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likes | 367 View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제 6 주 ). Alternative Views of Reality II: Cultural Values. Alternative Views of Reality II: Cultural Values. 6 주차 수업목표 : 문화적 패턴을 분류한 Hall 과 Ting-Toomey 의 문화이론을 이해하고 문화적 패턴과 의사소통방식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이해함 . 수업내용 : Hall 의 Context Orientation 에 대해 알아봄 .
E N 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제6주) Alternative Views of Reality II: Cultural Values
Alternative Views of Reality II: Cultural Values • 6주차 수업목표: 문화적 패턴을 분류한 Hall과 Ting-Toomey의 문화이론을 이해하고 문화적 패턴과 의사소통방식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이해함. • 수업내용: • Hall의 Context Orientation에 대해 알아봄. • Ting-Toomey의 개념 중 face와 facework에 대해 알아봄. • 영상물: ‘동과 서 – 명사로 세상을 보는 서양인, 동사로 세상을 보는 동양인’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Hall’s High-Context & Low-Context Orientations • Hall의 분류의 전제: 문화의 기능 중 하나는 인간과 외부 세상 간에 고도의 선택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임. 문화는 우리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과 무시해야 하는 것을 여러 형태로 알려줌. • 맥락(context): 사건을 둘러싼 정보; 사건의 의미와 불가분의 관계로 엮여 있음. • 고맥락 의사소통: 대부분의 정보가 개인 안에 있으며, 암호화되고 명시적으로 전달되는 메시지에는 거의 없음. • 저맥락 의사소통: 대부분의 정보가 명시적 코드의 형태로 나타남.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High Context • 고맥락문화(미원주민, 라틴어메리카, 일본, 아랍, 중국, 한국): 만나서 교환하는 의미는 많은 부분 언어로 소통되어야 하는 것이 아님 • 매우 동질적인 집단: 유사한 경험, 정보망 등 • 전통과 역사 때문에 시간이가도 문화가 거의 변하지 않음 • 일상생활에서 대부분의 정상적 거래에서 깊이 있는 배경정보를 요하지도 않고 기대하지도 않음 • 정보는 추론, 제스처, 침묵 등을 통해 제공됨 •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좀더 많이 의존함 • 의미는 또한 지위(나이, 성, 교육, 가족배경, 직위, 소속)를 통해 전달되며 개인의 비공식적 친구나 동료를 통해 전달됨 • 간접적 방식으로 의사소통 • Conflict: 갈등은 해로운 것이며신중하고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함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Low Context • 저맥락문화(독일, 스위스, 스칸디나비아, 북미): 언어적 메시지에 대부분의 정보가 포함되며 맥락이나 참여자 내부에 있는 정보는 거의 없음 • 덜 동질적인 집단 • 공통된 경험의 부족 • 의사소통이 희미하고, 간접적이고, 내재적인 형태가 아니라 직접적이고 명시적임 • 더 많이 더 빨리 말하며 종종 목소리가 올라감 • 많은 어휘력을 가지고 자신을 명확히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을 존경함. 정보에 대해 언어적 메시지에 의존하는 사람을 더 신뢰함. • 일본인은 말로 드러나지 않은 것에서 의미와 이해를 구함; 미국인은 정확한 메시지를 언어로 또렷하게 직접적으로 주고 받는 것을 강조함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Face and Facework • Face: • a metaphor for the self-image you want to project to other people • A product of social interaction • can be either lost or gained • Facework • 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of face • The various actions you engage in to acquire face for yourself or give face to someone else • Ting-Toomey’s research(1998, 2005): • the role of face and facework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conflict situations • Face and facework are influenced by cultural values • Individualistic cultures: 자기 자신의 체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 타인의 체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는 별로 중요치 않음. • Collectivistic cultures: 집단내의 갈등은 사회적 체면과 관계 조화를 해치는 것. 상호간의 그리고 상대방의 체면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갈등상황에서의 face • Collectivists • 갈등상황: 회피 상호간의 타자의 face에 대한 배려 (eg. 일본: 금액을 먼저 보지 않고 계산서 지급: 금액을 보는 것은 상점(점원)에 대한 face를 잃는 것) • Individualists • 자신의 face를 먼저 고려 • 갈등해결을 위해 대결적 혹은 문제해결 지향적 방법을 선호 (eg. 미국: 지불하기 전 계산서를 꼼꼼히 살핌) • 문화간 의사소통: • 상이한 스타일이 혼란, 오해, 증오 일으킴 • 간접적 의사소통스타일 고수 개인주의적 참여자에게 역효과 줄 수 있음 • 직접적 의사소통스타일집단주의자에게 무례하거나 경솔하게 보일 수 있음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Face Goffman(1967): face는 인간사회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사회학적 개념.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자기 자신을 위해 주장하고자 하는 공적인 자아 이미지” Brown & Levinson의 politeness 이론(1978): • 적극적 체면(positive face):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받아들여주고 좋아해 주기를 바라는 개인적 바람을 표현하는 것. 타인에게 더욱 다가서고자 하는 욕구 • 소극적 체면(negative face):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개인의 권리와 다른 사람들에 의해 강요 받지 않고자 하는 욕구. 다른 사람과 거리를 두고자 하는 욕구 • 공손성: 이러한 화자와 청자의 체면을 세워주기 위한 전략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Politeness • 공손성 전략 • 적극적 공손성(positive politeness):다른 사람들의 양성적 체면을 세워주는 것. 화자가 청자와의 ‘공통 토대(common ground)'와 유대감을 강조하게 됨 • 소극적 공손성(negative politeness): 상대방의 음성적 체면을 세워주는 전략. 화자는 청자에 대한 자신의 경외심을 강조하게 됨. 간접화행은 이러한 음성적 공손성을 언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전형적인 방법이 됨 • 적극적 체면위협화행(청자,화자): 비난하기, 비판하기, 모욕하기, 동의하거나 찬성하지 않기 • 소극적 체면위협화행(청자): 충고하기, 요청하기, 명령하기, 제안하기, 경고하기 • 소극적 체면위협화행(화자): 칭찬 받아들이기, 감사표현하기, 자백하기 • 간접화행: 충고를 하거나, 요청을 하거나, 제안을 하는 등의 화행을 수행할 때 체면 위협을 피하기 위해 간접화행 사용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Face-threatening Act 강의노트를 빌려달라고 부탁하는 상황에서의 FTA 전략 유형 예시 ➀ Lend me your lecture notes. (명시적, 직설적으로) ➁ How about letting me have a look at your lecture notes? (명시적, 간접적, 적극적 공손성으로) ➂ Could you please lend me your lecture notes? (명시적, 간접적, 소극적 공손성으로) ➃ I didn't take any notes for the last lecture. (암시적) ➄ 학생 A가 말없이 B의 강의노트를 바라본다. (FTA 미수행) 영어 문화권:공손성을 표현하기 위해 적극적 공손성 보다는 소극적 공손성을 더 많이 사용하며 간접적인 표현 방식을 선호함. 영어 문화권과는 달리 더 직접적인 표현 방식을 선호하는 문화권도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FTA와 사회적 요인 • 체면 위협 행위(FTA)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Brown과 Levinson(1987)): 세 가지 변인 설정 • 첫째는 화자와 청자 간의 상대적 힘(relative power: P) • 둘째는 화자와 청자 간의 상대적 거리(relative distance: D) • 셋째는 특정 문화권에서의 강요성(부담)의 절대적 순위(absolute ranking: R) • 이들 세가지 변인에 따라 체면 작업(facework)의 양이나 공손성의 정도가 결정됨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Summary • Hall의맥락 지향성 • 고맥락과저맥락은 개개인들이 내재화된 정보에 의존하는 정도를 나타냄 • Ting-Toomey의 개념 • Face와 facework는 서로 다른 문화에서 서로 다른 형태와 가치를 가짐 • Face는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집단소속의 기능이며 개인주의 문화에서는 자기스스로부터 나옴 • 갈등 상황에서집단주의 문화는 타자의 face에 중점을 두고, 개인주의 문화는 자기자신의 face에 중점을 둠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
Video & Discussion • 영상물: ‘동과 서 – 명사로 세상을 보는 서양인, 동사로 세상을 보는 동양인’ ‘동과 서 – 서양인은 보려 하고 동양인은 되려 한다’ • Discussion • 자신의 문화에 대한 학습이 어떻게 타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나? • 고맥락과저맥락 문화의 개념은? • 서로 다른 맥락 지향을 가진 사람과 의사소통 할 때 어떤 문제를 예상할 수 있나? • 사회적 지각의 문화적 다양성이 문화간 의사소통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나? 문화 간 의사소통 - 양은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