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9

제 4 장 함수 (Functions)

제 4 장 함수 (Functions). 함수의 정의 함수의 그래프 단사 함수 , 전사 함수 , 전단사 함수 여러 가지 함수 컴퓨터 언어에서의 함수의 역할. 4.1 함수의 정의. 함수의 정의 두 집합 X 와 Y 에서 함수 f 는 집합 X 에서 Y 로의 관계의 부분 집합 집합 X 에 있는 모든 원소 x 는 집합 Y 에 있는 원소 중 한 개와 관계 집합 X 로부터 집합 Y 로의 함수 f

holt
Download Presentation

제 4 장 함수 (Function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4장 함수 (Functions) • 함수의 정의 • 함수의 그래프 • 단사 함수, 전사 함수, 전단사 함수 • 여러 가지 함수 • 컴퓨터 언어에서의 함수의 역할

  2. 4.1 함수의 정의 • 함수의 정의 • 두 집합 X와 Y에서 함수f는 집합 X에서 Y로의 관계의 부분 집합 • 집합 X에 있는 모든 원소x 는 집합 Y에 있는 원소 중 한 개와 관계 • 집합 X 로부터 집합 Y 로의 함수 f • 함수 f 의 표기 f : X  Y • 집합 X 에서 집합 Y로의 사상(mapping) • f 의 정의역(domain) : X • 집합 X 는 함수 f 의 정의역(domain): Dom(f ) Dom (f) = {x | (x, y) f, x  X, y  Y} • f 의 공변역 (codomain) : Y • 집합 Y 는 함수 f 의 공변역(codomain, 공역): Codom(f) 함수 f는 A의 원소 각각에 대해서 B의 원소를 단 하나만 대응시킴

  3. [Ex01] 다음 그림에서 나타내는 관계가 함수인지 아닌지 판별하여라. [풀이] (1) 함수가 아니다. (2) 함수다. (3) 함수가 아니다.

  4. [정의2] • 함수 f : X→Y 일 때 집합 X 의 원소 x 가 집합 Y 의 원소 y에 대응된다면 f(x)=y 로 나타냄 • y는 x의 상(image, value) • x 는 y 의 원상(pre-image) • 치역(range) • X 의 원소에 대응되는 모든 상의 집합: Ran(f ) • Ran (f) = {y | (x, y) f, x  X, y  Y} • Ran(f )⊆Y 치역은 공역의 부분집합으로서, 함수에 의해 실제 매핑이 일어난 원소의 집합이다.

  5. [Ex02] 두 개의 집합 X={a, b, c, d}, Y={1, 2, 3, 4}일 때 다음의 관 계가 함수인지 아닌지 판별하고, 함수일 경우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하여라. (1) {(a, 1), (b, 2), (c, 3)} (2) {(a, 1), (b, 2), (c, 4), (d, 4)} (3) {(x, y)| x∈X, y∈Y, y=3} [풀이] (1) 함수가 아니다. (2) 함수며, 정의역은 {a, b, c, d}, 공변역은 {1, 2, 3, 4}, 치역은 {1, 2, 4}다. (3) 함수며, 정의역은 {a, b, c, d}, 공변역은 {1, 2, 3, 4}, 치역은 {3}이다.

  6. <예제4.1> 다음의 관계가 함수인지 아닌지를 구분하고, 함수일 경우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하여라. (1) {(1, a), (1, b), (2, c), (3, b)} (2) {(a, a), (b, b), (c, c)} (3) {(x, y) | x, y  Z, y - x = 1} (4) {(x, y) | x, y  N, y - x = 1} <예제4.2> A = {-1, 0, 1}, B = {1, 2, 3, 4}에 대한 관계가 {(x, y) | x A, y B, x + 3 = y}일 때 이 관계가 함수인지를 판별하고, A의 원소들에 대한 함수값을 구하여라. <예제4.3> A= {-2, -1, 0, 1, 2}이고 f :A A가 f(x)= |x|일 때 Ran(f)를 구하여라. 예제4.1 예제 4.1 예제 4.2 예제 4.3

  7. ● ● ● ● ● ● 4.2 함수의 그래프 <정의 4.2> 함수 f : A  B에 대한 그래프 G는 x A이고y = f(x)인 순서쌍(x, y)의 집합을 나타낸다. 즉, G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G = {(x, y) | x  A, y  B, y = f(x)} • Example • f:: ZZ, f(x) = x2 • graph of f = {…, (-2,4), (-1,1), (0,0), (1,1), (2,4), …) 정의 4.2 함수 f의 그래프는 (x, f(x))로 구성되는 순서쌍(pair)의 집합이다.)

  8. 4.2 함수의 그래프 <예제4.4>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순서쌍의 집합으로 표시하고, 좌표 도면상에 표시하여라. 모든 함수 f : R R이다. (1) y = x + 2 (2) y = x2 (3) y = |x| (4) y = 2x 예제 4.4

  9. 4.3 단사 함수, 전사 함수, 전단사 함수 <정의 4.3> 단사 함수(Injective function) 함수 f : A  B에서 ai , aj A에 대하여 f(ai ) = f(aj )이면ai = aj일 경우, 함수f 를 단사 함수라 한다.  ai , aj  A, f(ai ) = f(aj )  ai = aj • 1대 1 함수 (one-to-one function) • f : A  B에서Ran(f)  B • |A|  |B| 정의 4.3

  10. <정의 4.4> 전사 함수(Surjective function) 함수 f : A  B에서 B의 모든 원소b에 대하여f(a) = b이 성립되는 a  A가 적어도 하나 존재할 때 함수 f를 전사 함수라 한다.  b B, a A, f(a) = b • 반영 함수 (onto function) • Ran(f) = B • |A|  |B| 정의 4.4

  11. <정의 4.5> 전단사 함수(Bijective function) 함수 f : A  B에서f 가 단사 함수인 동시에 전사 함수일 때, 함수f를 전단사 함수라 한다. • 1 대 1 대응 함수 (one-to-one correspondence) • |A| = |B| 정의 4.5

  12. 그림 4.1 (a) 단사 함수 (b) 전사 함수 (c)전단사 함수

  13. <예제 4.5> 함수 f1, f2, f3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 때, 이 함수가 단사 함수, 전사 함수, 전단사 함수인지를 구별하여라. 예제 4.5

  14. <예제 4.6> 다음의 함수식들이 R에서 R로의 함수일 때, 이 함수가 단사, 전사, 전단사 함수인지를 구별하여라. (1) f1(x) = sin x (2) f2(x) = x2 (3) f3(x) = 2x (4) f4(x) = x3 + 2x2 예제 4.6

  15. 4.4 여러 가지 함수 <정의4.6>합성 함수(composition function) 두 함수 f : A  B, g : B  C에 대하여 두 함수 f 와 g 의 합성 함수는 집합 A에서 집합 C로의 함수, g  f : A  C를 의미하며 다음을 만족 한다. g f = {(a, c) | a A, b B, c C, f(a) = b, g(b) = c} (g f )(a) = g(f(a)) • 그림 4.2 정의 4.6

  16. <예제 4.8> f : A  B와g : B  C이 아래의 그림과 같을 때, 두 함수 f 와g의 합성 함수g f 를 구하여라. <예제 4.9> 두 함수 f 와 g가 각 각 f : R R, f(x) = x + 3 이고, g : R  R, g(x) = x2 - 1일 때, 합성 함수f g와g f 를 구하여라. 예제 4.8 예제 4.9 • g ◦ f ≠ f ◦ g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음)

  17. <정리 4.1>두 함수 f 와 g의 합성 함수 g  f 에 대하여(1) g와 f 가 단사 함수이면, g f 도 단사 함수이다. (2) g와 f 가 전사 함수이면, g f 도 전사 함수이다. (3) g와 f 가 전단사 함수이면, g f 도 전단사 함수이다. <예제 4.10>함수 f 와 g가 다음과 같을 때 그의 합성 함수 g f 가 단사 함수, 전사 함수, 전단사 함수인지를 구별하여라. f : R R, f(x) = -x g : R  R, g(x) = x - 1 정리 4.1 예제 4.10

  18. <정리 4.2> 두 함수 f 와 g의 합성 함수 g f 에 대하여 (1) g f 가 단사 함수이면, f 는 단사 함수이다. (2) g f 가 전사 함수이면, g는 전사 함수이다. (3) g f 가 전단사 함수이면, f 는 단사 함수이고 g는 전사 함수이다. <정리 4.3> 세 함수 f, g, h를 각 각 f : A  B, g : B  C, h : C  D라 하였을 때, 그들의 합성 함수는 다음과 같은 결합 법칙 (associative law)이 성립한다. h (g f) = (h g) f 정리 4.2 정리 4.3

  19. <예제4.11> 집합 A = {a, b, c}, B = {x, y, z}, C = {1, 2, 3}, D = {p, q, r} 이고 그들 사이의 함수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g f, h g, h (g  f), (h g) f 를 구하여라. 예제 4.11

  20. 항등 함수(Identity Function) <정의 4.7> 항등 함수(Identity function) 집합 A에 대한 함수 f 가 f : A  A, f(a) = a일 때 함수f 를 항등 함수라 하고IA로 표기  a A, IA(a) = a 모든 원소에 대해 자기 자신을 대응시키므로 전단사 함수 <예제4.12> 집합 A = {-1, 0, 1} 이고 함수 f : A  A, f(x) = x3 일 때, 함수f는 항등 함수인가? 정의 4.7 예제 4.12

  21. 역함수 (Inverse Function) <정의4.8> 역함수(Inverse function) 함수 f : A  B가 전단사함수일 때f 의 역함수는f -1 : B  A로 표기  a A,  b B, f(a) = b  f -1(b) = a • 함수f 가 전단사 함수일 경우에만 역함수 f -1이 존재 정의 4.8

  22. <예제4.13> 함수 f : {1, 2, 3}  {a, b, c} 이고f(1) = b, f(2) = c, f(3) = a일 경우 f 의 역함수 f -1이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f -1을 구하여라. <예제4.14> 함수 f : Z Z 이 f(x) = x - 1일 때f -1 을 구하여라. 예제 4.13 예제 4.14

  23. <정리 4.4> (1) f : A  B가 전단사 함수이면, 그의 역함수 f -1 : B  A 역시 전단사 함수이다. (2) 함수f 의 역함수f -1 이 존재할 때, (f -1)-1 = f 이다. (3) f : A  B 가 전단사 함수이면, f -1  f = IA이고, f  f -1 = IB이다. <예제4.15> 집합 A = {1, 2, 3}, B = {a, b, c}이고, A에서 B로의 함수 f = {(1, a), (2, c), (3, b)}일 때 (f -1)-1, f -1f, f f -1을 구하여라. 정리 4.4 예제 4.15

  24. 상수 함수, 특성 함수 <정의 4.9> 상수 함수(Constant function) 함수 f : A  B 에서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 의 오직 한 원소와 대응할 때 함수 f 를 상수 함수라 한다.  a A,  b B, f(a) = b <정의 4.10> 특성 함수(Characteristic function) 전체 집합 U의 부분 집합 A의 특성 함수 fA : U {0, 1}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A(x) = 0, x A 1, x A 정의 4.9 정의 4.10 {

  25. 특성함수 • [Example] 전체집합 U={1, 2, 3, 4, 5, 6, 7}일 때 부분집합 A={2, 3, 4, 5, 6}에 대한 특성함수를 구하고, 화살도표로 나타내어라. [풀이] 전체집합 U 의 부분집합 A 에 대한 특성함수는 다음과 같다.

  26. 특성 함수의 성질(1) fA B(x) = fA(x) fB(x) (2) fA B(x) = fA(x) + fB(x) – fA(x) fB(x) (3) fA B(x) = fA(x) + fB(x) – 2 fA(x) fB(x) <예제4.16> U = {a, b, c, d, e}이고 A = {a, b, c}, B = {c, d, e} 일 경우 fA B(c), fA B(c), fA B (c), 를 구하여라. <예제4.17> U = {x R | 0  x  2}이고 A = {x R | 1/2  x  3/2}일 때, 특성 함수 fA를 그래프로 나타내어라. 예제 4.16 예제 4.17

  27. 올림 함수, 내림 함수 <정의4.11> 올림 함수, 내림 함수 올림 함수(ceiling function): 최대정수함수(greatest integer function) x R에 대한 올림 함수는 x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값 중 가장 작은값을 나타내며, x로 표기 내림 함수(floor function): 최소정수함수(least integer function) x R에 대한 내림 함수는 x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값 중 가장 큰값을 나타내며, x로 표기 • 3.5 = 4, 3.5 = 3, 2 = 2 = 2 정의 4.11

  28. 4.6 컴퓨터 언어에서의 함수의 역할 • 컴퓨터 프로그램 작성 • 복잡한 문제를 여러 개의 독립적 기능을 갖는 부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문제 해결 • 부프로그램 (subprogram) • 논리적으로 독립적 계산을 할 때 • 동일한 수행을 반복할 때 • 함수(function) • 정의역에 있는 매개 변수값을 받아 하나의 값을 되돌려 줌 • 함수 호출( Function Call)  리턴(return) • 라이브러리: 컴퓨터 언어자체가 미리 만들어 놓은 함수 • 사용자 정의 함수: 프로그래머가 상황에 편리하게 만든 함수

  29. 예제main( ) { ... sum = 0; for (i = -5; i < 6; i++) sum += is_positive(i);  함수 호출 ... } int is_positive (int num) { if (num >= 0) return 1;  리턴 else return 0;  리턴 }함수 is_positive의 정의역과 공변역은 모두 정수 치역은 {0, 1} 함수 is_positive는 11번 호출됨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