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0 likes | 1.04k Views
근골격계질환 예방과 노동조합의 활동. 인천대학교 산업공학과 공학박사 백승렬 017-487-1088 Maven@incheon.ac.kr. 근골격계 질환이란.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특정한 신체부위를 집중 , 반복적으로 사용 관절부위를 부자연스럽게 굽혀 사용 장시간 작업으로 피로의 누적 누적외상성질환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 요통 (Low Back Pain: LBP)
E N D
근골격계질환 예방과 노동조합의 활동 인천대학교 산업공학과 공학박사 백승렬 017-487-1088 Maven@incheon.ac.kr
근골격계 질환이란 • MusculoskeletalDisorders: MSDs • 특정한 신체부위를 집중, 반복적으로 사용 • 관절부위를 부자연스럽게 굽혀 사용 • 장시간 작업으로 피로의 누적 누적외상성질환(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 요통(Low Back Pain: LBP) 근육, 신경, 건, 인대, 관절, 연골등 근골격계의 만성적 건강장해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 • 죽지 않는다 • 보이지 않는다 • 원인이 없다 • 진단이 어렵다 • 완치가 어렵다 • 재발이 쉽다 • 증상이 다양하다
발생원인 작업 요인 반복적 동작 무리한 힘의 사용 부자연스런 자세 날카로운 면과의 접촉 진동 및 온도 작업자 요인 성별(여성) 작업경력 작업습관 운동 및 취미활동 복합적인 인과관계로 발생 사회심리적 요인 직업만족도 근무조건 만족도 직장내 인간관계 업무적 스트레스 기타 정신 심리상태
직업병의 분류 • 전통적 직업병 : 납중독, 유기용제중독, 진페증, 소음성 난청 : 직업적 원인으로만 발생 • 일반질병이지만 직업에서 발생되면 직업병 : 도장공의 백혈병, 배관공의 폐암, 가구공장의 천식 • 직업적 원인 + 비직업적 원인이 복합되어 발생 : 반복조립작업자의 근막통증후군, 중량물취급자의 요통 • 비직업적 원인으로만 발생되나 직업에 의해 악화 : 과로사, 업무스트레스에 의한 뇌출혈, 심장질환 등
질환의 발생 경로 • 1단계 • 작업시간 통증 및 피로감 • 휴식후에는 호전됨 • 작업능력저하는 없다
2단계 • 작업시간 초기부터 발생 • 휴식후에도 통증 지속 • 수면장애 • 장기간 지속
3단계 • 휴식시에도 통증 • 반복적인 움직임이 없어도 발생 • 자다가 통증으로 깬다 • 작업뿐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장애
누적외상성 질환 • 두통 • 눈의 피로 • 목과 어깨의 근육통 • 요통(상부, 하부) • 상완부 혈액순환장애 • 상지 통증 • (전완, 손, 손가락) • 무릎, 발목 통증
근막통 증후군 장시간의 반복작업, 근육긴장 혈액순환감소, 피로물질 축적 근육뭉침, 통증발생 만성 통증
수근관 증후군 결절종
근골격계 증상 발생과 관련된 요인 분석 대전지역 사업장 결과 -연령 및 근무년수가 증가할 수록 증상발생이 감소 -교대근무자에서 증상발생이 증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할 수록 증상발생이 감소 -노동강도가 강하다가 평가한 경우 증상발생이 증가 -스트레스가 높은 고긴장군에서 증상발생이 증가 -유해작업요인 및 부적절한 작업자세가 많을 수록 증상발 생이 증가(2.7배-10.7배)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 • 작업/휴식 비율조정 • 작업빈도 개선 • 심리적 스트레스 대책 • 치공구를 통한 작업방법 개선 • 인간공학적 작업장 설계 • 작업자 신체조건에 맞는 배치 • 작업전환/순환 배치 • 작업전-중-후 스트레칭 • 개인적 체력관리 권장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해결대책 (중장기)
노동조합의 활동원칙I • 산안간부만의 활동이 아닌 노조 집행부가 지원하고, 조합원이 참여하는 일상적 활동과 투쟁이 되어야 한다. • 질환자로 의심되는 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에 관리함으로써 문제를 최소화 한다. • 일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고 현장활동가를 참여시켜야 한다. • 조합원, 현장 활동가, 노동조합 간부들을 교육하고 훈련한다.
노동조합의 활동원칙II • 위험요인 및 증상을 평가하고 관리 대상 선정과 개선 방향을 설정한다. • 환경개선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실천해 나간다. • 질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실시한다. • 작업개선 및 증상 변화에 대한 사후 평가를 진행하고 문제점을 보완한다. • 모든 내용을 문서화한다.
평가방법 1단계 : 어떤 작업자세가 문제되는지를 평가한다. 2단계 : 반복성 혹은 정적인 동작을 평가한다. 3단계 : 작업할 때 필요한 힘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한다. 4단계 : 기타 사항을 평가한다. 5단계 : 신체 부위별로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최종 평가한다.