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1

제 27 장 기분장애 (mood disorder)

제 27 장 기분장애 (mood disorder). 꽃동네대 간호학과 이옥자. Ⅰ . 개념 및 분류. ▷ 정의 기분장애 ( 때로 정동장애 (affective disorder) 우울 , 희열과 같은 기분 , 즉 한 인간의 지속적인 내적 감정상태의 장애가 결정적인 병리적 장애 : 정신운동 , 인지기능 , 정신생리기능 , 대인관계에서의 장애. ※ 기분 (mood): 지속적인 내적 감정상태 (sustained emotional state): 외적 자극과 관계없는

hamlin
Download Presentation

제 27 장 기분장애 (mood disorder)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27장 기분장애(mood disorder) 꽃동네대 간호학과 이옥자

  2. Ⅰ. 개념 및 분류 ▷정의 기분장애(때로 정동장애(affective disorder) 우울, 희열과 같은 기분, 즉 한 인간의 지속적인 내적 감정상태의 장애가 결정적인 병리적 장애 : 정신운동, 인지기능, 정신생리기능, 대인관계에서의 장애

  3. ※기분(mood): 지속적인 내적 감정상태 (sustained emotional state): 외적 자극과 관계없는 내적 요인에 의하여 지배되는 인간의 정서상태: 인간의 mental function을 지배 정동(affect): 감정의 외적 표현

  4. ▷역사 ·Hippocrates: mania & depression을 구별해서 서술 ·Aretaios(Cappsdocia왕국): mania & depression의 증상을 정확히 기술하고 이상의 상태가 상호관계가 있다고 봄 ·Falret& Baillarger(불): mania & depression은 한 사람에서 교대로 나타난다.

  5. ·1899, Kraepelin(독): mania & depression은 한 사람에서 주기로 교대로 나타나는 disease entity, 즉, manic depressive psychosis ·Manfred Bleuler: Affective disorder ·1959, Leonhard: unipolar & bipolardepression의 차이를 정리 ⅰ) 주기적으로 depression만 나타날 때(unipolar depression) ⅱ) 주기적으로 depression & mania가 교대되는 경우(bipolardepression) ⅲ) 유전적 특징, 병적 성격, 생화학적 소견, 생리학적 소견, 약리학적 소견이 전혀 다름

  6. ▷분류 #ICD-10의 분류 ·Mood disorder ① 조증 삽화(manic episode) ② 양극성 정동장애 (bipolaraffective disorder): 조증삽화, 우울증삽화, 혼합형삽화 ③ 우울증 삽화(depressive episode) ④ 반복성 우울장애(recurrent depressive disorder) ⑤ 지속성 기분(정동)장애(persistent mood(affective) disorder): cyclothymia, dysthymia, 기타 ⑥ 기타 기분(정동)장애 ⑦ 비특정 기분(정동)장애

  7. #DSM-IV의 분류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 -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감정부전장애(dysthymicdisorder) ·양극성장애(bipolardisorder) -Ⅰ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Ⅰdisorder) -Ⅱ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Ⅱdisorder) -순환성 장애(cyclothymicdisorder) ·minor depressive disorder ·recurrent brief depressive disorder ·premenstrualdysphoricdisorder

  8. ※일차성(원발성) 우울(primary depression): 내인성 우울과 유사 외부 원인 없이 생물학적인 원인으로 생긴 것. (melancholia와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 이차성 우울(secondary depression):다른 신체 질환이나 약물. 생활 사건, 다른 정신 질환에 관련되어 나타나는 것

  9. Ⅱ. 역학 ▷연령 ·양극성 장애가 주요 우울장애보다 더 이른 발병: child hood 5-6세부터 50세 이후 everage30세 ·주요 우울장애: 평균 40세 발병

  10. ▷결혼상태 ·주요 우울장애: close relationship 없거나. 이혼, 별거한 사람에게서 많다. ·bipolar Ⅰ disorder: 이혼이나 독신에서 더 많다. ▷사회경제적, 문화적 상태: ·주요 우울장애: 사회 경제적 상태와 상관 관계 없다. rural 영역에서 더 많다. ·양극성 장애: 보다 놓은 사회 경제적 상태에서 더 일반적

  11. ▷성별 ·주요 우울장애: F×2>M 이유→hormone차이. child birth effect. 학습된 무기력, psychosocialstressor ·주요 우울장애의 평생유병률: 15% ·양극성 장애의 평생유병률: 1%→남녀가 동등함 ·cyclothymia도 남녀 동등

  12. ▷유전 ·가계의 발병률이 일반인보다 높다. ·SPR가족의 발병률보다 mood disorder 발병률이 높다. ·unipolar 가족에서는 unipolar가 bipolar가족에서는 bipolar가 더 발생

  13. Ⅲ. 원인 1. 생물학적 원인 1) 유전 ⑴ 가족연구 ① bipolar Ⅰ disorder 환자의 직계가족에서 대조군에 비해 8-18배 ↑ ② major depressive disorder 직계가족에서 2-10배 ↑ ③ major depressive disorder 환자의 직계가족이 정산 대조군에 비해 bipolar Ⅰdisorder 유병률이 1.5-2.5배 더 높고 major depressive disorder유병률은 2-3배 더 높다. ④ 직계가족이 2nd-degree보다 더 높다. ⑤ bipolar Ⅰdisorder 환자의 50%가 부모중 한 명이 특히 major depressive ⑥ 부모중 한 사람이 bipolar Ⅰ disorder: 아동아이의 25%가 확률에 노출 ⑦ 부모중 두 사람이 bipolar Ⅰ disorder: 50-75%로 지식이 위험률 높아진다.

  14. ④ 직계가족이 2nd-degree보다 더 높다. ⑤ bipolar Ⅰdisorder 환자의 50%가 부모 중 한 명이 특히 major depressive ⑥ 부모 중 한 사람이 bipolar Ⅰ disorder: 아동아이의 25%가 확률에 노출 ⑦ 부모 중 두 사람이 bipolar Ⅰ disorder: 50-75%로 지식이 위험률 높아진다.

  15. ⑵ 양자연구: 생모가 기본 장애가 있는 아이가 양자로 발병률 높다. ⑶ 쌍생아 연구 ① 일란성 쌍생아 ·bipolar Ⅰ disorder의 일치율: 33-90% ·major depressive disorder의 일치율: 50% ② 이란성 쌍생아 ·bipolar Ⅰ disorder: 5-25% ·major depressive disorder: 10-25% ⑷ 유전방식 연구(Linkage studies) ·특히 bipolar Ⅰ disorder에서 genetic marker: chromosome 5, 11, X

  16. 2) 생화학적 원인 • ⑴ 생체아민(Biogenicamine) • Catecholamines과 그 관련물질 • ·양극성 환자에서 norepinephrine과 dopamine의 농도와 활성이 조증때나 회복기 후에 비하여 우울증 기간에 상대적으로 더 낮다. →우울증 때의 serotonin감소현상과 더불어 기분장애에서의 아민가설 ·생체내 amine대사 연구 • ·양극성 환자에서 norepinephrine과 dopamine의 농도와 활성이 조증때나 회복기 후에 비하여 우울증 기간에 상대적으로 더 낮다. →우울증 때의 serotonin감소현상과 더불어 기분장애에서의 아민가설

  17. ·수용체 가설(receptor hypothesis): 우울증이 수용체 감수성(receptor sensitivity)의 변화라고 봄 ·presynaptic α2 -adrenergicreceptor가 활성화되어 norepinephrine유리가 감소하는 것이 우울증의 원인이라는 가설 ·dopamine을 감퇴시키는 병(파킨슨병),약물 reserpine은 우울을 야기하고, 증가시키는 약물 amphetamine은 조증을 야기

  18. B. Indolamines와 그 관련물질 ·최근 비전향적 항우울제인 fluoxepone등 SSRI(selective serotoninreuptakeinhibitors)등이 항우울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serotonin이 우울증에서 가장 중요 요인으로 부각 ·5-hydroxyindoleaceticacid(5-HIAA)의 뇌척수액 농도가 뇌의 serotonin대사에 대한 정보 제공

  19. C. 기타 신경전달물질 ·GABA, Vasopressin, endogenous opiate가 우울증에 연관 가능성, serotonin, 진정제, virus 감염(AIDS, hepatitis)

  20. ⑵ 신경내분비 연구 ·뇌하수체 전엽의 호르몬 분비 ←생체 amine에 의해서 조절 ←시상하부의 신경 내분비 세포에 의해서 조절

  21. ·neuroendocrineregulation: 우울증에서 appetite ↓; insomnia; Wt. ↓; sex·drive ↓; GIT dysfx; gastro-intestinal tract dysfunction mood의 diural variation

  22. A. 부신피질 호르몬→우울증에서 cortisolhypersecretion ·우울증에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HPAaxis)의 기능이 항진 ·심한 우울증 환자, 특히 불안이 있거나, 자살충동이 많고 정신병적 상태에 있을 때 cortisol분비가 증가하고 회복 후 정상화;

  23.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우울증에서 억제되지 않는다; 약 50%; 우울증에서 임상증상이 좋아지는데도 DST가 정상화되지 않는 군이 재발이 높더라는 보고 #우울증 환자에서 LHPA의 fast feedback loof의 기능장애: Hippocampus의 cortisolreceptors 기능장애

  24. B. 갑상선 호르몬(Thyroid hormone) ·우울증 환자에서 TRH(thyrotropine-releasing hormone) 투여에 대한 반응 → TSH(thyroid-stimulating hormone) 분비 저하 ·TRH에 대한 TSH반응이 지속으로 떨어지는 경우→차후 재발 가능성↑

  25. C.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우울증 환자에서 정상 대조 군에 비해 수면에 의한, 저혈당에 대한, 또한 clonidine에 대 한 성장 호르몬의 반응이 낮다. D. 기타 호르몬 ·우울증 환자에서 혈청 LH농도, FSH농도, 남성의 경우 testosterone농도 ↓ ·우울증 환자에서 야간에 melatonin농도 ↓

  26. ⑶ 신경 펩타이드(neuropeptides) ·우울증 환자에서 혈장 β-endorphin ↑ ·우울증 환자에서 somatostatin농도↓ → ·argininevasopressin(AVP): 우울증↓ 조증 ↑

  27. 3) Chronopsychobiology ·주요 우울장애에서 수면주기에 변화(+): 전체수면 감소 →non-REM& 전체 REM감소; REMlatency ↓, REMdensity ↑; 첫 번 REM기간은 길며 전반부의 REM시간이 증가; 중간에 자주 깨며 아침에 일찍 깸. ·조증 때 circadian 리듬이 지연

  28. 4) 해부학 ·기분장애 : 변연계, 기저신경절, 뇌하수체 등의 병리와 관계 →CT촬영시: 뇌 측실 확장(bipolar Ⅰ disorder 시 잘 관찰됨) →MRI: 전두엽, 미상핵이 작다. →PET 또는 SPECT: 전두엽에 혈류량이 저하 ·우울증이 우측반구의 장애와 관련(+)

  29. 5) Kindling(발화) ·kindling: 역치하 자극이라도 반복되면 궁극적으로 활동성 전위를 일으킨다는 신경 전기 생리적 과정 ·기분장애 중 특히 bipolar Ⅰ disorder에서 carbamazepine과 같은 항경련제가 효과(+) →기분상태의 병리생리로서 측두엽의 kindling이 관련(+)

  30. 2. 사회심리학적 원인 • 환경요인 및 생활사적 사건(Life events & enviornmentalstress) ·살아가면서 어떤 사건이 원인 유발인자로 적용 2) 병전 인격 특징(Premorbidpersonality factors) ·우울증: 자존심 낮고, 초자아 강하고, 대인 관계가 의존적이고, 지속적이고 성숙한 대상 관계를 (object repation)이루지 못한다. 구순적(oral type), obsessive type, hysteric type, narcistic type, personality 많다. ·순환성 인격, 경조성 인격: 양극성 장애를 잘 갖는다. ·H. Kohut: 우울증이나 조증은 자기애성 인격을 가진 사람이 잘 나타남.

  31. 3) 정신분석 및 정신역동적 요인(Psychoanalutic& psychodynamicfactors) ·S. Freud: object loss와 melancholia관계 주장 →object loss의 분노가 자신에게 향한다.

  32. ·Melanie Klein: 자기자신의 파괴를 통해 loving objects를 파괴; Mania환자의 경우 타인에 대한 공격성과 파괴성을 부정하고 이상화 시킨다 ·E. Bibring: 우울증은 helpless와 powerless의 결과 ·Heinzkohut: self psyology(자기심리학) →중요한 사람에게 인정받지 못할 때 불안정감과 절망감을 느낀다.

  33. 4)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 ·학습된 무력상태(learned helplessness): 동물에게 도망갈 수 없게 전기 shock을 주면 helpless해진다. →환자에게 control 할 수 있고 master 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어라. →보상, 긍정적 재강화 사용

  34. 5) 인지이론(Cognitive theory) ·일반적인 인지적 해석 오류, 즉 우울증 환자에서 인생의 경험에 대한 부정적 왜곡, 부정적 자기평가, hopelessness가 있는데 이러한 학습된 부정적 시각이 우울한 기분을 만든다 →부정적 인지 구조를 바꿔주는 것이다. 신념자체를 바꿔주는 것

  35.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약물들 • 항고혈압제 • 항정신병 약물 • Steroids • 진정수면제 • 마취제 • 항생제 • 항암제 • 성욕감퇴제

  36. ※우울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신체질환 1. Parkinson'sdx: 50-75% 우울 증상(+) 2. Alzheimer'sdx 3. Epilepsy(esp. temporal lobe) 4. Stroke

  37. 5. Brain tumor 6. Hypo, Hyperthyroidism 7. Hypo, Hyperparathyroidism 8. Cushingsdx 9. SLE 10. Uremia

  38. ※조증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신체질환 1. Huntington's dx, Parkinson'sdx, Wilson's dx 2. General paresis→매독성 진행 마비 3. Viral meningitis 4. 뇌종양 5. Uremia

  39. ※조증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약물 • Levodopa • Bromocriptine • Sympathominetics • INH • Amphetamine, cocaine • Cimetidine

  40. Ⅳ. 임상유형 • 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정신 운동성 지체 ⅰ) without psychotic features(정신증적 특성)-망상, 환각, 착란, 기억장애, 사회적 위축, 높은 자살 우려가 있는 상태

  41. ⅱ) with psychotic features: delusion or hallucination(+): #mood congruent psychotic features: 망상이나 환청의 내용이 우울증의 주제와 일치 예) 자신이 부적합하다. 죄책감, 질병, 죽은, 허무주의, 징벌 받는 내용 #mood incongruentpsychotic features: 망상이나 환청의 내용이 우울증의 주제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예) 피해망상, 사고 전파, 사고 삽입, 조정 망상

  42.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 활성기의 주기가 2주 이상 가야한다. ① depressed mood나 오락이나 흥미감의 상실증상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 ② 체중변호, 식욕변화 ③ 불면, 수면과다 ④ 정신운동성 격정이나 지체 ⑤ 피로감이나 기억력 감퇴 ⑥ 무가치감이나 부적절한 감퇴 ⑦ 주의집중력 감퇴, 불안 ⑧ 죽음에 대한 생각

  43. ※Melancholic type의 특징 명백한 우울 기분이 있다. ① depression이 아침에 더 악화(diurnal variation) ② psychomotorretardation or 격정 ③ loss of interest: 반응의 감퇴 ④ 아침에 일직 깬다. ⑤ 식욕 심하게 저하 →대체로 내인성, 약물치료와 EST에 잘 반응, 정신치료에는 반응이 적다.

  44. ※Seasonal pattern MD와 발생 비율이 적어도 3년간 3번의 mood 장애가 같은 시기에 있어야 한다; 우울증이 10-11월 사이 ↑; 수면과다. 무기력, 탄수화물 갈구에 의한 과식, 체중증가-우울증은 기본 원인은 melatoninregulation장애가 연구; 치료로서 수면박탈, 광선치료가 효과 초봄이 되면 우울증이 끝나고, 봄부터 여름까지는 경조증이 있다.

  45. 2. 감정부전장애(Dysthymicdisorder: Neurotic depression) 증상이 만성적이다. ·강도와 기간에 있어서 major depression보다 약함 ·여성에 more common ·과거에는 depressive 인격으로 봄 ·major depressive 인격으로 봄 ·major depression이나 bipoplardisorder로 발전 가능 ·우울한 기분이 2년 이상 지속. 조증 삽화 없고, 정신병적 양상이 없고, 만성적이다.

  46. 3. Ⅰ 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Ⅰ disorder) 조증과 우울증이 반복적으로 반응하거나 1) manic episode: 조증 삽화 ① 비정상적이고 지속적으로 기분이 상승, 팽창 자극 받기 쉬움(irritable) ② 팽창된 자존심, 과대성 ③ 수면욕구 감소

  47. ④ 말이 많다: 계속 지껄이는 압력 ⑤ 사고의 비약, 생각이 자꾸 떠오름 ⑥ 외적 자극에 쉽게 산만, 간섭: 상관없는 것에 참견 ⑦ 활동의 증가 ⑧ 쾌락적 활동에 지나치게 몰두함: 자제력 없이 shopping, 성적 자제력 없다. 어리석은 사업 추진

  48. ⅰ) without psychotic features ⅱ) with psychotic features: #mood congruent psychotic features 예) #mood incongruentpsychotic features 예)

  49. 2) Type ① mixed: 우울증이나 조증 삽화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거나 주 증상이 공존하는 경우 ② manic: ③ depressed: 한번 이상의 manic episode가 있고 현재는 major depressive가 있을 때

  50. 4. Ⅱ 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Ⅱ disorder) 경조증이 있는 반복적 우울 반복적 우울 삽화가 특징 ·major depression + hypomanic ·hypomanicepisode: symptom이 덜 심하고 delusion이 존재하지 않는다.-차이점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