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 likes | 830 Views
배화여자대학 교 교수법 특강 (2012.10.22.) 성공적인 강의 설계와 학생과 소통하는 강의 전략 : 자기조절학습 (SRL) 의 메타인지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박 승 호. 차례. 성공적인 강의설계란 ? 학생들과 소통하는 강의전략을 위해 무엇을 조절해야( regulate) 하는가 ? 초인지 (metacognition) 란 ? 처리수준이론의 적용 강의 중 초인지 활동 유도하는 CA 기술 맺음말. 성공적인 강의설계란 ?.
E N D
배화여자대학 교 교수법 특강(2012.10.22.) 성공적인 강의 설계와 학생과 소통하는 강의 전략: 자기조절학습(SRL)의 메타인지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박 승 호
차례 • 성공적인 강의설계란? • 학생들과 소통하는 강의전략을 위해 무엇을 조절해야(regulate) 하는가? • 초인지(metacognition) 란? • 처리수준이론의 적용 • 강의 중 초인지 활동 유도하는 CA 기술 • 맺음말
성공적인 강의설계란? • 적응교수(Adaptive Teaching)에 기반 두기 • 학생들의 Aptitude와 교수자의 Treatment가 상호작용하는강의설계-- ATI model • 강의목표의 난이도 조절, 강의방법의 재고 • 도입/전개/종결이 명료한 강의설계 • 전개과정에서의 속도, 이해점검활동, 주의집중 고려한 강의의 사전 분절화 작업을 설계
성공적인 강의설계와 학생과의 소통을 위한자기조절학습(SRL: Self-Regulated Learning)이란? 학습자가 강의실 내외에서 인지, 동기, 행동을 적극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주도적인 학습을 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 하는 학습방법
자기(Self) 조절학습 vs 타인(Other) 조절학습 차이점: 통제감(sense of control) 유무
- 인간은 유아기부터 주변환경에 자신의 행동을 통해 영향을 줄 때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동기화된 행동이 나타남! - 강의실 수업에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할 필요 - 학습환경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여 학습과정에 자신이 “영향”을 줄 때(video 자료 참조) 배화여대에서의 자기통제감을 체험하고 학교만족도가 향상됨!
학습극대화를 위해 무엇을 조절해야(regulate) 하는가? 인지조절 동기조절 SRL 행동조절
학습효과 높이는 세가지 조절유형 인지조절: 초인지 (metacognition) 동기조절: 초동기 (metamotivation) 행동조절: 의지통제 (volitional control) 학습환경, 도움구하기, 질문하기, 노트필기, 시간관리 등
성공적인 수업과 초인지 학습전략의 관계 - 학습과제에 의도적 접근 가능 - 심층학습 가능 - 학습전략의 유용성(utility) 경험으로 자기효능감 증대 ---> 학습효과 극대화 가능
초인지(metacognition)란? • 인지에 대한 인지 (cognition about cognition) • 사고에 대한 사고 (thinking about thinking) • 학습과정에 대한 사고 (thinking about one’s own learning processes)
인지를 조절하는 기능: 초인지(metacognition) 초인지 전략의 예: 계획하기(planning) 점검하기 (monitoring) 수정하기 (modifying) 평가하기 (evaluating) 예견하기 (predicting)
이해점검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결과 • 처리수준이론(Levels of Processing Theory): - Craik & Lockhart (1972)연구에 기반 - 표층처리(surface processing) - 심층처리(deep processing) - 우수한 학습자는 주로 심층처리
- 의도학습(intentional learning) - 우연학습(incidental learning) - 의미처리만 되면 즉 학습자료가 심층처리가 되면 우연학습은 의도학습 효과와 유사한 결과! - 교수자는 학습자와의 소통을 위해 주기적인 이해점검(comprehension monitoring) 초인지 전략 활용
학생과의 소통하는 강의 예: Columbia Univ.의 Dweck 교수의 수업
소통있는 강의를 위해 고려할 사항 • 학습자의 attention span을 고려한 설계 • 교수자/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수업전략-- 중간 Review 활동 필요 • 수업의 전개 부분에서의 변화있는 활동의 다양성을 고려한 수업설계 (예: 강의, PBL 발표, 토론, Service-Learning의 reflection 등)
시간에 따른 집중력 높은 집중력 낮은 집중력 분 0 10 20 30 40
수업 구성 원리 • 매주 수업 시간을 20분 단위로 chunking • 핵심 개념 2-3개 전달 • Need to know와 Nice to know 구분 • 이론 설명과 학습참여활동을 통해 학습 내용을 여러 번 반복하여 학습하도록 함 • 기계적 반복학습(rote learning) 피하고 처리수준이론의 적용
수업 이후 시간 흐름 반복의 중요성
Review 방법 • Concept mapping • Action plan • Top 10 list / key learning • Gallery walk
초인지 활동을 제고하는 강의를 위한CA Technique • 목적 • 교수 효과(teaching effectiveness)와 학습의 질(learning quality)을 개선 • 수업의 개선 방안 모색 • 특징 • 수업 시작 전, 수업 중, 수업 후 언제든 실시 가능 • 사용하기 쉬움 • 짧은 시간에 효과적 진단 결과를 얻을 수 있음
실시 방법 • 학습진단평가를 통해 알고 싶은 내용을 결정 • 적절한 학습진단평가 방법을 선택 • 학생들에게 평가의 목적을 설명한 후 실시 • 평가의 결과를 고찰하고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지 결정 • 학습진단평가를 통해 교수님이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를 학생들에게 말하고, 이 정보를 어떻게 사용하고 개선해나갈 것인지를 설명
CAT 유형 1 - Two minute paper • 준비시간 : 짧음 / 수업 중 소요시간 : 짧음 / 분석 시간 : 짧음 • 그 날의 수업 내용을 요약하도록 하거나 수업 내용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적을 수도 있고, 학생들의 질문을 적도록 할 수도 있음 • 유사 방법 • The muddiest point • Focused listing
CAT 유형 2-One sentence summary • 준비시간 : 짧음 / 수업 중 소요시간 : 짧음 / 분석 시간 : 짧음 • 중요한 강의 내용이나 주제를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누구에게, 어떻게, 왜 하였는가?’라는 6하 원칙의 기본 틀 안에서 조직화된 한 문장으로 요약함
CAT 유형 3 - Application cards • 준비시간 : 짧음 / 수업 중 소요시간 : 약간 걸림 / 분석 시간 : 약간 걸림 • 중요한 원리나 이론, 절차 등을 가르친 후 학생들에게 색인카드를 나누어 주고 학습한 내용에 대해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적어 제출하도록 함
학생들과의 소통을 제고하는 강의진행의 예시 • 도입부: - 일방적 교수활동 지양하고 사전교수활동 계획하기 - 사전지식의 활성화 시도: (예) 수업내용 재요약 혹은 질문받기 - 본차시 수업목표의 구체적 제시 (예) 판서/유인물/ppt 자료 등으로 명료하게 제시 - 본차시 수업의 전체내용을 교재 혹은 수업안을 활용하여 skimming 하기
전개부: - 수업내용 전개 중간에 내용의 변화가 있으면 멈추어 학습자의 SRL점검 (예) 질문하기 및 질문받기 - 소그룹활동을 통한 수업참여 제고 (예) 발표/스터디그룹/CA 기법 등 - 중간 review 하기
종결부: - 수업목표에 따른 교수자/학습자의 점검 - 전체내용 질문받기 혹은 질문하기 - 본차시 주요내용 조직화 활동 - 최종 review - 다음 시간 예고
맺 는 말 • 성공적인 강의설계를 위한 Adaptive Teaching 고려 • 학생들과의 소통을 위해 수업 중 학생들의 이해점검 활동을 통해 초인지 활동의 유용성 지각을 유도 • monitoring 등 초인지전략 유도하는 수업활동 • 초인지활동을 제고하는 CAT의 활용 • 수업 전/중/후에 자기조절학습 최대한 유도하여 sense of control 의 신장을 통한 수업참여 제고
감사합니다! 박 승 호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shpark@swu.ac.kr 02-970-5568 010-2253-5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