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 likes | 546 Views
2008 북한식량난 보고. [ 전문가간담회 ]. 일시 : 2008.5.26( 월 ) 오전 10:45 장소 : 대한출판문화회관 4 층강당 주최 : ( 사 ) 좋은벗들. 보고 내용. 1 . 식량 , 얼마나 부족한가 ?. 2. 일부 지역과 계층만의 문제인가 ?. 3 .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4 .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1 식량 , 얼마나 부족한가 ?. 1. 식량 , 얼마나 부족한가 ?. 2008 년 북한의 곡물수급 전망표. [ 단위 : 만톤 ]. 북한의 식량생산실태.
E N D
2008 북한식량난 보고 [전문가간담회] • 일시: 2008.5.26(월) 오전 10:45 • 장소: 대한출판문화회관 4층강당 • 주최: (사) 좋은벗들
보고 내용 1.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2.일부 지역과 계층만의 문제인가? 3.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4.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1 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1. 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2008년 북한의 곡물수급 전망표 [단위:만톤]
북한의 식량생산실태 1. 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1. 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1988~2007 북한 식량생산량 연도별 그래프 [단위:만톤]
1. 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2006년 도별 생산량 (단위:만톤, 좋은벗들 추산)
1. 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2007년 식량 총 생산량 (좋은벗들 추산) 280만톤 2006년 250만톤 2007년 30만톤 감소
1. 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식량위기의 원인 식량 생산량 감소 (2006년 7월, 2007년 8월 곡창지대 수해) 1 외부 지원 중단 (한국 및 국제 사회) 2 중국으로부터 식량 수입감소 (2008년 부터 식량 수출 통제) 3 내부 비축미 고갈 (2007년 봄 기아 방지에 사용) 4 5 국제 식량 가격 2~3배 급등→수입감소
1. 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연도별 생산량 감소원인 • 7월 대홍수로 식량생산량 감소 • 미사일 발사, 핵 실험으로 경제제재, 식량지원 중단 • 2007년도 식량난 예상 2006 • 북한정부 군량미, 비축미 풀어 위기 대처(2월,3월) • BDA (Banco Delta Asia)문제로 지연되다가 • 한국정부 6월부터 쌀 지원 • 6월말부터 일부지역 아사자 발생 • 햇감자 출하 및 한국지원 쌀 등으로 • 대량아사로 이어지지 않음 • 8월 대홍수로 식량 생산 감소 • 식량값 급등, 일부지역 아사자발생 • 9월말 햇옥수수 출하로 아사멈춤 • 식량 생산량 감소로 2008년도 식량대란 예상 2007
1. 식량, 얼마나 부족한가? 연도별 생산량 감소원인 • 2007년 식량생산량 감소로 추수 이후에도 식량부족 예상으로 1월 식량가격 1200-1300원대 유지 • (평년 800원대) • 중국에서 식량수출금지(2008년도 수출허가증 중단) • 국제 곡물가격 급상승 • 북한 내 비축미 고갈(2007년도 긴급사용 후 제대로 • 채워넣지 못함) • 한국정부 인도적 지원중단 • 2월부터 식량부족으로 주민동요 • 3월부터는 식량값 폭등 2008
2 일부 지역과 계층만의 문제인가?
2. 일부 지역과 계층만의 문제인가 ? 분배대상과 4순위 표 1순위 당 중앙기관, 각 급 당위원회 소속 구성원, 평양 중심구역 = 100만명 2순위 군대를 포함한 기타군사인원=150만명 인민무력부(110만명), 인민보안성, 국가안전보위부,작전부, 호위사령부 등 3순위 군수공장 50만명 (약150개×3,300명) ×5인가족=250만명 특급기업소 30만명 ×5인가족=150만명 *합계=400만명 4 순위 일반노동자 (일반기업소,노동자,교사,의사,서비스직)=600만명 농민 배급 대상에 속하지 않는 농민 인구 = 800만명
2. 일부 지역과 계층만의 문제인가 ? 280만톤의 순위에 따른 분배량 1 순위 (100만명) 500g, 18만 2천톤 2 순위 (150만명) 500g, 27만 4천톤 3 순위 (400만명) 250g, 36만 5천톤 4 순위 (600만명) 100g, 21만 9천톤 농민(800만명) 500g, 144만톤 기타 (공업용, 종자) 32 만톤
2. 일부 지역과 계층만의 문제인가 ? 280만톤의 분배에 따른 아사 가능성 심각한 영양결핍 3 순위 아사위기 4 순위 * 2008년도 특이사항 농민분배량 감소 : 농민 아사위기 농민 군량미 생산기지 지역의 2년 연속 홍수피해
2. 일부 지역과 계층만의 문제인가 ? 2008년에 나타난 계층별 식량 부족현상 1순위 • 평양 6개월 배급 중단 (4월) •평양 주변구역 죽물로 연명 (5월) 2순위 •배고픔에 군부대 탈영자 잇따라 (1월) •종자마저 군량미로 확보 지시 (3월) 3순위 •청진시 6만 노동자 굶고 있어 (3월) •자강도 군수공장 4달째 배급중단 (5월) • 쌀밥 먹고 죽는게 소원 (2월) •전국 역 대합실 꽃제비로 몸살 (2월) •꽃제비 보호소, 고아원, 양로원, 구금시설에 아사 (4월) 4 순위 • 농민들이 1월부터 옥수수를 꿔먹고 있음 (1월) •평안북도 박천 농민 2개월치 밖에 분배 못받아, 봄에 풀뜯으며 연명(5월) • 황해도, 평안남도 농민 아사 (5월) 농민
2. 일부 지역과 계층만의 문제인가 ? 2008년도 식량난의 특징 (90년대 중반과 비교)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식량 가격 변화 쌀과 옥수수의 가격차이 비교 1 [단위: 원] 2007년 4월 2008년 4월 800-850 2,300-2,900 300% 300-350 1,500-1,700 500%
= 08/4 (Early)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식량 가격 변화 곡물 가격 변화 추이 (청진시) 2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아사로의 진행과정 쌀밥 옥수수+쌀 (5:5) 옥수수밥 3끼 옥수수밥 2끼 옥수수죽 풀 죽 소나무껍질 죽 묵지가루죽 벼뿌리 말려서 갈은죽 2008.5월현재 아사발생 소화불량/장파열/배변불량 영양실조 심각한 상태 대량아사 발생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아사의 초기현상 2월 1월 옥수수 + 감자 죽 옥수수밥 1끼 + 염장배추 옥수수국수 옥수수가루 죽 4월 3월 풀에 옥수수가루뿌린 죽 옥수수 묵지가루 한 끼니 풀 죽 산나물에 소금 벼뿌리 죽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식량난 악화의 사회적 현상 가족해체 꽃제비증가 학생 무단결석 전염병창궐 노동자 무단결근 자살 농민 농사포기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주민들의 아우성 농민들 식량난 심화 • 농사일에 못나옴 • 씨앗(볍씨, 감자씨) 지원 호소 • 산과 들로 풀 뜯으러 다님 • 풀죽을 쑤어 먹음 1 노동자들의 고통 심화 2 • 직장 출근율 저하 • 김책 제철소 등 대단위 국영기업체와 일부 군수공장에도 배급없음 꽃제비 아이들 증가, 유랑민 증가, 자살증가, 가족버림(어린이,노인) 3 꽃제비수용소, 단련대등 구금시설, 고아원등 영양실조 심각 4 배급을 주든지 아니면 장사 할수 있게 해달라 집단 항의 (3월 4일 청진시장) 5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아사자 발생 4월초 구금시설, 꽃제비보호소, 고아원 등에서 아사 발생 4월말 평안남도 양덕군 주민 아사 발생 (2006,2007 대홍수 최대 피해지역) 5월초 황해북도 사리원시 교외 농촌지역 리(마을)당 매일 1~2명 아사 발생 황해북도 금천군 농장마다 매일 1~2명 아사 발생 방랑자와 꽃제비 수 증가 5월중 황해남도 거의 전역에서 아사자 발생 황해남도 농촌 아이들 70~80% 학업 중단 5월말 6월초 황해북도 전역으로 아사자 확산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90년대 중반의 대량 아사 (추이) 월별 사망자수 - 조사 가족의 사망자 2,991명의 사례 분석 1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90년대 중반의 대량 아사 (원인) 사망원인 분석 - 조사 가족의 사망자 2,991명의 사례 분석 2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90년대 중반의 대량 아사 (연령별 사망률) 연령별 사망률 - 조사 가족의 사망자 2,991명의 사례 분석 3
3. 아사는 이미 예상되고 있었다 90년대 중반의 대량 아사 (사망 통계 추정) 2008년 5월은 1996년 상황과 유사
4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아사문제의 해결 6,7월 필요량 60만톤 중 20만톤 긴급 지원 - 보리, 옥수수, 밀가루 등 서민층 주식 - 필요로 하는 외부지원량 : 150만톤 (5개월치) 그 중 죽이라도 끓여먹고 목숨을 이어갈 수 있도록
2008 북한식량난 보고 [전문가간담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