn sodium, nedocromil • Sympathomimetics가 가장 효과적 • b2 agonist로 bronchodilation : terburaline , albuterol by metered dose inhaler or aerosol • Theophylline 는 narrow therapeutic range(10-20ug/mL)를 가지므로 주의. • Glucocorticoid : 급성치료에 쓰이며, beclomethasone, triamcinolone, fluticasone, budesonide가 있다.

  7.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Asthma - anesthetic considerations Anesthetic considerations • Preoperative management • 최근 course of disease와 acute attack으로 입원 여부 등을 중점을 두어 평가해야 한다. • Dyspnea, wheezing ,medication하고 있는지 , 얼마나 자주 attack이 오는지 Clinical history 가 중요하다. • Chest PA로 air trapping이 있는지 본다. • PFTs(FEV1,FEV/FVC)로 clinical impression을 확인한다. • 과거 PFT 검사와 비교도 중요하다. • attack이 온 환자가 응급 수술해야 할 때, aerosol b2-agonist 나 IV steroid 주고 reversible 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 ABGA를 해봐야 한다. • Premedication : • Elective surgery 시에는 BDZ으로 어느정도 preop sedation하는게 유용하다. • 다량의 secretion이 없다면 anticholinergic agent를 주지는 않는다. • H2blocker (such as 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는 해롭다. • Bronchodilator는 수술 시작 때까지 계속 주어야 한다. • Long term glucocorticoid를 투여 받은 환자에겐 adrenal suppression되어 있어서 수술전 Hydrocortisone (50-100mg)주고, 수술 후 8시간마다 100mg씩 준다.

  8.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Asthma - anesthetic considerations • Intraoperative management • 가장 치명적일 때는 instrumentation 할 때이다. • 얕은 전신 마취시 Emotional stress , pain, stimulation이 bronchospasm을 촉진한다. • Histamine release 와 관련된 약은 피해야 한다. • Curare, atrcurium, mivacurium, morphine, meperidine, thiopental • Succinylcholine은 때로 marked histamine release일으키나 대부분 천식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된다. • 목표는 Smooth induction과 emergence 그리고 stiumulation에 적응할 수 있는 깊은 마취이다. • Propofol 과 etomidate가 적당하다. • Halothane, sevoflurane 은 어린이에게 bronchodilation으로 smooth induction하게 함 • Desflurane, isoflurane은 기도에 mild irritant effect가 있다. • Reflex bronchospasm : intubation 전에 2-3 MAC으로 volatile inhalation 하면서 추가로 thiopental 1~2mg/kg투여나 IV lidocaine (1~2mg/kg)으로 blunted 된다. • Tidal volume은 10ml/kg이하로expiratory time을 연장하여 양 폐로 gas flow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 air trapping을 피한다. • Intraoperative bronchospasm • Wheezing이 들리고, Peak pressure 가 증가하고, expiratory tidal volume이 감소하면서 capnograph에서 rising waveform이 나타난다. • 치료 : volatile gas를 증가시킴 • B agonist by aerosol, IV hydrocortisone(1.5-2mg/kg) • 다른 원인 생각: tracheal tube 막힘, bronchial intubation등 • Deep extubation, lidocaine (1.5-2mg/kg) bolus가 도움이 됨

  9.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hronic obstuctive pulmonary disease Preoperative considerations • Cigarette smoking과 관련되어 있고 asymptomatic하거나 mildly symptomatic하지만 PFT상 expiratory airflow obstruction이 나타난다. • 대부분 obstruction은 bronchodilator에 의해 reversible된다. • Chronic bronchitis 와 emphysema로 분류된다. • Chronic bronchitis • 정의 : 적어도 2년간 3달 연속된 productive cough • Hypertrophied bronchial mucous glands 와 mucosal edema 로 인해 airflow obstruction을 일으킴 • Recurrent pulmonary infection 이 흔하고 bronchospasm 과 관련되어 있다. • RV는 증가하지만 TLC는 정상이다.

  10.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hronic obstuctive pulmonary disease • Emphysema • Terminal bronchiole에서 distal쪽으로 airway의 irreversible enlargement 와 destruction of alveolar septa를 특징으로 한다. • CT로 진단할 수 있고 항상 cigarette smoking과 관련되어 있다. • Elastic recoil이 소실되어 expiration시 premature collapse가 나타난다.  RV, FRC, TLC, RV/TLC ratio 모두 증가 • Alveolar septa 에서의 pulmonary capillary의 파괴로 DLCO capacity가 감소하고, pulmonary HTN 을 일으킨다. • Large cystic areas 나 bullae로 인해 Dead space의 증가되어 있다. • PaO2 가 약간 감소하거나 정상이고 PaCO2는 정상이다. • Treatment • 주로 대증 치료를 함 –금연이 중요 • Reversibility가 증명된 사람에게 long term bronchodilator를 사용-inhaled b2 adrenergic agonists, glucocorticoids, ipratropium이 매우 유용 • 악화된 경우: 발작과 sputum 변화로 알 수 있다.-antibiotics가 필요 • Hypoxemia있는 환자에겐 supplemental oxygen으로 치료 • PaO2가 55mmHg 이하이고 pulmonary hypertension이 있는 경우 low-flow oxygen therapy (1~2L/min) • Oxygen therapy는 PaCO2를 위험할 정도로 올림-PaO2를 60mmHg이상으로 올리면 respiratory failure를 촉진한다. • Hypoxic vasoconstriction을 없애므로 low V/Q 영역에 blood flow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shunt가 오히려 더욱 증가 • Cor pulmonale로 pulmonary edema가 생기면 diuretics 사용

  11.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hronic obstuctive pulmonary disease Anesthetic considerations • Preoperative management • 최근 dyspnea, sputum, wheezing의 변화가 있는지 물어봐야 함 • FEV1<25% (<1L) 이면 조금의 움직임에도 dyspnea가 생기는데, chronic bronchits에서 많고 CO2 retention, pulmonary HTN과 연관되어 있다. • PFTs, CXR, ABGA를 측정해야 함 • Bullous change가 있는 경우,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며, • 많은 환자들이 cardiac disease를 가지고 있어 주의 깊은 cardiovascular evaluation을 해야 함 • Asthma와는 대조적으로, preoperative preparation후에도 오직 한정된 호흡개선이 있을 뿐 –그럼에도 불구하고 hypoxemia,relieving bronchospasm, reducing secretions, mobilizing, treating infection 이 중요 • 술 후 ventilation의 가능성이 필요한 경우 환자와 surgeon과 상의 • 담배는 6~8주 전에 끊으면 술 후 폐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24시간 동안 금연만으로도 methemoglobin의 생성을 방지하여 Hb의 oxygen – carrying capacity 에 이론적인 이득효과가 있다. • Chest physiotherapy와 antibiotics도 secretion을 줄이는 데 이익이 된다. • Bronchodilator(bronchospasm), glucocorticoid(severe disease),oxygenation(pulmonary HTN), periop digitalization(cor pulmonale, Rt ventricular failure)

  12.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hronic obstuctive pulmonary disease • Intraoperative management • general 보다 Regional anesthesia를 선호 • 그러나, high spinal or epidural anesthesia는 lung volume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조근사용을 제한시켜서, dyspnea와 secretion 저류를 일으킨다. • Chest의 proprioception의 상실과 unusual positioning은 awake 상태에서 dyspnea를 가속화시킨다. • Preoxygenation이 중요하고 Anesthetic agents 선택은 asthmatic patient와 비슷 • Moderate and severe disease를 가진 환자는 심한 expiratory obstruction이 보일 수 있다. • Ventilation : TV를 적게 하고 slow rating 시킨다.  air trapping을 피할 수 있다. • Humidified gas를 사용해야 하고, NO는 피해야 한다.; bullae나 pul. HTN 가진 환자에서 : pneumothorax , elevation in pulmonary artery pressure 일으킴 • 광범위한 복부수술, 모든 흉부 수술 시 ABGA 중요함 • Ventilation은 arterial pH 를 정상으로 유지하는데 사용해야 한다. • PaCO2를 정상화시키면 수술 전 CO2 retention 된 상태에서는 alkalosis를 초래 한다. • CVP monitoring- pulmonary HTN시에 • Pulmonary bullae를 가진 환자에서 positive pressure를 주면 기흉이 생길 수 있다. • Tension PTx는 저혈압, 저산소증, peak Paw의 증가,TV감소를 특징으로 한다. • 가능성이 높으면 2nd intercostal space의 midclavicular line 에 intercather 를 위치해야 한다. • 발관 시간 : Early extubation 이 이득이다.

  13. Restrictive pulmonary disease • Lung compliance의 감소가 특징-lung vol.이 감소, WOB증가 • FEV1과FVC가 감소하나, FEV1/FVC는 정상 • Acute and chronic intrinsic pulmonary disorders와 extrinsic disorder (pleura, chest wall, diaphragm, or neuromuscular function)를 포함한다.

  14. Restrictive pulmonary diseaseAcute intrinsic pulmonary disorders • ARDS, infectious pneumonia, aspiration pneumonitis • Preop. Consideration • Due to an increase in extravascular lung water • ARDS에선 Fluid overload, permeability증가가 보임 • Anesthetic considerations • Preop management • Oxygenation, ventilation 해야함 • Fluid overload diuretics • HF inotropics • Large pleural effusion drainage • Persistent hypoxemia PEEP • Intraop management • IV and inhalation agents 혼합과 NMBA 를 쓴다. • High oxygen with PEEP Paw 는 30이하로 • TV 4~8ml/kg , ventilatory rate  14~18회/min • Aggressive hemodynamic monitoring

  15. Restrictive pulmonary diseaseChronic intrinsic pulmonary disorders • Interstitial lung disease라고 도 함 • 특징: insidious onset, chronic inflammation, progressive pulmonary fibrosis • 원인: 과민성 폐장염,drug toxicity,radiation pneumonitis,idiopathic , autoimmune,sarcoidosis, chronic pulmonary aspiration, oxygen toxicity, severe ARDS • Preop. Considerations • 전형적으로 dyspnea on exertion, 때때로 nonproductive cough • 증상: cor pulmonale ,P/E : fine crackles, CXR: ground-glass • 치료: disease process를 줄이고, further exposure를 예방한다. Glucocorticoid, oxygen • Anesthetic considerations • Preop management • Underlying disease process와 pulmonary impairment 정도를 결정하는데 초점을 둔다. • PFTs, ABGA, VC(15mL/kg이하면 severe dysfunction을 의미함.) • Intraop management • Control ventilation 필요: Drug selection 보다 중요  FRC가 감소하면 induction후 rapid hypoxemia 온다. • Oxygen에 민감해서 최소 산소농도가 적합(SpO2>88~92%정도만) • Smaller TV with a faster rate

  16. Pulmonary embolismPreop considerations • Blood clots, fat, tumor cells, air, amniotic fluid, or foreign material 이 venous system으로 들어와서 생긴다. • 하지로부터 오는 blood clots이 종종 원인이 된다.

  17. Pulmonary embolismPreop considerations • Pathophysiology • Embolic occlusion 은 dead space 증가 • 총괄적으로 pulmonary shunt와 hypoxemia를 증가시킴 • Affected area는 surfactant를 잃어 1~2일 내에 atelectasis 가 되고 만약 큰 vessels에 침범한다면, pulmonary infarction이 발생 • 전에 건강했던 환자는 50%가 막혀야 pulmonary HTN이 생기고 ,전에 cardiac or pulmonary disease를 가졌던 환자는 그보다 조그만 양에도 pulmonary HTN이 생길 수 있다. • Thrombus는 대개 1~2주 후 소실되기 시작한다. • Diagnosis • Sudden tachypnea, dyspnea, chest pain, hemoptysis( infarction의미) • Wheezing, ABGA상 hypoxemia with respiratory alkalosis • CXR: wedge shaped density with an infart • Cardiac sign: tachycardia, wide fixed splitting of S2, hypotension with elevated CVP(Rv failure나타냄) • ECG: tachycardia, new right axis deviation, RBBB,tall Twave • Pulmonary angiography(most accurate),perfusion &ventilation scans

  18. Pulmonary embolismPreop considerations • Treatment • Best treatment : prevention • Heparin 5000U subcu. every 12hr(high risk) • Warfarin, aspirin, or dextran therapy • Early ambulation, elastic stockings, pneumatic compression • Warfarin 은 3~12개월 동안 꾸준히 • Thrombolytic therapy 의 Cix • Massive pulmonary embolism or circulatory collapse, 최근 수술, active bleeding • 이경우에는 IVC umbrella filter사용

  19. Pulmonary embolismAnesthetic considerations • Preop management • Anticoagulants로 pulmoanry function은 거의 정상이 된다 • Intraop management • Vena cava filters는 sedation하에서 해야함 • 모든 anesthetic agents에 민감함 venous return 줄어들어 hypotension이 생김 • Anestheia의 선택은 확실한 선택은 없으나 regional anesthesia는 수술 후 DVT의 발병률을 줄인다고 하나 bleeding time이 늘어난 경우에는 C/I이라고 한다. • Pulmonary embolectomy •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all anesthetic agents 는 모두 poor tolerated 함 • opiod, etomidate, ketamine 을 small dose로 사용해야 하고 , CPB가 필요함 • Intraop pulmonary embolism • Significant pul. Embolism은 드물고 진단하려면 high suspicion이 필요하다 • Air embolism은 흔하나 보통 간과되고, 정형외과 수술 시 fat embolism이 발생할 수 있다. • Amniotic fluid embolism은 드물고 예상하기 힘들고 치명적이다. • Thromboembolism은 수술이 지연될 때 생길지 모른다.: 이미 있던 clot이 surgical manipulation, position change에 의해 떨어져서 생길 수 있다. • 갑작스럽게 hypotension, hypoxemia, bronchospasm이 온다. • TEE가 도움이 되고 만약 air가 Rt. Atrium에서 발견되면 응급 central venous cannulation 을 하여 공기를 aspiration 해야 한다. • 다른 모든 emboli의 치료는 supportive하며, IV fluid, inotropes,를 사용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